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21:00 Naver 설명?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21:00 쯤에 RootDNS가 com들을 관리하는 DNS IP 주소들을 응답으로 보내주고,KT DNS가 이 com들을 관리하는 DNS들에게 '야 너네 naver아니?' 라고 물어보고, 아는 애가 있으면 Naver를 알려준다고 설명해주셨는데요.여기서 알려준 Naver도 DNS서버를 말씀하시는 걸까요?이게 맞다면 naver DNS서버도 하나 혹은 여러 개 일 수 있고, 우리가 찾는 host name(www)과 일치하는 도메인 주소를 이제 IP 주소로 바꿔서 알려주는 것 역시 naver DNS가 해주는 건가요?감사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ARP request 질문있습니다.
게이트웨이의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ARP request 브로드 캐스팅을 진행한다고 설명해주셨는데요.DHCP 브로드 캐스팅을 통해 알게 된 게이트웨이 IP 주소를 가지고 ARP request를 해서 게이트웨이의 MAC 주소를 응답으로 받는다고 이해했습니다.그러면 ARP request 브로드 캐스팅은 Host와 게이트웨이와의 L3 통신이 맞는걸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File과 Socket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선생님! 질문 있어 글을 남깁니다.프로세스가 data를 전송하기 위해 Socket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이해했습니다.Socket은 커널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더 자세하게는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페이스라고 이해했습니다.지금까지 제가 이해한 부분은 맞는지 궁금합니다.또 File은 mp3 파일, 문서 파일 등 우리가 생각하는 파일이고, Socket이 File의 일종이라고 설명해주셨는데 이 부분이 잘 와닿지 않습니다.다른 질문글에서도 프로세스가 Socket을 open하고 각 Socket이 포트 번호를 부여받는다고 답변을 달아주신 것도 보았습니다.이 설명을 보고나니까 File과 Socket이 무슨 연관성이 있길래 File의 일종이라고 설명해주시는지 더 와닿지 않는 것 같습니다... 정확히 잘 이해가 안됩니다. 좀 더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Port 번호 식별자
포트 번호가 뭐에 대한 식별자인가 라는 질문에프로세스에 대한 식별자로 대답할 수 있다고 설명해주셨는데프로세스 식별자는 PID가 아닌가 했는데 어떤 관점으로 설명해야 하나요? 무슨 차이가 있나요?
-
미해결네트워크, 그림으로 이해하자(2022ver.)
랜카드가 소속된 계층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지난 번에 한 질문 목록[플러딩 관련 질문과 1 2계층 장비 질문](https://www.inflearn.com/questions/862151/%ED%94%8C%EB%9F%AC%EB%94%A9-%EA%B4%80%EB%A0%A8-%EC%A7%88%EB%AC%B8%EA%B3%BC-1-2%EA%B3%84%EC%B8%B5-%EC%9E%A5%EB%B9%84-%EC%A7%88%EB%AC%B8)0. Introduction질문 드리기에 앞서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꼼꼼하게 준비를 해주시고, 답변도 정말 꼼꼼하게 해주셔서 강의를 들으면서 산발적으로 흩어져있던 네트워크 지식이 체계적으로 잡혀가고 있어서, 정리된 것들을 개인 블로그에 정리하고 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하지만 그대로 올리지는 않고 있습니다.그러면 본격적으로 질문 3가지 드리겠습니다. 강의를 듣고 기존에 알고 있는 것과 충돌되는 부분이 있어서 이에 대해 여쭤보는 질문이 많습니다. 비전공자라 여쭤볼 분이 강사님 밖에 없네요.. 죄송합니다.질문 리스트를 별도로 추가한 이유는 이미 답변으로 얘기하신 것에 포함되어 있는데 제가 잘못 이해한 게 있는지 체크하실 수도 있지 않을까 하여 추가해서 올렸습니다. 1. First Question: 더미 허브정확히 이해한 게 맞는 지 체크하고자 질문합니다.지난 번에 한 허브 질문에 이어서 강의를 보면 더미 허브는 MAC 주소 테이블이란 게 없어서 포트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에 데이터를 송신한다고 하여 '더미 허브'라고 하셨는데, '더미'가 쓸모 없는, 가짜 이런 의미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각 컴퓨터에서 사용하지 않는 쓸모 없는 데이터를 보내는 의미라고 이해하면 될까요?또한, 더미 허브는 네트워크의 전체 대역폭을 연결된 컴퓨터끼리 분할해서 사용하는 방식이라고 하셨는데 그 이유는 2계층처럼 헤더가 없어서 모든 컴퓨터에게 보내지기 때문인가요? 2. Second Question: 랜카드의 소속 계층NIC(Network Interface Card)라고도 하는 랜카드가 1계층 물리 계층에 속한 걸로 알고 있는데, 랜카드에는 MAC 주소 정보가 기입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2계층에 속한 것인가요?이에 대해 구글링을 해보니 랜카드 자체는 물리 계층에서 작동하고, 랜카드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인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데이터 링크인 7계층에서 작동한다고 하는데 올바른 정보인가요?? 3. Third Question: 랜카드의 추가적인 역할그리고, 정보를 검색하다보니 이 랜카드가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바꾸는 역할도 한다는 내용이 있어서 여쭤봅니다. 전기 신호로 바꾸는 건 더미 허브의 역할이지 않나요? 바쁘신데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김제하 올림 -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TCP/IP ACK 에 대한 질문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ACK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보통 우리는 Packet을 수신하면 ACK를 보낸다 라고 배우는데요, 강의를 들어보니.. 매 Packet을 수신 할 때 마다 ACK를 보내는건 비효율적이기도 해서 일정 주기마다 ACK가 전송되는 것 같습니다. 수신 쪽에서 ACK를 전송하는 주기나 규칙 등이 있을 것 같은데 혹시 좀 더 자세히 알려줄 수 있으신가요?! 주말 잘 보내세요!
