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대시보드 loki 연결
그라파나 접속은 성공했습니다.대시보드에서 데이타소스 생성시http://loki-stack.loki-stack:3100하면 에러가납니다.그런데 어떻게 저 dns로 찾을수있게 되는지 궁금합니다.그라파나 파드안의 resolv.conf도 dns정보가 없어요grafana-6d965864db-w6d76:/usr/share/grafana$ cat /etc/resolv.confsearch monitoring.svc.cluster.local svc.cluster.local cluster.localnameserver 10.96.0.10options ndots:5logger=tsdb.loki endpoint=checkHealth pluginId=loki dsName=loki dsUID=cegalnku8hgxsd uname=admin fromAlert=false t=2025-03-19T09:00:57.17355809Z level=error msg="Error received from Loki" error="Get \"http://loki-stack.loki-stack:3100/loki/api/v1/query?direction=backward&query=vector%281%29%2Bvector%281%29&time=4000000000\": dial tcp: lookup loki-stack.loki-stack on 10.96.0.10:53: no such host" status=error duration=305.216958ms stage=databaseRequest start=1970-01-01T00:00:01Z end=1970-01-01T00:00:04Z step=1s query=vector(1)+vector(1) queryType=instant direction=backward maxLines=0 supportingQueryType=none lokiHost=loki-stack.loki-stack:3100 lokiPath=/loki/api/v1/querylogger=tsdb.loki endpoint=checkHealth t=2025-03-19T09:00:57.17573486Z level=error msg="Loki health check failed" error="error from loki: Get \"http://loki-stack.loki-stack:3100/loki/api/v1/query?direction=backward&query=vector%281%29%2Bvector%281%29&time=4000000000\": dial tcp: lookup loki-stack.loki-stack on 10.96.0.10:53: no such host" 게다가 loki-stack service 의 ip를 이용해서http://10.~:3100으로 하면 다음 에러가 보이구요왜 syntax error가 나오는지...404 not found라서 그럴까요? 혹시 loki git yaml에서 특별히 수정하신부분이 있을까요? on=12.351705ms queriesLength=1 stage=prepareRequest runInParallel=falselogger=tsdb.loki endpoint=checkHealth pluginId=loki dsName=loki dsUID=cegalnku8hgxsd uname=admin fromAlert=false t=2025-03-19T09:10:30.171955345Z level=error msg="Error received from Loki" duration=169.402576ms stage=databaseRequest statusCode=400 contentLength=65 start=1970-01-01T00:00:01Z end=1970-01-01T00:00:04Z step=1s query=vector(1)+vector(1) queryType=instant direction=backward maxLines=0 supportingQueryType=none lokiHost=10.110.135.91:3100 lokiPath=/loki/api/v1/query status=error error="parse error at line 1, col 1: syntax error: unexpected IDENTIFIER" statusSource=downstreamlogger=tsdb.loki endpoint=checkHealth t=2025-03-19T09:10:30.172189572Z level=error msg="Loki health check failed" error="error from loki: parse error at line 1, col 1: syntax error: unexpected IDENTIFIER"마지막으로 그라파나 서버 들어가서 curl날린결과입니다.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Docker Hub에 Push 무한 로딩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Ansible을 이용한 Docker 이미지 관리 강의에서 create-cicd-devops-image.yml에 작성한 스크립트로 playbook 실행 시 Docker Hub에 Push하는 과정에서 무한로딩이 걸리는데 원인을 찾을 수 없어서 질문드립니다..Docker Hub 로그인도 성공하였고 스크립트에 저의 계정 이름/cicd-project-ansible로도 잘 작성하였고 수동으로 push 명령어를 내려주면 Docker Hub에 이미지가 잘 띄어지긴 합니다.