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
머신러닝/딥러닝 기초 강사 잇잇쌤입니다.
안녕하세요 ~코딩박사 잇잇쌤입니다!강의문의는 sap.con.jen@gmail.com14년차 개발 프리랜서 강사 이고, IT 용어부터 간단명료하게 쉽게 진입 장벽을낮춰드리는 매직을 부리겠습니다!( 아 잇잇쌤은 IT를 Eat 냠냠 하는 과정을 표현했습니다!! )블로그(파이썬 기초 강의가 있긴 하지만..)랑 youtube(파이썬 AI 강의가 있긴 하지만..)도 있는데 제발 들어오지 마세요! 너무 구독자 수가 적어요 😂😂제가 IT업계에 들어온 계기는...19살때, 해커학원? (그때는 코딩강의가 없고 오프라인 학원이 다 해커학원이었다는.. 당시... C언어가 재밌었던 이유가 포인터때문에 ..나홀로 여자혼자 배운다..라는 자부심도 있었던 것 같음) C언어를 배운 것을 시작으로, 대학교때 안드로이드 1 개발 을 시작으로, 외국계 테스팅 을 위해서 인턴쉽도 경험도 쌓고, 그 이후, 2012년도에 중견 IT업계 System Integration 회사에 입사해서 밤샘도 많이 했으며, System Management 를 다년간 경험하면서 느낀 험난했던 과정 속 나도 모르게 노하우를 쌓아왔습니다. (좋코딩에서, 웹드라마 주인공이 과거의 딱 저라는...)이후 대기업에서 IT관련 강의, 지식을 공유 흥미를 느껴,프리랜서로 나와, IT 관련 수업도 진행하면서 내가 그동안 배웠던 언어들 JAVA, Javascript, ABAP,C, Database 등을 정리하면서 코로나의 블루를 타파하고자 미니 프로젝트등을 진행 했었고,파이썬 등, 알고리즘, AI 머신러닝 , 딥러닝 기술 등을 숨고를 통해 나눈 경험이 있습니다.안티에이징을 위해서 마치 백신 주입하듯이 , 신기술을 배워야 살아 남는게 이 업계의 특성인데, 가장 쉽게 배우는 방법을 터득하면서 여러분들과 소통하고 싶어 졌습니다 !~!!이후, 코로나가 끝나고 운 좋게, 강의를 촬영해커스 HRD 에서 "Rust 기초부터 실무까지 과정"https://www.hackershrd.com/lecture_240216.php?mode=lecView_240216&pcate=cate&scate=002&product_key=01::nref%3E0%3EB007%3EM056&p_id=0000000000&s_id=Y24M062602메가스터디아카데미 "인공지능 기초" 과정https://megastudyacademy.co.kr/camp/lecture/801멋사넥스트 (멋쟁이사자처럼) "AI를 활용한 파이낸셜 모델링(PF) 과정"https://www.likelion-next.com/classes/215041한빛앤 과 다수 협업하면서 VOD강의를 출시하기도 하였습니다!!이제는 인프런에서 여러분들과 만날 수 있게 되어 영광입니다.저는 5시간 동안 카메라 앞에 서서 여러분들께 설명하는데 너무 즐거워서 지치지 않습니다.저의 강의에 대한 지치지 않고 포기하지 않는 열정!열정!열정!으로당신이 허락한 시간 안에 모든걸 쏟아 붇겠다라는 마음 가짐으로 항상 임해오고 있습니다.나중에 기회되면 라이브 강의에서 만나면!반갑게 알아봐 주시면 너무!너무!너무! 반가울 것 같습니다 !인공지능이 도대체 뭐길래 배우는 거지? 🔎비전공자 분들, 향후에 미래에 어떤 언어들이 유망한지, 현업이신데 엑셀 로만 데이터를 분석하고 계신 분들, 개발자 10년이상되셔서 좀 변화가 필요하신 분들은 PM님 C레벨 이사님들! 모두 모두 이 강의를 주목해주세요.저도 14년차 개발자로, 일해오면서 안티에이징 (똑같은 업무에 질려 노화되는 현상) 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해왔어요.그중에 가장 특효약이 바로 인공지능 기초과정 (머신러닝,딥러닝,신언어1개 배우기) 였어요!제가 그동안 Java나 C++,자료구조 많이 가르쳐봤는데!Rust나 AI 과정을 준비하면서 너무 신세계인거에요!이렇게 운영체제 모르고 코딩했구나... 이렇게 효율적인 메모리 언어를 그동안 몰랐구나,CTO가 결정한 솔루션이 사용하라는 대로 그 언어만 계속 사용해 왔구나! 밤샘으로 후회스럽더라구요!하면서, 앞으로는 다양한 좋은 언어들 배워 봐야 겠다 라는 욕심이 생겼어요!그래서 다양한 강의를 만들면서 가르치고 알려주고 상대방과 소통하면서 이해가 된다고 개발 커리어를 위해서다양한 과정들을 도움이 되었다고 할 때, 너무 행복함을 느꼈답니다!여러분들의 로드맵 참여는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많은 관심 주시면 저도 다양한 강의가 준비되어있으니까 앞으로 인프런에 강의도 기회되면 올릴거고 다양하게 만날 수 있게 노력하겠습니다~숨고 후기보기 ! : https://soomgo.com/profile/users/1949734?from=portfolio뭐 어쨌든 결론은 !!! 저의 로드맵에 참여해주세요~ 😍😍▼▼▼▼▼▼▼▼▼https://inf.run/9Vjfz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페이지 연결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파일을 따로따로 확인을 할 때에는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나, 강의를 보고 따라했음에도 불구하고 페이지끼리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회원 가입을 누르면 404가 떠서 아무것도 되질 않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WbF5awhnCLVgf-NDQlwXUP1Hfcfk6lUR?usp=drive_link
