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비전공자의 전공자 따라잡기 - 네트워크, HTTP
강의명 데이터의 전체 흐름에서 라우터간 주소 획득 과정 질문드립니다.
제가 이해한 바가 맞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내 라우터에서 네이버 라우터의 MAC주소를 알기 위해서 인터넷을 통해 옆 사람에게 묻는 방식으로 네이버 IP가 있는 곳까지 가서 MAC주소를 얻어온다.이렇게 이해하는 것이 맞을까요?6분 대에 설명하신 것에 라우팅 테이블이 네이버 라우터의 IP를 찾아온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네이버 IP는 맨 처음부터 알고 있으니까 MAC주소를 얻어오는 것이 맞는 것 같은데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왕초보를 위한 네트워크 기초
목적지가 같은 네트워크 다른 네트워크
선생님 목적지가같고다름은 무엇으로 판단하는 것입니까?목적지가 다르면 게이트웨이로 보내서 Routing 하는 것이고, 같으면 IP주소가 아닌 MAC 주소로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스위칭하는 것이 기본적인 원리가 맞습니까?
-
해결됨비전공자의 전공자 따라잡기 - 네트워크, HTTP
네트워크계층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101동 아파트를 생각한다고 했을 때 각 세대마다 기기들(컴퓨터 등)의 MAC주소가 있는데 이런 MAC주소들이 스위치에 모이게되고 스위치도 MAC주소를 가지고 있다. 101동 아파트 전체의 스위치들이 하나의 라우터에 모이고 스위치들이 모인 라우터를 네트워크라고 부르며 IP주소를 가지고 있다. 여기까지 제가 이해한 내용이 맞나요? 그렇다면 101동 주민들의 네트워크 IP주소는 모두 똑같다는 말인가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이더넷과 wifi에 대한 급작스러운 궁금증이 떠올라 질문드립니다.
제가 pc를 wifi로 네트워크 연결을 하고 있는 상태라고 하고 질문 드리겠습니다.1.위와 같은 경우라면 제 생각에는 내pc와 이더넷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지 않는다.2.그렇다면 cmd창에서 ipconfig를 입력하면 이더넷 관련 정보는 없는게 맞는거 아닌가?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역시나 ipconfig 확인시 이더넷 어뎁터 ipv6, ipv4, 서브넷마스크 들의 정보가 확인됩니다.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어떤 부분인지 널널한 선생님께 따끔히 지적 부탁드리겠습니다.
-
해결됨네트워크, 그림으로 이해하자(2022ver.)
플러딩 관련 질문과 1 2계층 장비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2가지 질문 이 있습니다.1) Flooding 질문플러딩 동작이 제가 알기로는 스위치에 연결된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에게 보낼려고 할 때, MAC 주소가 없을 경우에 스위치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에게 보내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그런데, 해당 영상에는 MAC 주소가 있음에도 플러딩 동작을 해서 여쭤봅니다.2) Hub 질문허브의 종류에는 말씀하신대로 더미 허브와 스위칭 허브가 있다고 하셨고 OSI 7 layer에서 1계층 설명시에는 전자를, 2계층 설명 시에는 후자를 언급하셨습니다. 그런데 저희가 컴퓨터와 허브를 연결할 때는 2개의 허브를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로는 허브 하나에 1 2계층이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될까요?2계층에는 MAC 주소 관련하여 포함시키고, 1계층에는 비트로 된 프레임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보내는 역할로서, 이 두 계층의 역할을 허브와 랜선이 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URN은 DOI와 비슷한 개념 같은데요.
URN은 DOI(Digital Object Identifier)와 같은 개념 같은데 맞을까요?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안녕하세요 Echo서버 테스트 하고 있는데
주고받는 도중에 Send에서 애러가 뜹니다.어디가 잘못된걸까요??
