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운영체제 공룡책 강의
운영체제 공룡책 사려고하는데 원서랑 번역본 중에 어느걸 더 추천하시나요?
운영체제 공룡책 사려고하는데 원서랑 번역본 중에 어느걸 더 추천하시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카운트 값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해당 강의에서 나오는 카운트 값이랑 제가 직접 해본 카운트 값이랑 다르게 나오는데 이게 CPU 성능이 다 달라서 그런건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ReentrantLock - 활용 에서 BankAccountV4클래스 getBalance() 코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getBalance() 에서 try-finaly 코드의 순서가 이해가 안되서 질문을 드립니다. 저의 기억 으로는 try안에 있는 코드가 실행되고 finaly 안에 있는 코드가 실행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근데 try 안에서 return balance; 을 해버리는 것을 보고 "이게 뭐지?"라는 표현이 저절로 나오더라고요.분명히 리턴으로 getbalance()를 빠져 나갔는데, lock.unlock(); 이게 실행가는한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저의 머리로는 이해가 안되는데 의문점을 해결해 주 실수 있으신가요? 아니면 저가 try-finaly를 잘못 이해한건가요?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동시성 문제와 volitale의 연관성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현재 CAS연산 강의를 보고있습니다. 그러다가 문득 "volatile 키워드가 메모리 가시성 문제를 해결해 주지만 동시성 문제는 완벽하게(?) 해결해주지 못한다." 라는 이유에 대해서 곰곰히 생각해 보았는데 혹시 CPU 가 싱글코어와 멀티코어냐에 따라서 결과가 달라지는건지 궁금합니다. 이 이유가 아니라면, 왜 volatile키워드가 동시성 문제를 해결해주지 못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인터럽트-시작2, 인터럽트 상태 질문이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 코드에서 인터럽트 상태가 true이었다가 false로 바뀌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근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저가 똑같이 코드를 만들어 밨고 그랬지만화면 처럼인터럽트 상태 2개 전부다 false가 나오는 경우가 발생합니다.(7번-8번 돌리면 한번 꼴로 나오는 것 같더라고요.)그래서 저의 코드가 문제가 있는가 보여서 pdf에 있는 코드를 붙여놓기, 하여도 동일한 결과가 가끔씩 나옵니다.(빨리 돌리기 위해서 sleep 시간은 조정함.)저의 컴퓨터가 문제가 있는 건가? 이런 생각도 하게 되는데,모르겠네요. 그래서 여쭈어 봅니다.혹 저만 이런 결과가 나오는 건지?, 아니면 다른 분들 컴퓨터에서도 이런 결과가 나오는 건지 알고 싶네요.추가1여러번 코드 치고 돌린거 아닙니다. 맨처음 코드 실행했는데, 둘다false가 나와서, 당황해서 여러번 돌리게 되었습니다.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cas 연산3 incrementAndGet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CAS 연산3에서 질문이 있는데요, 아래는 incrementAndGet을 학습용으로 만들어주신 메서드입니다.private static int incrementAndGet(AtomicInteger atomicInteger) { int getValue; boolean result; // 읽고 -> 읽은 값이 바뀌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 업데이트 // [읽은 값이 바뀌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 업데이트] 이 부분을 CAS 연산으로 보장 do{ getValue = atomicInteger.get(); log("getValue : " + getValue); sleep(100); // 스레드 동시 실행을 위해 잠시 대기 // 읽은 값이 그대로 있다면(벽경되지 않았다면) 내가 의도한 값을 넣어라! result = atomicInteger.compareAndSet(getValue, getValue+1); log("result: " + result); } while(!result); //compareAndSet이 실패했으면 계속 다시 해라 return getValue + 1; // atomicInteger.get() 하지 않는 이유 <- 그새 다른 스레드가 값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 } 이 코드에서 보면값을 어플리케이션으로 가져와서 -> CAS연산을 시키고 충돌이 발생할 경우 재실행을 시키는데 애초부터 CPU한테 +1을 하는 것을 시키면 굳이 낙관적락을 적용할 필요가 없지 않나요? 굳이 어플리케이션으로 가져와서 검증을 하는 이유를 아무리 생각해봐도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문제와 풀이 join() 활용2 - 코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남깁니다.'문제 풀이2번 을 어떻게 하면 될까?' 라고 생각 하던 도중,조인 하나만 맨 밑에 넣어보자, 라고 해보니.. 답은 나오긴 하였습니다.(코드 내용)t1.start();t2.start();t3.start();t3.join();(코드 완료)근데 여기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여러 개의 작업을 시키고 나서, 끝이 나고, 기다려야 하는 경우에, 정답 풀이에서는 t1.join(); , t2.join(); , t3.join() 이렇게 전부다 join()을 해주었는데, 저 처럼 't3.join()' 하나만 써도 상관 없나요?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단일연산변수 api
