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2024 업데이트] UX/UI 시작하기 : Figma 입문 (Inflearn Original)
11강 강의 내용
11강에서 오브젝트 불러오기 설명해 주실 때어도비 일러스트에 있는 오브젝트에서피그마로 불러올 때 강사님께서"그대로 이 path가 살아있다"라고 하셨는데여기서 말하는 path가 무엇인가요?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Style 저장하는데 Variable?
Color styles을 저장하고 있었는데, 뭔가 투명도 처리 등을 한 컬러를 저장하니까 Local Variables이라는 다른 카테고리로 Styles과 별개로 저장이 되는데 이게 뭔가요? 이걸 Styles로 같은 카테고리로 저장은 못하나요?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Text 박스 조정하는 법
도형 안에 텍스트를 올려 버튼을 만드는 일이 많은데요. 도형 안 텍스트가 정 한가운데에 있어야하는데, 계속 살짝 위아래 정렬이 한가운데가 아니라 아래쪽으로 쏠린 모습이예요. 텍스트박스도 도형 안에 한 가운데에(동일 Padding) 잘 놓았고, 텍스트박스도 위아래 가운데 정렬 설정 모두 다 잘 한상태인데두요. 그래서 Text의 Line Height 이라는 부분을 줄간격 개념으로 생각하고 Auto가 아닌 0으로 설정해보았는데, 첨부드리는 이미지와 같이 Text 박스가 실제 Letter보다 작아져요. Line Height 0이면 텍스트박스가 원래 그렇게 작게 보이는건가요?텍스트 박스 안의 Letter 높이와 딱 맞게 텍스트 박스 높이를 조정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텍스트의 Font size와 동일하게 텍스트박스 Line Height 맞추면 비슷해지는것같긴하지만, 여전히 하단맞춤정렬이 되어있는 느낌입니다. 버튼 도형안에 버튼명 텍스트가 한가운데에 보이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혹시 텍스트 Layout (ㅣ→ 이런 설정)의 문제일까요?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확장성
확장성을 위해 아이콘 제작에서 스트록으로 그린 아이콘은 스트록 아웃라인을 해야 커져도 크기의 비율이 일정하게 늘어나는 거죠?
-
미해결[2024 업데이트] UX/UI 시작하기 : Figma 입문 (Inflearn Original)
자료 다운로드 방법
수업 자료를 다운로드하려고 https://www.figma.com/@inflearn 에 들어가서 [업데이트]라고 된 것 3가지를 다운받으려 하는데 자료를 어떻게 다운받는지 모르겠어요. 편집화면? 비슷한 것만 나와요.제가 피그마를 하나도 몰라서 ... 어떻게 할 지 모르겠습니다.기존 글을 찾아보니 인프런에서 다운로드 하는 방법도 있던데 만약 이것도 가능하면 어떻게 찾아가는지 알려주세요.
-
해결됨[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업데이트가 되어 강의부분과 많이 달라 따라가기 어려워요.
