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윤파고의 정보처리기사 DB/프로그래밍 All-In-One
6:07
업데이트 명령어 설명해주실때 name=test 라고 되어있는데 test에 작은따옴표가 붙어야되는거 아닌가요?? 다른 예시에서는 그렇게 나와서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조건문 반복문 예제 마지막 문제 28:34
해당 문제는 코드를 i, j=1부터 노가다로 푸는게 아니라, 코드해석으로 풀어서 결과값이 i=10, j=21이렇게 바로 나오는걸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3:09 포인터 배열 관련 질문입니다
int p = &n; 이면 변수 n의 주소를 p의 값에 넣는 것이라서 p는 주소값이 되고 *p는 p가 가리키고 있는 주소의 값 즉 n의 값이 되는데int array[] = {10,20,30,40,50};int *ptr = array;인 상황에서*ptr은 배열의 첫번째 값을 가리키는 것이면ptr은 무엇을 갖는 건가요?array의 첫번째 값의 주소를 갖게되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올해 4월달엔가 강의 보고 시험 봤는데 강의 추가로 볼거 있을까요?
혹시 강의 중 추가된 내용이 있는 강의 있을까요?없으면 간단히 훑어보고 코드 문제 위주로 풀려고 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업자료 질문
안녕하세요수업자료 질문 업로드 일정 문의드립니다정적 변수, 정적 메서드 (static) v2해당 수업 수업자료 언제쯤 올라올까요??6월30일까지 업로드한다고 써져있긴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5년 1회 SQL문제나 어려운 문제
25년 1회 SQL문제나 어려운 문제는 따로 강의하신게 있으신가요? 유튜브에서 확인했을 땐 안보여서요.구매한 영상은 전 기출문제위주같습니다
-
해결됨한국에서 제일 쉬운 리눅스 커널 강의
고아(?) 프로세스의 부모 선정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java 프로세스를 생성하니 생각대로 sshd로 접속한 프로세스 하위로 java 프로세스가 생성되는걸 볼 수 있었습니다. 996 996 996 ? 00:04:20 sshd 279106 279106 279106 ? 00:00:00 sshd-session 279140 279106 279106 ? 00:00:00 sshd-session 279141 279141 279141 pts/0 00:00:00 bash 279253 279253 279141 pts/0 00:00:37 java여기서 java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실행한 상태였는데 접속한 sshd 프로세스를 끊어버리니 systemd 하위로 간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1 1 1 ? 00:01:25 systemd 996 996 996 ? 00:04:20 sshd 279309 279309 279309 ? 00:00:00 sshd-session 279343 279309 279309 ? 00:00:00 sshd-session 279344 279344 279344 pts/0 00:00:00 bash 279362 279362 279344 pts/0 00:00:00 ps 279253 279253 279141 ? 00:00:37 java여기서 java 프로세스의 부모가 sshd 하위가 아니라 systemd 하위로 간 이유가 궁금하네요좀 더 정확히는 부모가 결정되는게 어떤 기준으로 결정되는지 궁금합니다부모가 죽었으면 그 바로 위 부모가 새로운 부모가 되는 것인지요..? 시간이 날 때마다 보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파이썬질문
6분에있는 출력값중에 1,2,3출력값앞에 어떤이유로 dict_keys,dic_values,dict_items이런 이름이 붙는지 궁금합니다.어떤규칙성을 가지나요?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2차원 배열 포인터 질문
int a[2][3] = { {1, 2, 3}, {4, 5, 6} }; int sum = (a+0) + (a+1) + (a+2);여기서 내가 모르겠는 부분은 a는 배열이기 때문에 a[0]이 a의 주소로 참조 되고 주소를 100이라고 가정한다면 a는 100의 값이 저장된다. 이때 *a는 왜 1이 아니고 *a는 100번지라는 주소를 가지는 건가요?? 1차원 배열 포인터는 주소의 위치 값을 말한다고 배웠는데 배열에서는 적용이 다른 거 같아서 헷갈리는데 2차원 배열의 특징으로 외워야 하는 건가요? GPT 설명 🔎 핵심: a, *a, a[0], &a[0][0] 모두 주소는 같아도 타입이 다르다표현의미타입주소값 예시a2차원 배열의 첫 번째 행의 주소int (*)[3]100*a첫 번째 행 a[0]int[3]100a[0]첫 번째 행int[3]100&a[0][0]첫 번째 요소의 주소 (즉, 1의 주소)int*100**aa[0][0] == 1int(값) 1즉 *a == a[0] == 주소, **a == a[0][0] == 값저는 a = 100 인데 *a도 100인게 이해가 안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c언어 포인터에대해서 질문입니다
int arr[] = {10, 20, 30,40,50}; int *p = arr; printf("%d", *p++); printf("%d", (*p)++); printf("%d", ++(*p)); printf("%d", *++p); printf("%d", ++*p); 다음과같이 포인터가 존재한다면 어떻게 출력이 되는지와 그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질문