-
해결됨[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OT관련 질문
OT 1차시를 들어봤는데 비주얼스튜디오보여주시면서 다 ~~를 다 알아볼 수 있었다. 라고 하셨는데 이 전에 듣고 와야 하는 수업이 있나요? 그전 강의를 듣고와서 이미 전반적인 코드가 있어야 하는건가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안녕하세요 개발자님, UDP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UDP가 멀티미디어 전송 시 TCP에 비해 이점이 많은 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그러면 UDP로 통신 시, 보내는 데이터그램의 sequence가 보장되지 않을 텐데 그렇다면 이 싱크에 대한 보정은 누가 하며, 어떤 원리로 싱크를 맞춰서 순서대로 진행되게 되나요?제가 개발에 입문한지 얼마 안 되어 설명이 부족할 수 있어 예시로 조금 더 여쭈어보려고 합니다.멀티미디어 파일을 1 2 3 4 5의 데이터그램으로 쪼개고 전송했고, 순서 보장이 되지 않고 유실이 있어 2 4 1 5 형태로 도착했을 경우에 1 2 4 5 형태로 도착했을 시 3번 순서의 데이터는 어떻게 되는지와 이 순서로의 변환은 어떤 구조로 이루어지는지가 궁금합니다. (만약 동영상을 이렇게 전송하였다면, 영상이 중간중간 끊길 수도 있을 것 같아서요.)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조회 api에서 GET, POST 메서드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다음과 같은 상황은 실무에서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상세 조회가 필요한 api에서 대략 10개가 넘어가는 검색 조건(이름, 기간, 분류 등등..)을 보내야할 경우, 이 검색 조건을 모두 쿼리스트링으로 보내는 것이 좋은 방법일까요?? 아니면 POST body에 담아서 보내는 것이 좋을까요?? 리소스 조회할때 path에 보내는 것과 쿼리스트링으로 보내는 것에 대한 차이가 궁금합니다.ex) members/100ex) mambers?id=100
-
해결됨[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TestLock을 Template으로 만들경우
TestLock을 Template class 로 선언할경우typename을 type으로 명명한 상황에서TestRead에서의 _queue가 Empty일경우 반환값을 지정할 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TrypPop에서 oldHead를 delete 바로 할 경우의 충돌상황
TrypPop에서 oldHead를 delete 바로 할 경우 발생하는 충돌을 보고 싶어서 여러 번에 걸쳐서 돌려봤는데 발생하는 상황을 보지 못했습니다 이런 상황은 이론적으로 가능하나 굉장히 희박한 확률로 발생하는 걸까요??
-
해결됨[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서버엔진 수요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대학 게임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교수님과 게임서버프로그래밍에 대해 상담을 나누는 도중교수님께서 MMORPG를 포함한 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 서버를 직접 만드는 경우는 거의 없고언리얼 데디케이트, 포톤, 프라우드넷 같은 이미 만들어진 모델이나 서버엔진을사용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정말인가요?보통 반대로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게임에 맞춰 서버엔진을 제작하는 줄 알았는데제가 알던 상식과는 너무 달라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5 는 언제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루키스님 [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5는 언제쯤 출시가 될지 궁금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입문자를 위한 UE5영상이 올라오고 있는데 해당 언리얼 영상 시리즈가 완료되면 출시가 될까요?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Reader Writer Lock 질문입니다.
W->R 락 순서는 허용R->W락 순서는 허용하지 않음인데요.두 상황 모두 허용하지 않아야되지 않을까해서 문의드립니다.W->R일 경우에도쓰고있는 있다는 것이 값이 바뀌고 있다는 것인데Read하는 스레드들이 쓰는 찰나에 전후 다른 값을 읽어가는 것은 문제가 없을까요??R->W를 허용하지 않은 경우처럼읽을 때 누가 값을 바꾸면 안되니 허용하지 않는것처럼R->W, W->R그게 그말 처럼 느껴져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패킷은 어떤 원리로 없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수업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들으면서 그동안 들어왔던 용어의 실체가 이것이구나...를 깨달으면서 너무나 발전하는 것 같습니다.갑자기 궁금해졌던 것은, 패킷은 누가 청소하나 입니다. 예를들어 TTL이 다한 패킷은 라우터가 버리고, 또한 DST에 도달한 패킷(제가 이해하기로는 택배 상자)도 버려지는데, 이 패킷들은 누가 치우는지가 궁금합니다.그리고 만약 이 역할을 하는 GC같은 쓰레드가 있다면, 원리도 GC와 비슷한 것인지가 궁금합니다.아직 취업 준비중인 학생이고, 네트워크 개념에 대해 너무 알지 못해서 용어를 잘못 썼을수도 있고, 지식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혹시라도 제가 용어적으로나 개념적으로 실수한 부분이 있다면, 한번 짚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응용