우선 강의를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의 들으시면서 궁금하신 부분을 남겨주세요.업데이트가 되어 강의부분과 많이 달라 따라가기 어려워요.업데이트는 언제 가능한가요? 회사 일 관계로 빠른 답변이 어려울 수 있으며, 최대 3일 이내에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스크린샷 이미지, 피그마 파일 링크를 반드시 첨부해주세요. 마지막으로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는지 한번 찾아보시는 걸 권장 드립니다.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해서는 1:1 문의하기로 인프런 쪽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하단바 설정하는 방법
선생님께서 영상에서 보여주신 것처럼 Frame은 실제 화면 상관없이 길게 하고, 맨 하단에 하단바 Fixed position으로 놓아주고, Prototype에서 볼때 실제 볼 디바이스 설정해서 보는 방법이 있고,1번 방법 아니면 첨부 이미지와 같이 Frame을 실제 볼 디바이스 해상도로 설정해주고, 하단바를 저런 식으로 Frame 하단에 붙여주고, 그 밑으로 스크롤 되는 컨텐츠들은 Frame 밖에 저렇게 놓고 묶어주는게 맞는건가요? (핑크색 바탕에 블랙 사각형 4개 있는 것이 하단바입니다.) 1번 방법이 디자인 작업할때는 쉬운데, Prototype에서 해당 디바이스 설정하면 자꾸 휴대폰 모양 프레임이 나와서 별로예요.. 다른 방법이 있는지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완강 이벤트에 참여 했는데, 자료는 언제쯤 받아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완강 이벤트에 참여하여 수강 후기와 설문조사를 모두 완료했는데, 아직 노션 자료를 받지 못했습니다. 혹시 누락된 건지, 아니면 언제쯤 받아볼 수 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컴포넌트들 에셋상에서 폴더값으로 분류하는 법
컴포넌트들 에셋상에서 폴더값으로 분류시키는거요~ 똑같이 컴포넌트명에 폴더명 쓰고 / 처리했는데 왜 에셋상에서 폴더링이 안되는거죠?
-
해결됨[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버튼 생성시
시간이 지나서 강의를 들어서인지 그 동안 피그마 업데이트가 좀 많이 된거 같더라구요버튼 프로퍼티와 인스턴스 스왑 하실때 아래 1번 그림에서 만드는게 맞는지토글 버튼을 활용해 아이콘을 껏다 켰다 했는데 그부분이 2번 그림에서 진행하는게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12.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하단바 고정시
먼저, 저는 선생님이 하신대로 하단바 고정이 안되서 계속 고생하다가 결국 해결했는데~ fixed(stay in place) 선택하기전에 하단바 Constraint를 Scale(생략가능?) + bottom으로 설정을 해놓고서 fixed를 해야하는게 맞는거죠?1번 방법으로 시정해서 하단바 고정은 잘 되었는데, 프로토타이핑에서 전체 화면은 특정 디바이스(ex. 아이폰 13 mini)로 보이게 하고 진짜 화면처럼 해당 화면 사이즈 내에서 하단바 고정시키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거예요? 프레임 중간에 하단바를 놓는건 아닐거잖아요? ㅎ
-
해결됨[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디스코드 참여 안됨
안내해주신 링크를 눌러 디스코드에 참여하려는데 없는 링크거나 참여 권한이 없다고 뜹니다..ㅠㅠ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섹션 12 예제 파일이 안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혹시 섹션 12의 예제 파일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저와 같은 질문을 하신 수강생 분이 계셔서https://www.inflearn.com/course/%ED%94%BC%EA%B7%B8%EB%A7%88-ui%EB%94%94%EC%9E%90%EC%9D%B8/news/90808해당 링크에 가서 확인해보았지만 강의가 추가로 업데이트 되면서 순서가 달라진 것인지, 섹션 12 강의 내용에 맞는 피그마 파일이 아닌 다른 섹션의 피그마 파일이 올려져있었습니다. 