수동으로 명령어를 내려주면 잘 작동하지만 왜 playbook으로는 push과정에서 무한로딩이 걸리는지 모르겠습니다[root@0c03fe2051d5 ~]# ansible-playbook -i hosts create-cicd-devops-image.yml --limit 172.17.0.4PLAY [all] *************************************************************************************************************TASK [Gathering Facts] *************************************************************************************************ok: [172.17.0.4]TASK [Login to Docker Hub] *********************************************************************************************changed: [172.17.0.4]TASK [create a docker image with deployed waf file] ********************************************************************changed: [172.17.0.4]TASK [push the image on Docker Hub] ************************************************************************************.... 무한로딩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dash보드 질문
[root@k8s-master ~]# kubectl get svc -n longhorn-system longhorn-frontend -o yamlapiVersion: v1kind: Servicemetadata: annotations: kubectl.kubernetes.io/last-applied-configuration: | {"apiVersion":"v1","kind":"Service","metadata":{"annotations":{},"labels":{"app":"longhorn-ui","app.kubernetes.io/instance":"longhorn","app.kubernetes.io/name":"longhorn","app.kubernetes.io/version":"v1.5.0"},"name":"longhorn-frontend","namespace":"longhorn-system"},"spec":{"ports":[{"name":"http","nodePort":null,"port":80,"targetPort":"http"}],"selector":{"app":"longhorn-ui"},"type":"ClusterIP"}} creationTimestamp: "2025-03-15T12:51:11Z" labels: app: longhorn-ui app.kubernetes.io/instance: longhorn app.kubernetes.io/name: longhorn app.kubernetes.io/version: v1.5.0 name: longhorn-frontend namespace: longhorn-system resourceVersion: "651284" uid: 4d4f3f21-0afc-4f79-98d4-9054145143easpec: clusterIP: 10.103.92.225 clusterIPs: - 10.103.92.225 externalTrafficPolicy: Cluster internalTrafficPolicy: Cluster ipFamilies: - IPv4 ipFamilyPolicy: SingleStack ports: - name: http nodePort: 30705 port: 80 protocol: TCP targetPort: http selector: app: longhorn-ui sessionAffinity: None type: NodePortstatus: loadBalancer: {}뭐가 잘못됐을까요?dash보드가 안들어가집니다. 쿠버네티스 데시보드도 안들어가져요..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그라파나 - {{ x86-64, arm64 }}
프로메테우스에 데이터가 없어도 annotation 지정한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나요?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질문 하기]프로메테우스에 데이터 보관주기가 있는걸로 아는데 해당 보관주기가 지나서 프로메테우스에 데이터가 없어도 annotation 지정한 상태로 이동하면 데이터가 있을때 처럼 화면을 볼 수 있는것인가요?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프로메테우스 - {{ x86-64, arm64 }}