-
해결됨네트워크, 그림으로 이해하자(2022ver.)
플러딩 관련 질문과 1 2계층 장비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2가지 질문 이 있습니다.1) Flooding 질문플러딩 동작이 제가 알기로는 스위치에 연결된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에게 보낼려고 할 때, MAC 주소가 없을 경우에 스위치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에게 보내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그런데, 해당 영상에는 MAC 주소가 있음에도 플러딩 동작을 해서 여쭤봅니다.2) Hub 질문허브의 종류에는 말씀하신대로 더미 허브와 스위칭 허브가 있다고 하셨고 OSI 7 layer에서 1계층 설명시에는 전자를, 2계층 설명 시에는 후자를 언급하셨습니다. 그런데 저희가 컴퓨터와 허브를 연결할 때는 2개의 허브를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로는 허브 하나에 1 2계층이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될까요?2계층에는 MAC 주소 관련하여 포함시키고, 1계층에는 비트로 된 프레임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보내는 역할로서, 이 두 계층의 역할을 허브와 랜선이 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안녕하세요 개발자님, UDP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UDP가 멀티미디어 전송 시 TCP에 비해 이점이 많은 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그러면 UDP로 통신 시, 보내는 데이터그램의 sequence가 보장되지 않을 텐데 그렇다면 이 싱크에 대한 보정은 누가 하며, 어떤 원리로 싱크를 맞춰서 순서대로 진행되게 되나요?제가 개발에 입문한지 얼마 안 되어 설명이 부족할 수 있어 예시로 조금 더 여쭈어보려고 합니다.멀티미디어 파일을 1 2 3 4 5의 데이터그램으로 쪼개고 전송했고, 순서 보장이 되지 않고 유실이 있어 2 4 1 5 형태로 도착했을 경우에 1 2 4 5 형태로 도착했을 시 3번 순서의 데이터는 어떻게 되는지와 이 순서로의 변환은 어떤 구조로 이루어지는지가 궁금합니다. (만약 동영상을 이렇게 전송하였다면, 영상이 중간중간 끊길 수도 있을 것 같아서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패킷은 어떤 원리로 없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수업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들으면서 그동안 들어왔던 용어의 실체가 이것이구나...를 깨달으면서 너무나 발전하는 것 같습니다.갑자기 궁금해졌던 것은, 패킷은 누가 청소하나 입니다. 예를들어 TTL이 다한 패킷은 라우터가 버리고, 또한 DST에 도달한 패킷(제가 이해하기로는 택배 상자)도 버려지는데, 이 패킷들은 누가 치우는지가 궁금합니다.그리고 만약 이 역할을 하는 GC같은 쓰레드가 있다면, 원리도 GC와 비슷한 것인지가 궁금합니다.아직 취업 준비중인 학생이고, 네트워크 개념에 대해 너무 알지 못해서 용어를 잘못 썼을수도 있고, 지식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혹시라도 제가 용어적으로나 개념적으로 실수한 부분이 있다면, 한번 짚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HTTPS 에서 HTTP와 SSL의 관계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뒤늦게 네트워크 공부를 하고 있는 개발자 입니다. ^^; 질문1)Https는 443 Port number를 사용한다고 알고 있습니다.Microsoft edge, Chrome, Firefox 등 다양한 Web browser가 동작한다면 모두 동일하게 443 Port를 사용하는지요? 질문2) 만약에 질문1이 True라면, SSL Layer의 기능 중, 수신 Packet을 분석해서 Web browser에 맞게 HTTP data를 전송해 주는 기능이 있는 것인지요? 문제가 될 여지는 없는지요? 질문3) SSL은 Daemon 등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요? 이상입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중요] 이해하면 인생이 바뀌는 TCP/IP 송·수신구조 ack가 보내는지는 단위?