안녕하세요단일연산변수 api에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13:50 ppt에서 단일연산변수를 사용한(왼쪽) 코드에서for문에서counter.incrementAndGet()을 호출하는부분이 있는데해당 메서드 실패시 재연산을 수행하는 코드가 없더라고요그래서 해당 api는 내부적으로 cas연산을 사용하는데내부적으로 cas연산이 실패하는경우 재시도를 통해서최종적으로 나오는 결과값을 무조건 보장해주는걸로 이해했는데 맞는걸까요??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synchronized 블럭과 메인메모리 반영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재밌게 듣고 있습니다!24:27분 ppt에서synchronized 블럭안에서 참조되는 모든 변수들은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지고 블럭을 벗어나면 그동안 수정된 모든 변수들이 즉시 메모리로 반영하게 해준다고 설명해주셨는데왜 연산이 수행되고나서 바로 적용이 되는게 아닌 블럭을 벗어나야지 적용이 되는건가요??내부적으로 성능최척화를 위해서 그런건가요??이렇게 블럭을 벗어나고 적용이되는경우로 인해생기는 다른 문제점은 없나요??(블럭에서 연산 시간이 오래 걸려 가시성이 늦어지는 등)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interrupt() 메서드 사용 부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아래 부분처럼 interrupt() 사용해서 수정했는데잘 작동하는데 이건 잘못된 코드 일까요..?while문도 try() catch() 문 안에 넣으면 안될까요 ..?@Override public void run() { try { while (true) { if (jobQueue.isEmpty()) { continue; } String job = jobQueue.poll(); log("출력 시작: " + job + ", 대기 문서: " + jobQueue); Thread.sleep(3000); log("출력 완료: " + job); }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log("interrupt!"); log("프린터 종료"); } }
-
미해결파이썬 동시성 프로그래밍 : 데이터 수집부터 웹 개발까지 (feat. FastAPI, async, await)
book_scraper.py 에서 import get_secret 관련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from app.config import NAVER_API_ID, NAVER_API_SECRET가 아닌from app.config import get_secret로 import 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클래스 내에 NAVER_API_ID = get_secret("NAVER_API_ID") NAVER_API_SECRET = get_secret("NAVER_API_SECRET")로 변수 선언한 이유가 있을까요?get_secret은 config 파일에서 이미 수행해 NAVER_API_ID와 NAVER_API_SECRET을 변수로 가지고 있으니,위처럼 클래스 내에 변수롤 또 선언하면 config 파일에서 get_secret 함수를 이용해 변수를 만든 이유가 없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from app.config import NAVER_API_ID, NAVER_API_SECRETconfig 파일에서 NAVER_API_ID와 NAVER_API_SECRET을 import해서 바로 사용하면 어떤 차이가 있나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HelloThreadMian 코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HelloThreaMain 클래스 에서 의문점이 생겨서 질문을 드립니다.코드를 보면이런 식으로 되어 있는데,저가 생각 하기로는이렇게 코드를 하는 게, 맞지 않나 싶어서, 여쭈어봅니다.helloThread.start()를 호출전이니 main.start가 아니라,helloThread.start가 되어야 맞는거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요. 오류인가요? 아니면 저의 생각이 틀린건가요?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정적내부클래스 new 로 생성에 관한 질문(인터럽트-시작1강 중...)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인터럽트 시작1 부분 강사님 설명 예제중에서 갑자기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제가 궁금한부분은 public class ThreadStopMainV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MyTask task = new MyTask(); Thread thread = new Thread(task, "work"); thread.start(); } static class MyTask implements Runnable { ...................................... }}여기서 질문 왜 정적내부클래스 MyTask()에 new를 써서 만드나요?? 