-
미해결3D 모델링 입문을 위한 라이노(Rhino) '꿀팁' Part.2
심화 마우스 (2)강에서 질문 있습니다.
11분 24초 쯤에 면에서 Knot 제거로 점을 지우시는데 차수 5인 상태에서 점을 11 -> 8개로 줄이셨습니다. 면을 생성해서 지우지 않고, (1)강에서 한 것처럼 미리 Knot 제거로 커브를 정리한 후 면을 생성하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UserEntity 메서드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Entity 클래스에 있는 from 메서드는 static, toModel 메서드는 그렇지 않습니다. 둘의 차이와 from 메서드를 static 으로 설정한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웹 개발 입문 - 따라하며 배우기
File imprt 어떤거 해야하죠?
File file = new File("not existing file.txt"); FileInputStream = new FileInputStream(file);이 코드를 복붙을 했는데 FileInputStream = new FileInputStream(file);이부분에서 FileInputStream 부분이 빨간줄이 뜹니다 import java.io.File; import java.io.FileInputStream;임포트는 이걸 했구요Creates a FileInputStream by opening a connection to an actual file, the file named by the File object file in the file system. A new FileDescriptor object is created to represent this file connection.First, if there is a security manager, its checkRead method is called with the path represented by the file argument as its argument.If the named file does not exist, is a directory rather than a regular file, or for some other reason cannot be opened for reading then a FileNotFoundException is thrown.이런 오류가 있는데 어떻게 해결해요?
-
미해결오라클 성능 분석과 인스턴스 튜닝 핵심 가이드
클라우드 굳이 안해도 되나요??
강의를 이제 시작하고 있는단계이고, 오라클 클라우드는 신용카드인증이 계속 실패해서 구글클라우드 18c쪽으로 설치할려고하는데요지금까지 본거만 생각하면 클라우드 설치 할 필요없이 로컬머신에 vm 설정만 할수 있어도 오라클 설치하는데 큰 문제가 없어보이거든요... 혹시 굳이 클라우드를 써야할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선생님의 인텔리제이 설정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워밍업 클럽 잘 듣고 있습니다수업이랑 크게 관게 없는 질문인데 강의를 보다보면 코드 라인 옆에 커밋 내역이랑 사용자가회색 글씨로 나오더라구요어떻게 하는 건 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Airflow 마스터 클래스
DAG 스케줄
with DAG( dag_id="shedule_3_hour", schedule="3 * * * *", start_date=pendulum.datetime(2023, 3, 1), catchup=False ) as dag: def select_fruit(): fruit = ['APPLE','BANANA','ORANGE','AVOCADO'] rand_int = random.randint(0,3) time.sleep(10) print(fruit[rand_int]) py_t1 = PythonOperator( task_id='py_t1', python_callable=select_fruit ) py_t1 처음 DAG을 시작(PAUSE)했을때는 2024-10-06, 06:01:47 UTC입니다. DAG이 2024-10-06, 06:03:00 UTC에 처음 시작될거라 예상했는데 왜 처음 DAG을 시작(PAUSE)한 시간인 2024-10-06, 06:01:47 UTC에 처음 실행하는지 궁금합니다.참고로 처음 실행되었던 작업에서도 오퍼레이터가 정상 실행되었습니다.물론 약 2분 후 2024-10-06, 06:03:00 UTC에 작업도 실행되었습니다.