PC에 설치하는 프록시 4:01 부근
안녕하세요 질문의 요지는 해당 pc에 한 개의 client, 한 개의 내부 proxy 서버가 프로세스 단위로 돌아가고 있는데 이들 서로 https 통신을 한다는 것은 이들 끼리 암호화 방식으로 하는 것인지 아니면 client와 Target server와 암호화 방식으로 한 packet을 그대로 proxy 서버를 거쳐서 보낸 것인지 만약 구조가 후자라면 대칭키를 공유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쿠키와 세션의 동작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제가 궁금한 건, 만약 하나의 클라이언트에서 여러 쿠키가 생성되었을 경우가 궁금합니다.강의에서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을 보낼 때 마다 쿠키를 보낸다"라고 하셨는데, 이게 요청한 도메인과 쿠키의 도메인이 일치하고, 쿠키 경로와 일치하는 쿠키만 서버로 전송이 되나요? 전송된다면 해당 경로의 모든 쿠키가 전송되는걸까요? 쿠키가 전송되는 범위?가 궁금합니다ㅠ클라이언트에서 쿠키를 보내던 아이디 비밀번호를 전송하던, 누군가 아이디 비밀번호에 대한 유효성 검사나, 해당 쿠키는 어떤 세션id와 일치하는지 확인해서 유저 정보를 파악 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모두 서버에서 하는 것일까요?이전에 발급 받은 쿠키가 있다면, 서버에 값을 전송하지 않고 쿠키를 전송한다고 공부했습니다. 그럼 결국에 클라이언트에서 "이 리소스는 이전에 쿠키를 생성해서 저장이 되어있어!"처럼 클라이언트에서 식별을 해야하는데 클라이언트에서 어떻게 판단을 하고 서버로 리소스를 보낼지, 쿠키를 보낼지 판단을 하나요?마지막으로, 쿠키와 세션은 모두 http의 무상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쓰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보안적인 측면도 있겠지만요!하지만 이 둘의 차이는 클라이언트에서 관리하냐 서버에서 관리하냐의 차이로 이해하고 있는데 맞을까요?생각이 정리 되어있지 않아 약간 복잡하게 질문글 올렸지만 답변 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HTTPS 에서 HTTP와 SSL의 관계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뒤늦게 네트워크 공부를 하고 있는 개발자 입니다. ^^; 질문1)Https는 443 Port number를 사용한다고 알고 있습니다.Microsoft edge, Chrome, Firefox 등 다양한 Web browser가 동작한다면 모두 동일하게 443 Port를 사용하는지요? 질문2) 만약에 질문1이 True라면, SSL Layer의 기능 중, 수신 Packet을 분석해서 Web browser에 맞게 HTTP data를 전송해 주는 기능이 있는 것인지요? 문제가 될 여지는 없는지요? 질문3) SSL은 Daemon 등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요? 이상입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Persistence Connection과 Connection:close 헤더
안녕하세요 :)강의 들으면서 RFC 7230 문서를 함께 읽어보던 중, Persistence Connection 연결이 종료되는 기준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Persistence Connection이 종료되는 기준이 궁금해져서 본 강의의 커뮤니티에 질문을 검색했을 때, [Persistence Connection 에는 약 60초의 타임아웃이 있다.](https://www.inflearn.com/questions/169548/persistence-connection-%EC%97%B0%EA%B2%B0-%EC%9C%A0%EC%A7%80%EC%99%80-%EC%A2%85%EB%A3%8C-%ED%8C%90%EB%8B%A8%EC%9D%98-%EC%A1%B0%EA%B1%B4)라는 답변을 봤습니다.그래서 "60초의 대기 시간 후에도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없으면 서버가 자동으로 연결을 종료하는구나!" 라고 이해했었는데요,공식 문서의 Connection 부분에는 [Persistent Connection은 클라이언트, 혹은 서버에서 헤더에 Connection:close를 명시하면 종료된다.](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7230#section-6.3) 라는 말이 있더라구요.그리고 Timeout 에 대해서는The use of persistent connections places no requirements on the length (or existence) of this timeout for either the client or the server.라는 말이 있는데, 저는 이 말을 "Persistent Connection은 timeout을 가지고 있지 않다." 라는 의미로 이해했습니다.여기에서 생긴 제 궁금증은 다음과 같습니다.Persistent Connection은 "요청과 응답이 계속 오가는 상황에서는" Connection:close에 의해 종료되는 것이 맞을까요?1번의 조건을 전제로 하고, connection이 장기간 idle 상태로 있는 경우에 connection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timeout 후에 서버가 connection을 종료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계속해서 connection을 열어두는 것인가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