정적 내부 클래스는 외부 클래스의 정적 멤버처럼 동작하기 때문에, 외부 클래스의 이름을 통해 접근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따라서 newThreadStopMainV1.MyTask() 형태로 생성해야하는거 아닌가요?? 정적내부클래스도 바로 다이렉트로 new MyTask() 로 생성해도 되는건가요 ?? 너무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안녕하세요 cas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cas 강의에서volatile int와 atomicInteger의 performance 차이를 보니까 atomicInteger가 더 빠른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건 조금 이해가 잘 안되는게,atomicInteger 자체가 volatile을 내장하고 있는 거라 생각했는데 왜 volatile보다 속도가 빠른 지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volatile은 어떤 락도 안 걸고(그래서 결과가 다르게 나오지만) 가시성만 고려하기 때문에 atomicInteger보다 결과가 좋아야 할 것 같은데 반대의 결과가 나와서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오타 제보 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생산자 소비자 문제 2에서 BoundedQueueV5 부분Condition 분리에서consumerCond, producerCond가 바뀐거 같아서 제보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notify()가 blcoked로 깨우는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notify()로 깨울 때 자바가 waitting을 runnable로 안 깨우고 blocked로 깨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또 blocked로 깨운 뒤에 어떻게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스케줄링에 대한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프로세스 스케줄링과 스레드 스케줄링의 차이에 대해 궁금합니다. 두가지는 동일한 개념인가요? 1개의 CPU 코어는 한번에 하나의 스레드만 실행할 수 있나요?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실무에서 자바가 제공하는 락을 사용하는 경우
자바에서 제공하는 동기화 도구들(synchronized, ReentrantLock 등)은 단일 JVM 내에서만 동기화를 보장하고, 여러 인스턴스가 있는 분산환경에서는 분산락 등 다른 기법을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현대의 운영 환경에서는 고가용성과 확장성을 위해 대부분 여러 인스턴스를 운영하기 때문에, 자바 자체의 동기화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제한적일 것 같은데요. 실무에서 자바가 제공하는 동기화 도구들은 어떤 경우에 주로 활용되나요?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뮤텍스나 세마포어는 busy waiting이 없는 게 맞을까요?
강의자료에서 세마포의 경우 P연산에서첫째줄에 while(test_and_set(&lock)==1)을 수행하고 있는데요, 혹시 이부분은 busy waiting으로 생각하지 않는 건가요? 뮤텍스나 세마포어 모두 강의자료에서 위 코드를 처음 실행하는데 이부분도 busy waiting에서 while(); 문과 동일하지 않나 생각이 들어서요 혹시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이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스레드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영한님 영한님 덕분에 비전공자로서 백엔드 개발자의 꿈을 꾸고있는 사람중 1인입니다다름이 아니라 영한님께서 여러 스레드를 실행하면 main 스레드의 경우 다른 스레드의 종료까지 기다리지 않아 join이라는 메서드로 적절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들었습니다. 하지만 아래 코드를 보면 main 스레드가 종료라는 문구가 항상 맨 마지막에 나와 헷갈려서 여쭈어봅니다. 이경우도 main이 먼저 종료되어 thread가 실행되지 않을 수 있는 건가요?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Task task = new MyTask(); Thread thread = new Thread(task,"work"); log("runFlag = " + task.runFlag); thread.start();; sleep(1000); log("runFlag를 false로 변경 시도"); task.runFlag = false; log("runFlag = " + task.runFlag); log("main 종료"); } static class MyTask implements Runnable { volatile boolean runFlag=true; @Override public void run() { log("task 시작"); while (runFlag) { } log("task 종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