-
해결됨Airflow 마스터 클래스
Next dagrun 문의드립니다
from airflow import DAG 2import pendulum 3import datetime 4from airflow.operators.python import PythonOperator 5import random 6import time 7 8with DAG( 9 dag_id="shedule_3_hour", 10 schedule="3 * * * *", 11 start_date=pendulum.datetime(2023, 3, 1), 12 catchup=False 13) as dag: 14 def select_fruit(): 15 fruit = ['APPLE','BANANA','ORANGE','AVOCADO'] 16 rand_int = random.randint(0,3) 17 time.sleep(10) 18 print(fruit[rand_int]) 19 20 py_t1 = PythonOperator( 21 task_id='py_t1', 22 python_callable=select_fruit 23 ) 24 25 py_t1Airflow Webserver UI DAG Detail페이지에 있는 내용 중 Next dagrun ~ 관련 항목이 이해가 안돼서 질문드립니다.UTC 기준 10:34입니다. 설명 편의를 위해 현재시간으로 지칭하겠습니다! Next dagrun이 2024-10-06T10:03:00+00:00 값을 가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Next dagrun이 다음 DAG 실행 예정 시간인거같은데 왜 현재실행 보다 과거인지 모르겠습니다.2024-10-06T11:03:00+00:00이 맞는거 같아서요. 현재 시간이 10:34이고 3분마다 실행.10:03은 실행완료. 이후 11:03에 실행되어야함.Next dagrun create after : 다음 DAG은 11:03에 실행되어야하므로 11:03에 DAG Run 생성(11:03에 실행하는) DAG 기준으로 처리해야하는 데이터 범위는 10:03~11:03이므로 Next dagrun data interval end는 11:03, Next dagrun data interval start는 10:03.(1) Next dagrun 관련 항목의 정확한 의미와 Next dagrun과 Next dagrun create after 차이를 정확히 몰라서 생기는 문제 같기도 합니다.(1-1) Next dagrun 관련 항목의 의미아래 내용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Next dagrun: 다음 DAG 실행 예정 시간Next dagrun create after: 다음 DAG 생성 예정 시간Next dagrun data interval end: 다음 DAG 데이터 간격 종료 시간Next dagrun data interval start: 다음 DAG 데이터 간격 시작 시간 (1-2) Next dagrun과 Next dagrun create after 차이 Next dagrun 과 Next dagrun create after 은 항상 같나요? Next dagrun create after는 정해진 시간에 생성되고(3분 마다) Next dagrun 은 Next dagrun create after이후에 되는데 즉, DAG run이 생성되고 실행되는거 맞나요? (Airflow 공식 문서에 Web UI에 있는 항목별 의미를 알 수 있는 페이지가 있는지 찾아보았는데 없어서 질문드립니다!아래 링크보면 Airflow UI 설명은 간단하게 있는데 항목별 설명은 없네요...)https://airflow.apache.org/docs/apache-airflow/stable/ui.html)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13강 직렬화 관련 코드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은 총 2개 있습니다. 첫 번째 질문입니다. FMemoryReader MemoryReaderAr(BufferArrayFromFile);UStudent* StudentDest = NewObject<UStudent>();StudentDest->Serialize(MemoryReaderAr); 다음 코드는 Serialize함수이지만 역질렬화을 하고 있다고 보면 될까요?단순화시킨 Array<uint8> 타입의 BufferArrayFromFile 바이트스트림을 오브젝트 그래프(StudentDest)로 변환한다고 보면 될까요?---------------------------------------------------------------------------------- 두 번째는 질문이라기 보다는, 제가 제대로 이해한 게 맞는지 검토 한번 부탁드립니다.오브젝트 그래프를 바이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작업은 직렬화 라고 한다. 따라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바이트 스트림에 쓰는 Writer작업은 모두 직렬화를 위해 쓰인다. 2가지 케이스가 있다.1).TArray<uint8> BufferArray;FMemoryWriter MemoryWriterAr(BufferArray); StudentSrc->Serialize(MemoryWriterAr); 2).FString JsonOutString;TSharedRef<TJsonWriter<TCHAR>> JsonWriterAr =TJsonWriterFactory<TCHAR>::Create(&JsonOutString);FJsonSerializer::Serialize(JsonObjectSrc,JsonWriterAr);반대로 바이트 스트림을 오브젝트 그래프로 변환하는 작업은 역직렬화 라고 한다. 