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이벤트 수에 비해 총 사용자가 현저히 낮은 경우
안녕하세요, ga4를 통한 이벤트 분석 시 이벤트 수와 총사용자수가 거의 상관관계를 띄는데, 유난히 이벤트 수에 비해 총사용자 수가 낮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을까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데이터 설계후 수집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까요?
예를들어 고객의 클릭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고자 한다면파일이나 db로 연동시키는법을 해보고자합니다.매일 12시에 파일을 자동화한다던지 어떤방법이 효율적일까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클릭이벤트_셋팅실습2 문의드립니다.
강사님, 안녕하세요~셋팅실습 10분 3초, 회원가입 click text를 찾고 있는데요.회원가입 클릭 했는데, 아래 이미지처럼 click text에 회원가입 클릭은 잡히지 않네요.중분류까지만 잡히는데 제가 어떤걸 놓치고 있는걸까요? 로그인 클릭도 실습해봤는데요.실행된 태그수에서도 잡히지 않습니다 ㅠㅠ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리텐션 문자로 first_visit이 왜 잡히는 걸까요?
User acquisition 리포트는 사용자가 처음 유입된 디멘션을 기준으로 보는 것이라고, 디멘션을 fist user meidum으로 본다면 fist_visit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의 medium을 기준으로 사용자 수를 카운팅 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저희 회사 데이터에 리텐션 문자로 발송되는 medium에 수치가 적지 않습니다. 리텐션 문자는 가입한 회원이기에 fist_visit이 문자일리가 없는데 말이죠. Q1. 첫 방문을 다른 매체를 통해 PC에서 한 후, 리텐션 문자를 통해 모바일로는 처음 방문했기 걸까요? 혹은 제가 first user 디멘션에 대해 잘못 이해한 것일까요? Q2. 사용자 정보가 유지되는 시간이 90일로 알고 있는데요. 그러면 사용자가 fist_visit 후 매일 방문하더라도 90일 후 fist visit 이벤트가 새로 발생하는 걸까요? 아니면 90일 동안 방문을 안하다가 해야 fist visit이 다시 발생하는 것일까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google/cpc 가 래퍼럴로 잡히는 이유
소스/매체 google/cpc 가 래퍼럴로 분류 됩니다. 채널 및 캠페인 모두 래퍼럴로 분류 되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ㅠㅠ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전환율 관련 문의
구매 관련 세션 키 이벤트 비율과 사용자 세션 키 이벤트 비율 수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문의 드립니다. 탐색 보고서에서 만들어 보려고 하니 전체 이벤트가 모두 반영 되어, 기본 보고서에서 처럼 이벤트를 선택하여 전환율을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기본 보고서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수치가 아니어, 수동으로 측정 항목 기입하여 계산해야 할 것 같은데요. 분모는 측정항목으로 세션수와 총사용자로 두면 될 것 같은데 분자인 구매 완료 세션수와 구매한 사용자를 어떻게 적용하면 될가요? 별도의 이벤트 세그먼트를 만들어서 보는게 맞을지.. 하여 문의 드립니다.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Google Ads와 GA4를 연동하는 강의는 없을까요?
간만에 수강 완료했던 강의에 가물가물한 지식을 다시 찾아보고자 방문을 했더니 몇가지 항목들이 추가된 것을 확인했습니다.정말 많은 강좌를 구매했지만, 최신 사항을 갱신하여 강의에 추가하고, 관리를 하는 강좌는 거의 없었는데이렇게 애틋하게 강좌를 꾸준히 관리해 주시는 모습에 수강한 사람들에게 강사로서의 의무감이나 책임감이 정말 남다르시구나 생각했습니다.질문의 제목은, 본 강좌에 Google Ads를 추가해 달라는 것이 아니라신규 강좌로 Google Ads를 추가해 주실 생각은 없으신가 싶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본 강좌를 수강하고 너무 크게 만족을 한 수강생 한사람으로, GA4의 사용 방법이 더 확장된 강좌 혹은 중급 이상의 더 기술적, 필드 경험이 녹아든 강좌들이 속속히 나와 이 강좌처럼 라이프 사이클이 지속되는 강좌로 오래 가기를 바라는 마음이 큽니다.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강의자료
중간중간 강의 자료를 캡쳐하고 싶은데 방지되어 있더군요.자료는 공개되지 않는건가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스크롤이벤트_세팅 질문
스크롤이벤트_세팅 강의에서, 강의 시간 15:10에 scroll_depth 이 보이지 않습니다 ㅠㅠ 어떤 설정이 잘못된걸까요?