vagrant up 실행 시 에러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질문 하기]PS C:\Users\dltkd\k8s-edu\_Lecture_prom_learning.kit\ch2\2.3> vagrant up>>Bringing machine 'cp-k8s-1.30.3' up with 'virtualbox' provider...Bringing machine 'w1-k8s-1.30.3' up with 'virtualbox' provider...Bringing machine 'w2-k8s-1.30.3' up with 'virtualbox' provider...Bringing machine 'w3-k8s-1.30.3' up with 'virtualbox' provider...==> cp-k8s-1.30.3: Checking if box 'sysnet4admin/Ubuntu-k8s' version '0.8.6' is up to date...==> cp-k8s-1.30.3: Clearing any previously set network interfaces...There was an error while executing VBoxManage, a CLI used by Vagrantfor controlling VirtualBox. The command and stderr is shown below.Command: ["hostonlyif", "create"]Stderr: 0%...E_FAILVBoxManage.exe: error: Failed to create the host-only adapterVBoxManage.exe: error: Querying NetCfgInstanceId failed (ERROR_FILE_NOT_FOUND)VBoxManage.exe: error: Details: code E_FAIL (0x80004005), component HostNetworkInterfaceWrap, interface IHostNetworkInterfaceVBoxManage.exe: error: Context: "enum RTEXITCODE __cdecl handleCreate(struct HandlerArg *)" at line 105 of file VBoxManageHostonly.cpp이런 에러가 발생합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그라파나 접속이 안되네요 ㅠㅠ
아무리 grafana접속해봐도 안뜨네요 ㅠㅠgrafana삭제하고 재성성해봐도 똑같아요.아래는 pod로그입니다. info 레벨만 제외하고 로그 추출해봤어요 로컬로 실행해도 아래처럼 나와요강의대로 하다보면 kubernetes-dashboard는 30000 노드포트가 열려있고,grafana는 30001 저는 30010으로 했는데 여튼, 로컬에서 telnet 으로 해보면 30000포트는 열리는데 30010 은 안열립니다. 겉에서 봤을때는 서비스가 떠있지만 제대로 외부에서 날려보면 응답이 없는상태입니다. 그런데 마스터서버 들어가서 curl날려보면 302가 나옵니다. 검색해보고 찾다찾다 안되서 다시 글남겨봅니다 ㅠㅠ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3 (#실무핵심 #Docker #Nginx #Minio #Longhorn)
preStop sleep 5초의 기준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일프로님. 수업을 듣다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1.preStop sleep time을 5초로 잡은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구체적으로는 1)경험적으로 얻은 것인지 여부2)하드웨어나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EKS 같은 매니지드 서비스 마다 적절한 sleep time이 크게 달라질 수도 있을지 궁금합니다.2. 기존 서비스의 sleep time을 40초에서 5초로 단축해도 괜찮을지제가 인수인계 받은 사이드 프로젝트가 있는데 AWS EKS에 Spring 서버가 구현되어 있습니다. 현재 sleep time이 40초로 되어있는데 단축해도 큰 문제는 없을까요? *장애가 나도 괜찮은 서비스라 학습 목적으로 편하게 테스트 할 예정입니다.
-
미해결실전! GitHub Actions으로 CI/CD 시작하기
강의 자료 파일이 깨진거 같습니다
다운로드해도 파일이 안열리고 파일명이 자소분리현상이 있습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Argo CD Image Updater를 이용한 수업 이슈(2232) ImagePull
처음 강의부터 쭉 따라오신 분들에 한해서 제가 발견한 이슈사항 공유하고 싶어서 글을 남겼습니다. 저의 경우는 Repository를 전부 제 개인껄로 옮겨서 사용중인데요. 문제는 포크를 하지않고 제가 공부하는 Repo가 따로 있어 거기에 모아 놨다는게 문제입니다. github pull할때 path가 미친듯이 짜증나더라구요.pull하는 기준이 제가 git으로 관리하는 폴더들이 싸드리 싹싹 똑같이 생성되기 때문에 접근이 엄청 힘들었는데요. 그래서 이짓을 해야 했습니다. pipeline { agent any tools { gradle 'gradle-7.6.1' jdk 'jdk-17' } parameters { // 배포 환경 선택 choice(choices: ['dev', 'qa', 'prod'], name: 'PROFILE', description: '배포 환경 선택') } environment { // 본인의 username으로 하실 분은 수정해주세요. DOCKERHUB_USERNAME = '비밀' GITHUB_URL = '입니다' APP_VERSION = '1.1.1' BUILD_DATE = sh(script: "echo `date +%y%m%d.