선생님 안녕하세요 강의 듣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 수신 하는 측에서 ack를 송신 측에서 보낼 때도 똑같이 frame 이라는 단위로 보내는건가요?? 비유해주신 택배차 처럼 보내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포트번호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제가 이해하기로는IP주소에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가 있고 포트번호는 호스트 주소에 있는 프로세스더 정확히 말하면 소켓을 구분하는 번호로 사용된다고 이해하고 있는데요. www.naver.com 이나 www.google.com이나 뒤에 :80 포트 번호가 생략된다고 하던데(https 라면 443 이라고 알고 있습니다)포트 번호는 호스트 주소에서 프로세스를 구분 하는 용도라고 이해를 했는데http프로토콜이 80번 포트를 사용한다는게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http가 프로세스는 아니잖아요? 그런데 어떻게 포트 번호가 있는건지.. 네이버나 구글 url주소를 치면 dns서버에서 ip주소로 변환해서 회사 서버에 접속이 되고그중에서 http 프로토콜에? 웹서비스 접속을 하려고 하니 80번 포트로 접속을 하는 건지..그럼 이것은 강의에서 설명하신 포트 중에 서비스 번호를 의미하는건지.. 그리고 포트포워딩에서 포트는 위에 포트를 의미 한다기 보다강의에서 설명하셨던 2계층 포트를 의미하는건가요? 개념이 뒤죽박죽되어 이해가 가질 않아 답답한 마음에 질문드립니다.ㅠㅠ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서브네팅의 목적 질문
서브네팅의 주목적이공인 ip 주소를 아껴쓰기 위함사설 ip에서 관리자 필요에 따라 호스트 id 범위 조절이렇게 생각하면 맞을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그림에 있는 웹서버가 무엇인가요??
그림에 있는 웹서버가 무엇인가요?? 요청을 사용자 컴에서 보내면 문서 + css파일 + js파일 다 받아온 후에 사용자 컴퓨터의 브라우저가 조립해서 표기를 해주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제가 헷갈리는 부분은 웹서버에서 정적 파일 서빙이후파일 받으면 웹서버를 거쳐서 was를 갈 필요 없이바로 was로 갈 수 있을텐데 구조가 저렇게 되있으면 반드시 거쳐가야 하는것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물론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별로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어떻게 되는 것인가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프로세스간 연결시에 질문
프로세스간 연결시 왜 ip를 통해서 가나요?(그러니까 소켓열어서 파일 입출력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그냥 memory를 공유할 수 잇는 방법이 잇으면 더 빠를거같은데보조기억 장치 메모리를 공유할 수 잇는 방법이 어렵거나 불가해서 저렇게하는건가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tcp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tcp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tcp는 왜 굳이 segmentation을 하나요? segmentation을 하지 않아도 ip에서 fragmentation이 일어나니까 딱히 안해도 상관없지 않나 싶은데요...2-way handshake는 아예 사용되지 않는 기법인가요?3-way handshake에서 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다수의 syn을 보내게 되면, 서버는 이를 어떻게 처리하나요? 중복임을 인지하고 하나의 syn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드랍하나요?궁금한건 많은데 글로 정리하는게 너무 어렵네요~~;;물론 답변해주시는 선생님도 마찬가지시겠지요~노고에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서브넷 마스크에서 == 연산 질문
비트 연산이 === 보다 빠른지 아닌지 궁금합니다c언어 공부할때 비트연산이 더 빠른 것으로 기억하는데아무리 컴퓨터가 좋아져도 네트워크 빠르게 동작하려면 비트연산 사용하는게 좋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들어 질문 드립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socket의 생성시점에 관하여