이번 1회 시험봤는데 53점으로 아쉬운듯 아쉽지 않게 떨어져서 1회 기출을 계속 풀어보기 위해 결제한 사람입니다. 어디에도 1회를 복원하고, 제대로 풀어주는 분이 주말코딩님 밖에 없더라고요ㅠ1회 끝나고 2달 만에 공부하는데 지난 기출들은 계속 풀어보면서(좀 까먹어서,,) 1회 문제들만 집중적으로 풀면 될까요??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전에 말씀드린 정답을 제외한 기출문제들
전에 말씀드린 정답을 제외한 기출문제들 묶음에 대해서 언제쯤 올라오는지 궁금합니다.정보처리기사 2회시험이 한달도 남지않아서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업캐스팅질문
예를들어 업캐스팅 상태인데 부모클래스에 생성자 자체가 없고 자식클래스 생성자에서도 super를 안한상태라면 에러가 나야하는게 아닌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JAVA언어 기출문제의 변형
19분에 나오는 자식 생성자 질문드립니다.업캐스팅이 아닌 형태에도 생성자를 호출할때 부모 먼저 호출갈까요?child obj = new child()Parent obj = new child()둘다 마찬가지로 부모먼저할까요?Parent obj = new parent()이 경우는 부모만 하고 끝날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오름차순 내림차순이 안나왔는데 문제 자체가 결함인것 같은데요? 이 정렬을 오름차순으로 푸신 근거가 뭔가요?
오름차순 내림차순이 안나왔는데 문제 자체가 결함인것 같은데요? 이 정렬을 오름차순으로 푸신 근거가 뭔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33분 대 출력값 작성 자바 문제
안녕하세요 선생님.33분 대 자바 문제에서제가 이해한 바가 맞는지 궁금해 질문 드립니다.------------------------------------업캐스팅 되지 않은 상태로 obj가 태어났고child() 생성자를 찾으러 올라갔고,업캐스팅 여부와 상관 없이 새로 객체가 태어나게 되면 child()를 실행하기 전에 -> 자동으로 parent()로 올라가게 됩니다.parent() 안에 있는 this(500)으로 인해 parent(500)을 실행하게 되고,parent의 int x가 100에서 500으로 바뀝니다.그리고 다시 child()로 돌아와서 this(5000) -> child(5000) -> child.x는 4000에서 5000으로 바뀌게 됩니다.다시 메인으로 내려와서 system.out.println(obj.getX())를 실행하게 되고child 클래스에는 getX가 없기 때문에 parent 클래스로 올라가서 getX()를 찾습니다.그래서 return x로 인해 parent의 500을 답으로 돌려주게 됩니다. ---------------------------------[질문]1. 제가 위에 적어놓은 풀이과정이 맞나요?2. 업캐스팅 여부와 상관 없이, 업캐스팅 됐든 되지 않았든 새로 객체가 태어나게 되면 child()를 실행하기 전에 -> 자동으로 parent()로 올라가게 되나요? 3. 만약 Child obj2 = new Child(300) 이렇게 태어나게 되면 Child(int x)로 올라갔다가 -> 자동으로 Parent(int x)로 올라가게 되나요? 아니면 이 경우는 기본생성자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super로 부모를 명시해야 하나요?4. system.out.println(obj.getX())를 실행할 때, child 클래스에 getX가 있었다면 메서드 오버라이딩으로 인해 parent 클래스로 올라가지 않나요? 질문이 너무 많은 거 같은데 죄송합니다..다시 한 번 개념을 정립하고 싶어 길게 질문드렸습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9:38 빈칸 채우기 (정렬 문제)
안녕하세요 선생님.항상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고빈칸 채우기 정렬 문제에서 2번에 nx가 아니고 5라고 써도 정답 처리가 될까요??문제에서는 a[]의 길이가 5이고 해당 문제에서는 이미 문제가 명시되었기 때문에 다른 배열이 올 수가 없는 상태이니5라고 적어도 되지않을까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2023년 2회 코드해석 문제 25:58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c언어 정렬 문제 관련해서요 >=가 안 되는 건 왜 그런 건가요? 두 값이 같을 때 swap하는 건 메모리나 실행 시간 에서 비효율적인 건 알겠는데 결론적으로는 같은 아웃풋을 내지 않나요? 심지어 예시로는 같은 숫자도 없었고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printf("%i + %i = The answer is %i", z) 이렇게 테스트를 했는데도 값이 나와요
3 + 9703459 = The answer is 9703459 이렇게 출력이 되더라고요.%i 를 z로만 채웠는데 알아서 값이 채워진 이유가 뭘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실행흐름에 대한 설명이 좀 이상합니다.
생성자 호출 실행흐름을 따라가다가, 중간에 설명이 틀려서 수정을 해주긴 하셨는데 결국 최종 실행흐름에 대한 설명은 나와있지 않습니다. 정확한 실행흐름에 대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