따라서 오브젝트가 바이트 스트림의 데이터를 읽어오는 Reader작업은 모두 역직렬화를 위해 쓰인다. 2가지 케이스가 있다.1).TArray<uint8> BufferArrayFromFile;( "" BufferArrayFromFile 이 파일 읽어오는 과정 생략 "" )FMemoryReader MemoryReaderAr(BufferArrayFromFile);UStudent* StudentDest = NewObject<UStudent>();StudentDest->Serialize(MemoryReaderAr);2).FString JsonInString;FFileHelper::LoadFileToString(JsonInString, *JsonDataAbsoultePath);TSharedRef<TJsonReader<TCHAR>> JsonReaderAr = TJsonReaderFactory<TCHAR>::Create(JsonInString); TSharedPtr<FJsonObject> JsonObjectDest;FJsonSerializer::Deserialize(JsonReaderAr, JsonObjectDest);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Extension 에서 구현한 함수의 이름이 해당 클래스에 이미 구현된 함수와 이름이 겹치는 경우
안녕하세요, Extension 관련 구현에 대해 연습해보다가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예를들어 우리가 구현한 Extension 클래스 안에 AddUIEvent 와 같은 메소드를 추가해주면서 this GameObject go 라는 문법을 써줌으로서, 마치 GameObject 의 함수인 것처럼 쓸수 있게되었는데요,만약 Extension 클래스안에 ToString 이라는 함수를 만들어주면, 실제로는 최상위 클래스인 Object 클래스 내에 구현된 ToString 이 호출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럴 경우, 이름을 적절히 잘 회피해서 쓰는 방법 이외에 내가 구현한 함수를 쓰도록 하는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it 취업을 위한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with C/C++) : 코딩테스트 대비
45번 공주구하기 문제를 list를 이용해서 이렇게 풀어도 될까요?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include <cmath>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list>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cin.tie(NULL); cout.tie(NULL); ios::sync_with_stdio(false); freopen("input.txt", "rt", stdin); int N, K, cnt=0; cin >> N >> K; list<int> L; for (int i = 0; i < N; i++) { L.push_back(i+1); } while (L.size() > 1) { list<int>::iterator iter = L.begin(); for (iter; iter != L.end(); iter++) { cnt++; if (cnt == K) { list<int>::iterator it = iter; iter++; L.erase(it); cnt = 0; if (iter != L.begin()) iter--; else cnt++; } } } cout << L.front(); return 0; } 안녕하세요. 45번 문제를 list를 이용해서 이렇게 풀어봤는데, visual studio로 컴파일해서 실행하면 정답이 제대로 나오는데 dev c++를 컴파일해서 실행하면 답이 틀리게 나옵니다.제가 쓴 코드도 맞는 방법일까요?저도 처음에 배열을 생각해뒀는데 N이 1000까지 가능하니깐, 1000번을 여러번 돌면 시간초과가 될 것 같아서 cnt가 k와 같아질때 리스트에서 제외하는 방식으로 코드를 짰습니다..
-
미해결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vite] http proxy error: /auth/login
당연히 구글링 해보셨져? 원하는 결과를 못찾으셨나요? 어떤 검색어를 입력했는지 알려주세문제가 발생한 코드(프로젝트)를 Github에 올리시고 링크를 알려주세요. // https://vitejs.dev/config/ export default defineConfig({ plugins: [vue(), vueJsx(), vueDevTools()], resolve: { alias: { '@': fileURLToPath(new URL('./src', import.meta.url)) } }, server: { port: 5000, proxy: { '/api': { target: 'http://localhost:8080', rewrite: (path) => path.replace(/^\/api/, '') } } } })function dologin() { axios .post('/api/auth/login', state.login) .then((response) => { // 로그인 성공 시 처리 console.log('로그인 성공:', response.data) // 추가적인 로직 (예: 리다이렉션, 사용자 정보 저장 등) }) .catch((error) => { // 로그인 실패 시 처리 console.error('로그인 실패:', error.response ? error.response.data : error.message) // 사용자에게 에러 메시지 표시 등 }) }post 요청시 계속해서 인터넷에 라고 계속해서 오류가 나옵니다.그래서 이전에 호돌맨님께서 알려주신 방법들을 사용하여hostname을 통해 이름가져오기공인아이피 주소 사용하기방화벽8080 이용해서 연결해주기또한 버전이 문제가 될수있다고 구글링에 나와 시도해보았지만 여전히 계속해서 이오류로 인해 해결이 되지않습니다. 저는 우선 호돌맨님의 방식대로 코드를 짜고 있는중이라 처음 코딩을 클론 코딩을 통해 방식을 배우고 다시한번 영상을 보면서 저만의 포폴을 만들려고 하는중에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https://github.com/CryingPerson/blog제깃 코드입니다ㅠㅠ 살려주세요..