섹션 12에 해당하는 예제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는 링크를 다시 한 번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해결됨[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디자인시스템 작업중 생긴 여러 질문들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튜터님강의를 너무 잘보고있습니다! 고민하던 많은 부분이 해소되고있어 감사한 마음이에요 ㅠㅠ강의를 듣던중 평소 가지고있던 몇가지 질문과, 강의에서 파생되는 질문들이 있어 아래 문의남깁니다! [Shadow 여러겹 효과를 주는 이유] shadow효과의경우 튜터님께서도 강의에서 2개 값을 주신것처럼 1개 값만 주기보다는 2개씩 추가해 값을 주는경우가 많은것같은데요. 보다 섬세하게 그림자를 표현하기 위함일까요? (그렇다고 3~4개를 넣는 경우는 못본것같은데, 이렇게 레이어를 쌓듯이 그림자를 많이 추가하는 경우가 있을까요?) 2개를 넣었을때 위에 들어가는 수치와 아래 들어가는수치가 각각 의미하는게 강의에서처럼 큰 그림자, 잔그림자로 생각하면 될런지요? 너무 사소한건데 볼때마다 왜 다들 2개씩 추가해서 쓰게되었을까 궁금했던 부분이라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1개의 뜻에 여러 용어가 쓰이는경우] 모달 뒷배경의경우에 스크림이라고 나와있는데, overaly, dimmed 이런 용어도 혼용해서 많이 쓰고있는것같아서.. 혹시 3개가 각 의미하는바가 다를까요? 팀에서도 디자이너마다 비슷한데 다르게 쓰고있는 용어들이 종종 있어서 통일을 해야겠다 싶은데, 각자 입에 붙은용어가 편하다보니.. 어떤 기준으로 통일을 제안할수 있을까 싶은데 튜터님은 비슷한 상황이면 어떤 기준으로 통일을 하시나요? [레이어명 작업] 그리고 또하나 사소한것일수 있는데, 튜터님은 작업하실때 레이어이름을 디자인 할때마다 그때그때 수정하시나요? 빠르게 작업하다보면 신경을 못쓸때가 있는데 나중에 정리하려면 너무 레이어가 많아서 엄두가 안나더라구요. 이런경우는 디자인시스템이 확립되면 많이 수월해질것같은 부분이긴 하지만요. 레이어 이름을 매번 수정해야하는것, 그리고 어떤 레이어이름을 써야할지 이또한 컴포넌트화되어있지 않으면 매번 통일해서 쓰기가 (다른 디자이너와도 일관되게 사용하는게 어렵고, 스스로도 대소문자, 레이어 명칭을 모든 화면에 통일해서 쓰는게) 번거롭고 일관성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런 어려움이 있으셨거나 해결하고 계신 방법이 있으신지 문득 궁금하여 긴 질문글 남깁니다..! [라이브러리를 고려해 디자인시스템을 만들때 주의할점] 저희 개발자분들이 tailwind, shadcn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데.. 라이브러리를 고려해 디자인시스템을 만들때 주의해야하는점이 있을까요? 디자인시스템을 막 만들려고 하는 초기단계라, 어떤점을 고려해야좋을지싶어서요. 우선은 컴포넌트의 경우 라이브러리를 활용할수있는 컴포넌트(date pick과 같은)는 디자인을 해놓지 않고, 라이브러리에 없거나, 있다고하더라도 다른 형태의 디자인이 필요하다 생각하는경우는 디자인팀에서 컴포넌트로 만들고 개발팀에서 사용하게 하는 방식을 고민해보고 있어요. 라이브러리마다 토큰 형식이 정해져있다면 그 방식도 따라야하나 싶은데, 토큰은 라이브러리와 관계없이 정해도 되는걸까요? (추후 주로 쓰는 라이브러리가 변경될수도 있으니..?) [멀티프로젝트 대응을 위한 디자인시스템] 디자인시스템 만드는 과정에서 너무많은 변수를 고민하고, 완벽한 시스템을 기준에 두고 생각하다보니, 보게되는 자료도 너무많고, 각 회사마다 스타일도 다르고 이것저것 고민하다보니 속도가 안나서 고민이었거든요.. 특히나 지금 만들려고하는 시스템은 멀티브랜드도 아니고 멀티 프로젝트에 대응할수있는것을 만들려다보니, 보통은 인하우스나 멀티브랜드용 시스템들이라 이런 목적의 디자인시스템 케이스가 없더라구요. 이런경우에도 강의에서 멀티브랜드용으로 생성했던 테마 베리어블을 적용하면 이점이 많이 있을까요? 이렇게 에이전시성격의 멀티프로젝트를 응대하는 디자인시스템중에 참고할만한 레퍼런스가 있는지 아시는지도 궁금해 함께 여쭤봅니다..! 사소한 질문들도 남긴것 같아서 다소 질문이 길어졌네요.. 천천히 답을 주셔도 너무 감사할것 같습니다! 그럼 좋은하루되세요 🙂
-
해결됨[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컬러선택시 아이콘 컬러가 리스트에서 안보여요
BOLD PLUS Foundation v1.2.1 (Community)이 버전을 Added 하고 실습을 따라하고있는데요. 아이콘을 선택하고 color/icon/interactive 가 활성되지않습니다. color/bg border 등은 다 보이는데 icon 컬러만 안보입니다. 어떻게 하면될까요?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제플린 핸드오프에 관련 질문입니다.
