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Phase2920님의 프로필 이미지
Phase2920

작성한 질문수

(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보처리기사 30일 플랜을 짜고 싶습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44

0

안녕하세요 주말코딩님.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있는 정보처리기사 실기를 수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1회차는 떨어졌고, 2회차는 사정 상 접수를 못하게 되어

 

3회차에 접수하여 응시를 할 생각입니다. 1회차는 아마 40점정도로 맞은 것 같습니다.

이론은 대부분 맞혔지만 코드에서 대부분 정답을 맞히지 못해 불합격을 하고 말았습니다.

 

선생님의 강의를 30일플랜에 맞춰서 활용하려고 하는데 몇 가지 여쭙고 싶은 게 있어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1. 3회차 시험 날까지 30일정도 시간이 있으며, 낮에는 회사에 근무하고 있어서 공부 시간은 저녁 7시부터 가능한 상황입니다. 주말에는 가정사가 있어 1-2시간정도만 학습이 가능한 상황입니다. 시험을 대비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될 수 있을까요?

     

     

  2. 이론은 최근 나온 기출문제에 나온 문제들로 이미 틈틈이 학습 중입니다. 하지만 문제가 코드를 푸는 문제에 있어서 걱정이 됩니다. 일단 코드 문제를 풀 때 main부터 차근차근 풀어나갈 때, 어딘가 반드시 막히게 되더라구요.. 기초는 있지만 응용이 잘 안되는 것 같습니다. 혹시, 정보처리기사 실기문제를 ide상에서 복사해서 붙여 넣지 않고 직접 코딩을 해보는 것이 이해에 도움이 될까요?

  3. 30일 플랜을 짤 때 어떻게 짜면 좋을까요? "1주차에는 몇 강을 듣고 몇 강을 들어라"이런 식으로 조언 부탁 드립니다.

바쁘시더라도 답변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2

1

주말코딩님의 프로필 이미지
주말코딩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Phase2920님.

정보처리기사 실기를 경험해보셨다고 하니 답변하기 좀 더 편해지네요.

 

정보처리기사 실기는 사실상 "코드 실기"로 이름을 바꿔도 무방합니다.

시험을 쳐보셔서 아시겠지만, 코드를 거의 다 맞추고 나머지 1~2개 이론문제를 찍어서 부분점수만 맞혀도 합격합니다.

 

애초에 이론을 맞혀서 통과할 수가 없는 시험인 것은 경험해보셨으니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1. 코드 문제의 특징은 짧은 시간을 여러 일에 나눠서 공부하면 기억에 잘 남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것도 언어다보니 매일 짧은 시간을 한 달 하는 것보다 집중해서 오랜 시간을 일주일하는 것이 좀 더 낫습니다. 어쨌든, 학생이 아니고 직장인이기 때문에 7시부터 가능하다고 하시면 차라리 7시부터 10시까지 코드 기초 문법을 왼쪽에 펴놓고, 오른쪽에는 실기 문제를 펴놓은 뒤에 왜 실기 문제의 답이 이렇게 나왔는지 양쪽 비교해가면서 1~2회차를 복습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 다음에 가능하시면 회사에서 점심식사할 때 혼밥하시면서 눈으로 풀어보세요. 오랜기간을 들여서 문법을 외우는 것보다 차라리 짧은 시간 내에 문법과 실제 출제 문제를 비교해보면서 머릿 속에 익숙하게 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1. 이전에 이론 문제를 거의 다 맞히셨다면 더 이상 이론 공부는 필요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이번에도 이론 다 맞히셔도 똑같이 떨어집니다. 코드를 못 맞히면 그냥 통과를 못하는 시험입니다. “어딘가 막히게 되더라고요”는 너무 추상적입니다. 정확히 어떤 것을 모르겠는지 나열을 해보셔야 합니다. 내가 업캐스팅을 모르는지, 반복문을 못 따라가는지, 데이터 타입에 대한 이해가 없는 지를 알아야지 어디를 공부해야할 지 알 수 있습니다. 

     

    수강생 분들마다 공부하는 방법이 조금씩 다른 것 같은데, 제가 오프라인으로 비전공자분들 과외할 때는 절대 컴퓨터로 코딩 못하게 했습니다. 직접 손으로 다 하게 만들고 답이랑 맞는지를 제가 채점해줬습니다. 저는 정보처리기사 실기는 개발자를 위한 시험이 아니라 얼마나 암기와 이해를 잘했는지를 평가하는 데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여전히 종이에 손으로 쓰면서 언어를 이해하는 것이 합격에 훨씬 더 가까워지는 길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SQLD, 정보처리기사 실기와 같은 시험류들은 다 마찬가지입니다. 컴퓨터에서 치면서 공부하는 것이 더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1. 제 강의 제목 자체가 일주일 안에 정보처리기사 실기 합격하기입니다. 그냥 최대한 빨리 전체를 다 들으시고 나머지 기출문제를 해설을 안 보고 풀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도 직장생활을 해봤지만 직장인이면 정확히 한 달을 맞춰서 계획대로 공부할 수가 없습니다. 그냥 최대한 빨리 모든 언어의 문법 진도를 끝내시고, Java / C에 대한 문제를 반복해서 풀어보세요. 그 다음에 Python 언어의 데이터 형태의 메서드 하나씩 외워보시고 Python만 별도로 공부해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Phase2920님, 정보처리기사 실기를 준비하며 겪고 계신 도전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함께, 좋은 계획을 세우고자 하시는 노력에 응원을 보냅니다. 강의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3회차 시험을 준비하시려는 질문에 대해 몇 가지 조언을 드리겠습니다.

1. 학습 시간 확보

30일 동안 저녁과 주말에 학습할 수 있는 시간을 활용하여 준비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집중적인 학습이 필요합니다. 일단, 매일 2-3시간의 집중적인 시간 확보가 중요합니다. 이러한 시간을 통해 강의와 실습 문제를 차근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학습 시간 예시:

  • 월~금: 매일 최소 2시간 이상
  • 주말: 최소 1-2시간, 가급적이면 더 확보 할 수 있으면 좋습니다.

2. 코드 문제 해결 방법

코드 문제에서 어려움을 겪고 계신다면, 실제 코드를 작성해보는 실습이 크게 도움이 됩니다. IDE(s)에서 직접 코드를 작성하고 디버깅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으로 체험하고, 기억에 더욱 오래 남게 할 수 있습니다.

3. 30일 플랜 추천

다음은 30일 간의 학습 계획에 대한 추천입니다. 강의를 일정과 학습 수준에 맞게 조정하되, 강사의 추천 학습 순서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1주차: 기본 강의 및 이론 복습
- 주말코딩님의 강의에서 기초 섹션과 기본 개념을 복습합니다.
- 최근 기출 문제 리뷰 및 풀이.

2주차: 코드 문제 집중
- 실습 문제를 다양하게 풀어보세요.
- IDE에서 직접 코드를 작성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합니다.

3주차: 이론 정리 및 코드 복습
- 코드 문제를 다시 풀며 실수를 최소화하는 연습.
- 이론을 정리하고 모르는 부분을 체크합니다.

마지막 주: 모의고사 및 실전 대비
- 기출 문제를 정해진 시간 내에 푸는 연습을 통해 실전 감각을 익힙니다.
- 실전을 대비한 컨디션 조절에도 신경 씁니다.

추가 추천 자료: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Phase2920님의 프로필 이미지
Phase2920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