%d%H%M`", returnStdout: true).trim() // 위에 date 포맷 오류가 있어요. %y%m%d.%H%M%S가 맞습니다) TAG = "${APP_VERSION}-" + "${BUILD_DATE}" // 소스코드 위치 SOURCE_DIR = "kubernetes/일프로/project/kubernetes-anotherclass-api-tester-main" // 배포 및 도커관련 위치 KUBE_DIR = "kubernetes/일프로/kubernetes-anotherclass-sprint2-main" // 실습 넘버링 CLASS_NUM = '2232' } stages { stage('소스파일 체크아웃') { steps { checkout scmGit(branches: [[name: '*/main']], extensions: [[$class: 'SparseCheckoutPaths', sparseCheckoutPaths: [[path: "${SOURCE_DIR}"]]]], userRemoteConfigs: [[url: "${GITHUB_URL}"]]) sh "pwd" sh "ls -al" } } stage('소스 빌드') { steps { // 755권한 필요 (윈도우에서 Git으로 소스 업로드시 권한은 644) sh "pwd" sh "ls -al" sh "cd ./${SOURCE_DIR} && chmod +x ./gradlew" sh "cd ./${SOURCE_DIR} && gradle clean build" } } stage('릴리즈파일 체크아웃') { steps { checkout scmGit(branches: [[name: '*/main']], extensions: [[$class: 'SparseCheckoutPaths', sparseCheckoutPaths: [[path: "${KUBE_DIR}/${CLASS_NUM}"]]]], userRemoteConfigs: [[url: "${GITHUB_URL}"]]) } } stage('컨테이너 빌드 및 업로드') { steps { // jar 파일 복사 sh "cp ./${SOURCE_DIR}/build/libs/app-0.0.1-SNAPSHOT.jar ./${KUBE_DIR}/${CLASS_NUM}/build/docker/app-0.0.1-SNAPSHOT.jar" script{ // 도커 로그인 withCredentials([usernamePassword(credentialsId: 'docker_password', passwordVariable: 'PASSWORD', usernameVariable: 'USERNAME')]) { sh "echo " + '${PASSWORD}' + " | docker login -u " + '${USERNAME}' + " --password-stdin" } // 도커 빌드 및 업로드 if (DOCKERHUB_USERNAME == "1pro") { TAG = "1.0.1-231220.175735" // 1pro useranme 수강생을 위한 고정 태그명 sh "docker build ./${CLASS_NUM}/build/docker -t ${DOCKERHUB_USERNAME}/api-tester:${TAG}" } else { // 도커 빌드 sh "docker build -t ${DOCKERHUB_USERNAME}/api-tester:${TAG} ./${KUBE_DIR}/${CLASS_NUM}/build/docker" // [2] 잦은 배포 - versioning 무의미, 계획된 배포 - versioning 필수 sh "docker push ${DOCKERHUB_USERNAME}/api-tester:${TAG}" } // 도커 이미지 삭제 sh "docker rmi ${DOCKERHUB_USERNAME}/api-tester:${TAG}" } } post { always { // 도커 로그아웃 sh "docker logout" } } } } } 삽질을 몇번하니 이젠 뭐 대충 어디서 문제가 발생하는지 보이더군요... 뭐 서두는 여기까지... 급하신분은 여기부터 보시면 됩니다.싱크가 제대로 안될 경우 해결방법detail에서 annotations 작성시 image path를 잘 적었는지 확인(1pro/api-tester -> ${docker username}/api-testerrepo URL 본인 것인지 확인PATH 경로 잘 작성했는지 확인(저처럼 fork를 하지않고 특정 레포에 넣으신분들...) image pull이 안되는 경우 해결방법Jenkinsfile을 뒤져서 DOCKERHUB_USERNAME 및 GITHUB_URL변경했는지 확인2232/deploy/helm/api-tester 폴더에 들어가 values.yaml과 values-xx.yaml파일들의 images가 1pro-/api-tester가 아닌 ${docker username}/api-tester인지 확인Docker Hub에 접속해 v1.0.0으로 태그가 달려있으면 삭제 후 212 List View의 container-build했던 부분의 Jenkinsfile에서 image생성시 사용한 태그가 v1.0.0인지 확인해보고 GitHub에 들어가 v를 삭제한 1.0.0으로 커밋한 후에 컨테이너 빌드를 다시 시작(이 때 CI/CD서버에 docker에 로그인이 되어 있어야합니다.) 저는 이정도로 해결이 되었습니다. 아름다운 결과...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그라파나 접속안됨요.