선생님! 안녕하세요.Server쪽 Socket의 생성 시점에 관하여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질문)Server쪽 Socket은 무엇이 Trigger가 되어 Socket이 Create되고 Open되는지 궁금합니다.Client와 Server가 통신을 하기 위해선 우선 서로 Socket이 생성되어야 합니다.Client쪽에서 Process가 통신을 하기 위해 운영체제에게 요청하여 Socket을 생성(혹은 개방)한다는건 알겠습니다. 즉 Process의 요청이 Trigger가 되어 Socket이 생성이 되는거죠.그리고 Client에서 Socket이 만들어지면 Server로 요청이 가는데 이때 Server쪽 Socket이 Listen 즉 연결 대기 상태가 아니라면 Kernel의 TCP에서 연결을 받아줄 Socket이 없어서 응답을 못받아준다고 설명하셨습니다. 그럼 Server쪽에서는 Socket을 Create하고 Open되어 Listen 상태가 되어있어야 하는데 이는 무엇이 Trigger가 되어 만들어지는 건가요? 그니깐 Client에서 최초 요청을 보낼 때 Server는 이때 처음 Client에게서 요청이 온건데 그러면 당연히 Client와 통신할 사실을 모르고 있을거기 때문에 Process가 Socket을 생성해놓지 않았을거고 그러면 응답이 거부되는 상황밖에 안생기는데 이는 뭔가 아닌거 같아서요.Client에서 Server에 Socket을 만들어라는 뭔가 모르는 Trigger가 있는건가요? (나름 열심히 작성했는데 글 솜씨가 부족하여 제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실지 모르겠습니다ㅠ)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단편화에 관하여
선생님. 안녕하세요! 단편화 수업을 듣고 궁금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질문1수업에서 단편화는 가급적 발생하지 않는게 좋다고 하셨습니다. 그 이유가 Packet 한 개 보낼걸 두 개로 보내면 네트워크 통신 비용이 더 나가기 때문이라고 봐도 될까요?질문2단편화를 발생시키지 않는 방법으로 처음부터 PC쪽에서 단편화를 발생시키는 Router의 MTU인 1400bytes로 보내는 방법을 말씀 해주셨습니다.예를 들어 PC쪽에서 보낼 데이터의 크기가 1500bytes이고 Router의 MTU는 1500bytes, 단편화를 발생시키는 Router의 MTU가 1400bytes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방법1)그럼 위에서 말한 방법대로 1400bytes로 보내면 1400bytes -> 100bytes 이렇게 보내면 단편화는 일어나지 않지만 데이터를 두 번 보내야 합니다. 방법2)근데 PC에서 1500bytes로 보내면 단편화는 일어나겠지만 데이터는 한 번만 보내면 됩니다. 그럼 질문1에서 Packet을 단편화 시키는데 네트워크 비용이 증가하는게 맞다면 어떤 방법1과 방법2 중 어떤것을 선택하든 장점과 단점이 발생하는게 아닌가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Packet으로 만든다는 표현에 관하여
선생님 안녕하세요.나날이 선생님 수업을 듣고 지식이 풍부해지고 있습니다.우선 질문을 들이기 전에 현재 네트워크 공부 상태는 L3 파트를 다 들었고 다시 한번"이해하면 인생이 바뀌는 TCP/IP 송수신 구조" 강의를 들으면서 질문이 2개 생겼습니다.우선 L3 파트까지 진행하는 동안 "Packet으로 만든다"는 표현을 많이 들었고 이 부분에 관해 의문점이 생겼습니다.데이터는 최종적으로 L1~L2를 거쳐서 Internet 망으로 나가게 되는데 그럼 최종적으로 데이터가 포장되는 형태는 Frame입니다.그럼 L3 부분에서 설명이 이뤄지면 "Packet으로 만든다"라는 표현을 사용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데이터가 Internet 망으로 나가게 되면 L2 -> L1을 거치면서 나가고 L2 ~ L1에서는 Packet을 Encapsulation 한 Frame의 형태로 유통이 됩니다.질문1근데 강의에서 Internet 구간에서 정보가 유통될 때는 "Packet의 형태로 유통된다"고 말씀하시는데 Internet망을 논하는 단계면 최종적으로는 데이터가 Frame 형태로 Internet망에 유통이 되었다는건데 왜 L3단계에서 이야기해야하는 "Packet의 형태로 유통된다"고 말씀하셨는지 이해가 가지않습니다.질문2강의에서 Packet을 만드는 걸 택배 포장에 비유하셨고 택배를 실은 트럭을 Frame에 비유하셨습니다. 그리고 "Packet 이라는건 그나마 유지가 되는데 Frame은 유통 과정에서 트럭을 계속 갈아탄다"라는 표현을 사용하셨고 최종적으로는 "Frame은 수시로 트럭이 바뀐다"라는걸 강조하셨습니다. Frame안에 Packet이 들어가있는데 Frame이 수시로 바뀐다는 말은 Decapsulation 되어 Frame이 벗겨졌다가 다시 Encapsulation되어 Frame이 씌어지는 과정이 Internet망에서 일어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