제플린을 통한 핸드오프는 훨씬 까다로운 절차가 있는 것 같은데 따로 강의편까지 해주신 이유가 궁금합니다.현업에서 제플린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제플린만의 강점이 있는 것일까요? 이니면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
해결됨[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Frame 생성 시, layer가 모이지 않음
안녕하세요, 강의에서 나온대로 Frame 생성 후 layer를 수정하려고 하는데, 화면이 보이지 않습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네카라쿠배당토 면접관이 알려주는 디자이너 서류・면접 합격 전략
UT와 관련한 글이 어디에 올라와 있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돌멩이님! 강의 구매 후 열심히 따라가고 있는 수강생입니다.다름이 아니라 혹시 UT관련된 글을 공유해 주신다고 하셨는데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는 걸까요? 강의에서 언급하신 '수업노트'가 어디에 있는지 찾지 못했어요 ㅠㅠ
-
해결됨디자이너와 PM을 위한 문제 해결력 실전 강의
영화님! 프로덕트 중심과 콘텐츠 중심이 약간 헷갈립니다
영화님! 프로덕트 중심과 콘텐츠 중심이 약간 헷갈립니다.프로덕트가 곧 콘텐츠 와 맥락을 같이 하는 것 같은데 좀더 자세한 예시가 있을까요???프로덕트와 콘텐츠의 차이가 잘 느껴지지않습니다.
-
해결됨디자이너와 PM을 위한 문제 해결력 실전 강의
영화님! 각 직무별 역할 차이 및 그외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PM과 서비스기획자에 대한 차이가 애매합니다. 챗지피티 기능을 이용해서 내용을 살펴봤지만 확 와닿지 않습니다. 하기 내용은 제가 챗GPT를 이용하고 검색해서나온 내용입니다서비스 기획자와 PM의 차이점[역할 범위]서비스 기획자는 특정 기능이나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를 해결합니다.PM은 제품 전체의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고, 더 큰 그림을 보며 의사결정을 합니다.[조직 구조]서비스 기획자는 기획, 디자인, 개발팀이 분리된 조직에서 팀 간 의견을 조율하는 역할을 합니다.PM은 하나의 프로덕트 팀 내에서 개발자, 디자이너와 협업하며 제품 개선과 의사결정을 주도합니다.[운영 방식]애자일 방식의 조직에서는 PM이, 워터폴 방식의 조직에서는 서비스 기획자가 주로 활용됩니다.2. UXUI 디자이너의 한단계 업그레이드 버전이 프로덕트 디자이너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둘의 차이는 어떻게정확히 정의내릴 수 있을까요?3.현재 홈페이지 디자인을 기획하고 워드프레스로구축하고있는 웹디입니다.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되고 싶고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경력만 뽑는것같던데 UXUI디자이너부터 시작하면 될까요? 영화님은 바로 PD가 되신건가요??4. 다른 사설 강의도 수강중인데 그곳 멘토님은 UI디자인에 많은 강점이 있다고합니다. 똑같은 프로덕트디자이너라도 UI쪽에 강점이 크면 어떤 이득이 있을까요? 디자이너라면 디자인을 기본적으로 잘해야한다고 생각하는데 프로덕트디자이너라도 UI쪽에 약한 사람들이 실무에 많나요??? 5. PM과 PD의 의견차이가 있을 것같습니다. PD도 어느정도 기획의 역할도 하지 않나요?? 그럴때 PM의 기획이 마음에들지 않거나 누가 봐도 별로라면 어떻게 되는걸까요?? 어떻게 서로 조율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