[Sprint1]실무에서 느껴 본 쿠버네티스가 정말 편한 이유 > 모니터링 설치 - Loki-Stackaver.com/kubeops보고 그대로 따라 했고pod, serivce도 노드포트로 잘 떠있는데대시보드는 잘 들어가 지는데 그라파나는 안들어가지네요? 그라파나 로그를 보니logger=provisioning.plugins t=2025-03-14T08:35:36.026484731Z level=error msg="Failed to read plugin provisioning files from directory" path=/etc/grafana/provisioning/plugins error="open /etc/grafana/provisioning/plugins: no such file or directory" 이렇게 뜹니다.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설치확인 시 오류(kubectl get pod -A)
안녕하세요. 강사님. vagrant up 으로 초기 설치를 완료하였고,설치 확인을 위해 아래 명령을 실행했는데, "ContainerCreating" 상태에서 진행이 안되고 있습니다.kubectl get nodes 에서 보면 node 들이 제대로 안 올라오는데, 확인해야 할 사항이 있을까요?(사내망에서 설치가 안되서, 일반 네트웍에서 설치완료하였고, 현재 실행은 다시 사내망입니다.) [root@k8s-master ~]# kubectl get pod -ANAMESPAC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calico-apiserver calico-apiserver-5dcbcb6d5c-qh5gs 1/1 Running 2 (2m52s ago) 4h42mcalico-apiserver calico-apiserver-5dcbcb6d5c-wcd8b 1/1 Running 2 (2m52s ago) 4h42mcalico-system calico-kube-controllers-55ff45c86c-7cgxx 1/1 Running 2 (2m52s ago) 4h54mcalico-system calico-node-49t4r 0/1 Init:0/2 0 69mcalico-system calico-node-6kz5k 0/1 Init:0/2 0 69mcalico-system calico-node-84hjp 1/1 Running 3 (2m52s ago) 4h54mcalico-system calico-typha-58766d784b-hb274 0/1 ContainerCreating 0 69mcalico-system calico-typha-58766d784b-tg7zr 1/1 Running 3 (2m52s ago) 4h54mcalico-system csi-node-driver-h5tk7 2/2 Running 4 (2m52s ago) 4h54mcalico-system csi-node-driver-nn4zf 0/2 ContainerCreating 0 69mcalico-system csi-node-driver-rgsnv 0/2 ContainerCreating 0 69mkube-system coredns-5d78c9869d-5bk8z 1/1 Running 2 (2m52s ago) 4h55mkube-system coredns-5d78c9869d-nlccd 1/1 Running 2 (2m52s ago) 4h55mkube-system etcd-k8s-master 1/1 Running 2 (2m52s ago) 4h55mkube-system kube-apiserver-k8s-master 1/1 Running 2 (2m52s ago) 4h55mkube-system kube-controller-manager-k8s-master 1/1 Running 2 (2m52s ago) 4h55mkube-system kube-proxy-jkp4z 0/1 ContainerCreating 0 69mkube-system kube-proxy-lqkqp 0/1 ContainerCreating 0 69mkube-system kube-proxy-sgk7v 1/1 Running 2 (2m52s ago) 4h55mkube-system kube-scheduler-k8s-master 1/1 Running 2 (2m52s ago) 4h55mkube-system metrics-server-7db4fb59f9-2nfkl 0/1 Pending 0 4h55mkubernetes-dashboard dashboard-metrics-scraper-5cb4f4bb9c-clzsv 0/1 Pending 0 4h55mkubernetes-dashboard kubernetes-dashboard-6bc7c98694-hj4t2 0/1 Pending 0 4h55mtigera-operator tigera-operator-84cf9b6dbb-fq6ss 1/1 Running 5 (2m6s ago) 4h55m [root@k8s-master ~]# kubectl get nodesNAME STATUS ROLES AGE VERSIONk8s-master Ready control-plane 4h55m v1.27.2k8s-node1 NotReady <none> 69m v1.27.2k8s-node2 NotReady <none> 68m v1.27.2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리소스 표시문제
metrics server까지 설치해서 파드별로는 리소스 차트가 보이는데 상단에는 데이타 기다리는중으로만 나오네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cri 활성화
vagrantfile다운받아서 보면 주석으로 cri활성화 부분에 /etc/containerd/confi.toml 파일에서 SystemdCgroup 으로 설정하는 부분이 있던데이부분이 cri활성화 부분과는 무관하지 않나요? kubernetes document에서 cri활성화부분에 대한 설정은 딱히 안보이고..단순히 cri 를 준수하는 컨테이너 런타임을 사용해야한다라고만 나오는데~~cri활성화를 어떻게 하나요?
