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7
1
1. 실습 중 본인의 환경이 가이드와 다른 부분이 있었다면 말씀해주세요.
2. 해당 문제의 발생 빈도(재설치 여부)와 문제 해결을 위해 시도해본 케이스를 말씀해 주시면 원인 파악에 큰 도움이 됩니다.
3. 에러 메시지만 봐서는 저도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그전에 했던 작업이 포함된 캡쳐 화면도 부탁 드려요.
4. 영상 내용에 대한 질문 시 해당 시간을 같이 올려 주시면 답변을 드리는 시간이 더 빨라집니다.
5. 긴 로그는 제 메일로 보내주세요. (k8s.1pro@gmail.com)
안녕하세요.
k8s pod에서 Readiness probe warning: Probe terminated redirects, Response body:xxx
probewarning이 나오는데 이런 경우는 어떤이유일까요??
혹시 response code가 200번대 300번가 아닌경우만 실패로 본다고 알고있는데 300이면 실패는 아니지만 warning으로 나타날수있는걸까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300번이면 성공이지만 경고(warning)를 남기는 게 맞긴 합니다. 간혹 Probe에 path를 잘못 넣으면 그런 에러가 나는데, 현재 강의에서 어떤 내용을 실습중이고, 생성한 Yaml 파일이 뭔지 알 수 있을까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inyong.hong님.
쿠버네티스에서 Readiness probe
는 애플리케이션이 트래픽을 받을 준비가 되었는지를 확인합니다. 여기서 Probe terminated redirects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HTTP 응답 코드가 300번대일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300번대 응답 코드는 리다이렉션을 의미하며, 이는 프로브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와 관련된 몇 가지 고려 사항입니다:
HTTP 프로브의 올바른 설정: HTTP Readiness probe
가 다루는 경로 또는 포트가 올바른지 확인하세요. 프로브가 요청을 보낼 때 200번대 응답을 받을 수 있도록 경로나 설정을 검토하세요.
리다이렉션 발생 확인: 인바운드 요청이 내부적으로 다른 위치로 리다이렉트되는 경우, 이로 인해 프로브가 혼란스러워 할 수 있습니다. 리다이렉션의 원인과 필요성을 확인하세요.
응답 코드 처리: 다양한 응답 코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설정에서 명확히 하세요. 300번대는 일반적으로 실패로 간주되지는 않지만, 경로를 수정하거나 설정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로그 확인 및 서버 설정: 서버 쪽 로그를 확인하여 나오는 응답 코드와 함께 리다이렉션 경로를 점검합니다. 필요시 서버 설정 변경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관련된 예제와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사례는 아래 링크에서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아 실습에서 나온건 아니구요 현업에서 발생하는거였는데 정확한 이유를 몰라서 여쭤봤었습니다.
확인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