-
미해결세 시간만에 끝내는 쿠버네티스부터 마이크로서비스, CI/CD, 서비스 메시까지
강의 자료와 데모에서 사용한 스크립트와 yml 파일을 제공하지 않나요?
인프런 강의들은 강의에서 사용한 강의 자료(PPT, PDF)를 제공하는데요. 강의 자료를 다운 받는 곳이 없는데요. 강의 자료는 제공하지 않나요? 데모에서 사용한 스크립트와 yml 파일은 제공하지 않나요?
-
해결됨Slack 클론 코딩[백엔드 with NestJS + TypeORM]
yarn seed 명령어 실행 시 데이터 삽입 안됨
이렇게 성공 메세지는 뜨는데 테이블 조회를 해보면 데이터 삽입이 안되어 있습니다.어떤부분에서 오류를 해결해야 할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F 맞왜틀 질문
문제에서 제시한 테스트 케이스까지 맞았는데 제출하기를 누르면 틀렸다고 나옵니다. 어떤 반례가 문제인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http://boj.kr/cf1bd196e8b24f53a036bea877785856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스레드 풀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톰켓에 있는 스레드 풀도 Executor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서 생성하는건지 궁금합니다.스프링 부트를 사용한다면 톰켓에서 자체적으로 스레드 풀을 생성 할텐대 여기에 강의에서 배운것처럼 ExecutorService es = Executors.newFixedThreadPool(3); 이런식으로 직접 스레드 풀을 만들어서 사용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섹션8 라이프 사이클 unmount 관련 질문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Viewer from './components/Viewer' import Controller from './components/Controller' import {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useRef } from 'react' import Even from './components/Even' import './App.css' function App()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input, setInput] = useState(""); const isMount = useRef(false); //1. 마운트 : 탄생 useEffect(()=>{ console.log("mount") },[]) //2. 업데이터 : 변화, 리렌더링 useEffect(()=>{ if(!isMount.current){ isMount.current = true; return; } console.log("update") }) //3. 언마운트 : 죽음 //useEffect(()=>{console.log(count)},[count, input]) // 의존성 배열, dependency array, deps const onClickButton = (value)=>{ setCount(count + value); } return ( <div className='App'> <h1>Simple Counter</h1> <section> <input value={input} onChange={(e)=>{ setInput(e.target.value) }}/> </section> <section> <Viewer count={count}/> {count % 2 === 0 ? <Even/> : null} </section> <section> <Controller onClickButton = {onClickButton}/> </section> </div> ); } export default App import { useEffect } from "react"; const Even = () => { useEffect(() => { //클린업, 정리함수 return () => { console.log("unmount") }; }, []); return <div>짝수입니다</div>; }; export default Even; 새로고침이나 초기 호출시에도 unmount가 출력되고 홀수로 카운팅이 올라가 컴포넌트가 삭제되는 경우는 update이후 unmount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짝수로 카운팅이 올라가 컴포넌트가 생성되는 경우는 unmount 이후 update가 됩니다.컴포넌트가 삭제되는 경우에만 unmount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혹시 코드에 문제가 있을까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섹션2 연산자와 기출문제 3:30 질문
안녕하세요 비전공자로서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차근차근 따라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Java 예시에서 3:30 기출문제 질문입니다. 정답이 4줄인데 세미콜론(;)을 각 줄에 생략해도 되는지요? 괄호밖에 ;이 없는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속도내서 끝까지 완강 하겠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직접 구현하는 배열리스트1 - 시작 set메서드에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이 만드신 배열리스트에서 set에서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남깁니다.set메서드에서예전값 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get메서드를 사용하여서 값을 반환 하는것을 보았습니다.근데 공부하면서 떠오르는 방법이사진 처럼 해보았고, 결과 값은 똑같이 나오더라고요.이렇게 하신 이유가 있으실까요?답변 부탁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