-
해결됨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원클릭 배포시 myeks 를 제외한 나머지 설치 불가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원클릭 배포를 4장부터 수행하고 있습니다. 4장 myeks 를 포함한 총 9개의 스택이 생성되어야 하는데, myeks 를 제외한 나머지 스택 설치가 안되고 있습니다. 문제 해소를 위하여 가장 최근 문의 내용 중 [원클릭 배포 결과가 다릅니다.] 를 참고하여 진행을 하였으며, aws sts get-caller-identity --query Arn 실행 시 CF 시 입력했던 계정으로 되어 있음을 확인 했습니다. CF 에 입력한 AccessKey, SecretKey 의 IAM 계정은 Console Access 접근 권한은 없고 Only CLI 접근 권한이 부여된 계정이며 권한은 AdministratorAccess 만 가지고 있습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설치 위해 커맨드 위치가 궁금합니다.
강의는 master서버만 하나만 해두고 모두 다 설치하도록 했는데 실제는 마스터에 별로 노드들이 생성될텐데요...이럴경우에 이 강의메 모든 node부분에 해당되는 부분만 해주면 추가적으로 별도 노드에서는 할게 없나요? 별도로 노드들간 알아서 다 연결이 자동으로 되나요? 또한 지금은 마스터 노드에 편하게 들어갈수있어서접속해서 마스터노드 내에서 kubeadm 초기화 부터 calico설치 dashboard설치등 모두 설치 하는데. 가령 eks같은경우는 마스터 접속이 안될뿐더러...여러 노드들들 생성하는게 일반적인데 이런 환경에서는 실제로 어디위치에서 어떻게 kubeadm초기화명령을 실행하고 또 실행했을때는 마스터 노드를 알아서 찾아서 마스터 노드위치에 kube-scheduler,etdc, control, kube-proxy, kube-apiserver 모두 설치되나요? 그런데 kube-proxy같은경우는 노드마다 설치되는게 아닌지요? 또한 eks같은경우 calico도 어디에서 설치명령어를 실행하나요? 이런경우도 마스터노드를 찾아서 알아서 마스터노드에만 설치가 되나요? 대시보드도 마스터에만 설치가 되나요? 명령어는 어디에서 날리나요? 마스터 노드 접속이 안될텐데요....헷갈립니다. ㅠㅠ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그라파나 - {{ x86-64, arm64 }}
connection refused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192.168.1.10:6443 was refused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질문 하기] vagrant up 이 잘 안되어서ova 통해 이미지 다운로드 후 진행하고 있는데요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확인부탁드릴께요 root@cp-k8s:~# k run chk-info --image=sysnet4admin/chk-infoE0313 23:55:03.115284 3884 memcache.go:265]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s://192.168.1.10:6443/api?timeout=32s": dial tcp 192.168.1.10:6443: connect: connection refusedThe connection to the server 192.168.1.10:6443 was refused - did you specify the right host or port?