-
해결됨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회원가입 모든 단계의 page url이 동일한 경우는 어떻게 할까요?
안녕하세요. ga에서 직접 이벤트를 설치할 때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사내 웹서비스의 경우 회원가입의 모든 단계의 page URL이 동일합니다. 이런 경우 일치조건을 어떻게 두면 좋을까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롤링배너 CTR을 하려면 클릭한 휫수와 배너 명을 알아야하는데요
해당 부분은 gtag를 써야하는 걸까요? 아니면 기존에 알려주셨던 dom요로 변수를 생성해서 진행할 수 있는걸까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페이지 경로가 잘 안잡혀요
GTM에서 제공한 head,body값을 소스 내 등록했고, 그에따른 데이터가 들어오고 있기는 한데요. 페이지 경로가 계속 하나로만 나오고 있어요. 예를들어 https://naver.com/es/#/ 이 링크라면 페이지 경로가 계속 /es/로만 잡히고 있는데 이부분 개선 방법을 혹시 아실까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GA4를 설치했을 때, SEO 성능 점수가 떨어지는 영향을 받을 수 있나요?
GA4를 설치했을 때, SEO 성능 점수가 떨어지는 영향을 받을 수 있나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혹시 페이지 제목을 바꿔서 수집할 수 있는 이벤트 설정은 어떻게 하는지 여쭤봐도될까요?
링크가 많아서 앞 갚들이 중복되는 링크들은 동일한 제목으로 묶어서 보이게 하고싶은데 방법이 없어서 문의 드립니다.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참여도 > 전환수
참여도에 이제 전환수 메뉴가 없어졌는데 어디서 봐야할까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트래픽 획득 > 탐색 리포트
트래픽 획득에서 비교를 누르고 탐색 리포트로 끌고가는 기능이 없어졌는데 이건 그냥 탐색에서 진행해야하는건가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트랙픽 획득 사용자수
현재 ga4에는 트래픽 획득 내 사용자수 항목이 없는데, 사용자 획득에서 기존 사용자까지 같이 봐야하는걸까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보고서와 탐색 이벤트 수 차이
안녕하세요, 동일 이벤트에 대해 보고서(참여도-이벤트)와 탐색(경로 탐색 분석)에서 이벤트 수의 차이가 많이 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보고서-참여도-이벤트에 대해서 발생한 이벤트는 동일 기간에 143건으로 조회되나,경로 탐색 분석을 통해 시작점에 해당 이벤트를 넣었을 경우, 29건으로 조회됩니다. 100건이 넘게 차이나는 원인을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UTM URL 유입경로 통합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유입경로 통합이 가능한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사내 인스타그램 프로필에 utm url을 달아놨는데,Organic Social - l.instagram.com/referralOrganic Social - instagram.com/referral 이렇게 소스에 'l'이 붙은 주소가 추가되더라구요.검색해보니까 페이스북에서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스팸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해 ‘Link Shim’이라는 기술을 사용해서 주소가 저렇게 바뀌는 거라고 하는데...리포트를 받아볼 때 저 두가지 소스를 한번에 합쳐서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총수익과 상품 수익 금액 차이가 납니다.
총수익은 이벤트의 Value 로 발생한 총금액에서 할인과 환불 금액을 반영한 수익이고... 상품 수익은 item 단의 상품 별 할인 환불을 반영한 수익이라고 이해 했는데요... 총 수익은 이벤트에 해당하는 값이기 때문에 항목 별로 볼 수 없는 부분 까지는 이해 되는데요.. 그러면 항목별 상품 수익으로 봤을때 상품 수익 전체 합이 총수익과 같아야 할것 같은데 왜 다른지 잘 모르겠습니다. 총 수익이 상품수익 보다 높게 나타 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