-
해결됨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컨테이너에 ssh로 접속 비밀번호 불일치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PS C:\Users\user> docker ps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6b7834a16e0a edowon0623/docker:latest "/sbin/init systemct…" 56 minutes ago Up 56 minutes 0.0.0.0:10022->22/tcp, 0.0.0.0:8081->8080/tcp docker-serverf762097105dd jenkins/jenkins:lts-jdk17 "/usr/bin/tini -- /u…" 2 days ago Up 3 hours 0.0.0.0:8080->8080/tcp, 0.0.0.0:50000->50000/tcp jekins-server docker 컨테이너 상태는 Up상태입니다. ssh root@localhost -p 10022 명령어 입력후 비밀번호는 강좌 밑에 있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였는데도 계속 denied를 당하고 있습니다.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현재 사용중인 OS는 window 11 )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vagrant up 실행 시 오류
안녕하세요. 강사님. 설치 중 오류가 있어 문의드립니다.vagrant up 명령 실행 시 중간에 나던 오류는 yum -> dnf 로 변경하여 오류 없이 [7] 까지는 통과했는데요. 아래 [8] 번 부터 오류가 발생합니다.확인 가능하시면 확인을 좀 부탁 드립니다. k8s-master: ======== [8] kubeadm으로 클러스터 생성 ======== k8s-master: ======== [8-1] 클러스터 초기화 (Pod Network 세팅) ======== k8s-master: W0313 17:20:12.760941 26182 version.go:104] could not fetch a Kubernetes version from the internet: unable to get URL "https://dl.k8s.io/release/stable-1.txt": Get "https://dl.k8s.io/release/stable-1.txt": tls: failed to verify certificate: x509: certificate signed by unknown authority k8s-master: W0313 17:20:12.760978 26182 version.go:105] falling back to the local client version: v1.27.2 k8s-master: [init] Using Kubernetes version: v1.27.2 k8s-master: [preflight] Running pre-flight checks k8s-master: [preflight] Pulling images required for setting up a Kubernetes cluster k8s-master: [preflight] This might take a minute or two, depending on the speed of your internet connection k8s-master: [preflight] You can also perform this action in beforehand using 'kubeadm config images pull' k8s-master: W0313 17:20:12.881425 26182 images.go:80] could not find officially supported version of etcd for Kubernetes v1.27.2, falling back to the nearest etcd version (3.5.7-0) k8s-master: W0313 17:20:13.861338 26182 checks.go:835] detected that the sandbox image "registry.k8s.io/pause:3.6" of the container runtime is inconsistent with that used by kubeadm. It is recommended that using "registry.k8s.io/pause:3.9" as the CRI sandbox image. k8s-master: error execution phase preflight: [preflight] Some fatal errors occurred: k8s-master: [ERROR ImagePull]: failed to pull image registry.k8s.io/kube-apiserver:v1.27.2: output: E0313 17:20:13.105343 26238 remote_image.go:167] "PullImage from image service failed" err="rpc error: code = Unknown desc = failed to pull and unpack image \"registry.k8s.io/kube-apiserver:v1.27.2\": failed to resolve reference \"registry.k8s.io/kube-apiserver:v1.27.2\": failed to do request: Head \"https://registry.k8s.io/v2/kube-apiserver/manifests/v1.27.2\": x509: certificate signed by unknown authority" image="registry.k8s.io/kube-apiserver:v1.27.2" k8s-master: time="2025-03-13T17:20:13+09:00" level=fatal msg="pulling image: rpc error: code = Unknown desc = failed to pull and unpack image \"registry.k8s.io/kube-apiserver:v1.27.2\": failed to resolve reference \"registry.k8s.io/kube-apiserver:v1.27.2\": failed to do request: Head \"https://registry.k8s.io/v2/kube-apiserver/manifests/v1.27.2\": x509: certificate signed by unknown authority" k8s-master: , error: exit status 1 k8s-master: [ERROR ImagePull]: failed to pull image registry.k8s.io/kube-controller-manager:v1.27.2: output: E0313 17:20:13.323731 26275 remote_image.go:167] "PullImage from image service failed" err="rpc error: code = Unknown desc = failed to pull and unpack image \"registry.k8s.io/kube-controller-manager:v1.27.2\": failed to resolve reference \"registry.k8s.io/kube-controller-manager:v1.27.2\": failed to do request: Head \"https://registry.k8s.io/v2/kube-controller-manager/manifests/v1.27.2\": x509: certificate signed by unknown authority" image="registry.k8s.io/kube-controller-manager:v1.27.2"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섹션 10 deprecated
강사님 안녕하세요.섹션10에 제목으로 deprecated 라는 단어가 붙었는데 해당 섹션의 하위 강의들은 듣지 말아야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Vagrant up 오류
안녕하세요. 강사님.. 수고가 많으십니다.k8s v1.27 설치 가이드에 따라 설치를 진행하고 있는데요.vagrant up 명령 실행 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보안 문제인가 싶어, box remove 후 vagrant box add --insecure rockylinux-repo.json 로 다시 add 한 상태입니다.)원인 및 조치 방법을 알 수 있을까요? k8s-node1: ======== [6-2-1-1] containerd 설치 ======== k8s-node1: Rocky Linux 8 - AppStream 0.0 B/s | 0 B 00:00 k8s-node1: Errors during downloading metadata for repository 'appstream': k8s-node1: - Curl error (60): Peer certificate cannot be authenticated with given CA certificates for https://mirrors.rockylinux.org/mirrorlist?arch=x86_64&repo=AppStream-8 [SSL certificate problem: self signed certificate in certificate chain] k8s-node1: Error: Failed to download metadata for repo 'appstream': Cannot prepare internal mirrorlist: Curl error (60): Peer certificate cannot be authenticated with given CA certificates for https://mirrors.rockylinux.org/mirrorlist?arch=x86_64&repo=AppStream-8 [SSL certificate problem: self signed certificate in certificate chain] k8s-node1: Failed to enable unit: Unit file containerd.service does not exist. k8s-node1: ======== [6-3] 컨테이너 런타임 : cri 활성화 ======== k8s-node1: /tmp/vagrant-shell: line 68: /etc/containerd/config.toml: No such file or directory k8s-node1: sed: can't read /etc/containerd/config.toml: No such file or directory k8s-node1: Failed to restart containerd.service: Unit containerd.service not found. k8s-node1: ======== [7] kubeadm 설치 ======== k8s-node1: ======== [7] repo 설정 ======== k8s-node1: [kubernetes] k8s-node1: name=Kubernetes k8s-node1: baseurl=https://pkgs.k8s.io/core:/stable:/v1.27/rpm/ k8s-node1: enabled=1 k8s-node1: gpgcheck=1 k8s-node1: gpgkey=https://pkgs.k8s.io/core:/stable:/v1.27/rpm/repodata/repomd.xml.key k8s-node1: exclude=kubelet kubeadm kubectl cri-tools kubernetes-cni k8s-node1: ======== [7] SELinux 설정 ======== k8s-node1: ======== [7] kubelet, kubeadm, kubectl 패키지 설치 ======== k8s-node1: Rocky Linux 8 - AppStream 0.0 B/s | 0 B 00:00 k8s-node1: Errors during downloading metadata for repository 'appstream': k8s-node1: - Curl error (60): Peer certificate cannot be authenticated with given CA certificates for https://mirrors.rockylinux.org/mirrorlist?arch=x86_64&repo=AppStream-8 [SSL certificate problem: self signed certificate in certificate chain] k8s-node1: Error: Failed to download metadata for repo 'appstream': Cannot prepare internal mirrorlist: Curl error (60): Peer certificate cannot be authenticated with given CA certificates for https://mirrors.rockylinux.org/mirrorlist?arch=x86_64&repo=AppStream-8 [SSL certificate problem: self signed certificate in certificate chain] k8s-node1: Failed to enable unit: Unit file kubelet.service does not exist.The SSH command responded with a non-zero exit status. Va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