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성능 측정시
이력서에 넣을 성능을 측정할 때단순한 쿼리 실행 속도나 API 응답 속도까지로컬이 아니라 aws에 띄워서 비교하는 게 좋을까요?
-
미해결업무에 바로 쓰는 SQL 튜닝
7-8 질문
현재 실행 계획이 강의랑 반대라서 질문 남겨봅니다 드라이빙 테이블이 de 로 나오는 이유가 뭘까요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실제 상용 서비스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덕분에 입문부터 기초까지 듣게되었으며, 추후 설계부분도 들으려 결제를 해놓은 상태입니다. 지금 상용 서비스에 mysql과 fastapi를 활용하여 서버를 구축하려 하는데, 궁금증이 생겨 문의 드립니다. mysql의 용량은 저희 서버의 용량이 허락하는 한 무료로 활용이 가능한지?서버에서 db에 연동해서 데이터를 불러올 때, 최대한 sql문법을 활용하는지? 아니면 상황에 따라 모든 데이터를 불러와서 서버내 프레임워크에서 정제를 하는지?이외에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지? 혼자하는 진행하는 프로젝트기에 생각과 걱정이 많았지만, 강사님이 한 줄기 빛으로 다가왔습니다. 위 질문에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댓글 테이블 설계
안녕하십니까 선생님,댓글 테이블의 parent_comment_id 컬럼에 외래키 제약조건을 걸지 않고 설계를 하셨는데 이러한 선택의 구체적인 이유가 있을까요?? 저는 무결성 보장을 위해 셀프 조인 + FK제약조건을 생각했었습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MySQL 성능 최적화 입문/실전 (SQL 튜닝편)
쿼리 결과 그리드에서 TYPE, POSSIBLE_KEYS 다릅니다
상단의 스크린샷이 저의 로컬에서 확인된 거구요아래는 선생님의 결과 입니다 [실습] 유저 이름이름 특정기간에 작성된 글 검색하는 SQL문 튜닝하기3:30초 구간 입니다 똑같이 했는데 왜 TYPE과 KEY 변경되어 있을까요?제가 잘못하고 있는건가요? 따라 쓴거도 아니고 NOTION에 있는걸 복붙 했습니다 ;;;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샤딩의 기준
안녕하세요 쿠케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강의를 보다가 갑자기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샤딩의 기준이 현재는 article_id로 되어 있는데, 특정 샤드에 댓글 데이터가 엄청 생성되어서 불균형하게 저장이 되는 경우도 있을까요?? 있다면 샤딩의 기준을 다시 정의하는 일도 있는지 궁금합니다.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개정3판]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aws - lightsail 이용 관련
강사님 현재 aws - Lightsail은 7월15일 이후 계정 생성시 유료로 전환이 되었다고 하는데 이럴 경우에는 강의 내용과 완전히 바뀌는 것 같습니다. 이럴 때는 어떤 걸 사용해야 할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lockType 오류 및 카운트 체크 안 됨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실습하다가 오류가 생겨 문의 드립니다. void like(Long articleId, Long userId, String lockType) { restClient.post() .uri("/v1/article-likes/articles/{articleId}/users/{userId}/" + lockType, articleId, userId) .retrieve(); } @Test void likePerformanceTest()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 Executors.newFixedThreadPool(100); // 100개의 스레드 풀 생성 // 각 lock type별로 테스트 likePerformanceTest(executorService, 1111L, "pessimistic-lock-1"); likePerformanceTest(executorService, 2222L, "pessimistic-lock-2"); likePerformanceTest(executorService, 3333L, "optimistic-lock"); } void likePerformanceTest(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Long articleId, String lockType)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CountDownLatch latch = new CountDownLatch(3000); System.out.println(lockType = " start"); like(articleId, 1L, lockType); long start = System.nanoTime(); for (int i = 0; i < 3000; i++) { long userId = i + 2; // String finalLockType = lockType; executorService.submit(() -> { like(articleId, userId, lockType); latch.countDown(); }); } latch.await(); long end = System.nanoTime(); System.out.println("lockType = " + lockType + ", time = " + (end - start) / 1_000_000 + " ms"); System.out.println(lockType + " end"); Long count = restClient.get() .uri("/v1/article-likes/articles/{articleId}/count", articleId) .retrieve() .body(Long.class); System.out.println("count = " + count); }여기서 '람다 식에 사용되는 변수는 final 또는 유사 final이어야 합니다' 라는 오류가 뜨더라고요. // String finalLockType = lockType; 부분 주석 해제하고 람다 내부에 like(articleId, userId, finalLockType); 으로 하면 startlockType = start, time = 914 ms start endcount = 0 startlockType = start, time = 589 ms start endcount = 0 startlockType = start, time = 567 ms start endcount = 0 으로 출력도 잘 안 나옵니다. 애플리케이션 콘솔에는 아래 로고만 찍히고 나머지는 안 나옵니다.Hibernate: select alc1_0.article_id,alc1_0.like_count,alc1_0.version from article_like_count alc1_0 where alc1_0.article_id=?Hibernate: select alc1_0.article_id,alc1_0.like_count,alc1_0.version from article_like_count alc1_0 where alc1_0.article_id=?Hibernate: select alc1_0.article_id,alc1_0.like_count,alc1_0.version from article_like_count alc1_0 where alc1_0.article_id=? 어느 부분이 문제일까요? ArticleLikeController에서 count 경로는 테스트처럼 뒤에 /count 추가했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주문, 결제 엔티티의 분류
"실전 개념적 모델링 - 시작" 파트를 들으면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주문, 결제 엔티티의 경우, 주문은 '결제'까지 포함하는 비즈니스 트랜잭션 단위라 하였는데, 왜 두개의 엔티티로 분류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현재 요구사항에서는 하나로 합쳐도 문제가 없는건가요?
-
미해결[리뉴얼] 처음하는 SQL과 데이터베이스(MySQL) 부트캠프 [입문부터 활용까지]
섹션1 4강부터 강의 실행 안됨 이슈
섹션1 강의에서 4강 '아나콘다와 주피터 노트북의 이해' 강의부터 강의 실행이 안됩니다.검정색 화면만 나와요... 해결방법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파티셔닝 관련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최근 파티셔닝이란 개념에대해 알게되었는데, 강의 내용엔 파티셔닝이 포함되어있지 않는 것 같아서 실무에서는 파티셔닝은 잘 사용하지 않는지 인덱스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 지, 파티셔닝을 실무에서 사용하지 않는다면 어떤 이유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검색 등으로 정보를 취득해봤을 땐, 주로 인덱스보다 더 큰 규모의 데이터를 다룰 때 파티셔닝을 쓰고 인덱스+파티셔닝을 함께 쓰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 같은데 실무에서도 해당 내용이 맞는 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입문 - 모든 IT인을 위한 SQL 첫걸음(SQL부터 차근차근)
mysql화면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mysql을 다운 하라는 곳에 들어가 제대로 다운 했는데 화면이 강의에서 보는 것과 달라 맨붕이 옵니다. 다시 다운을 해도 똑같은 화면입니다 버전도 용량이 큰거도 다운했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join 문제 풀이2 문제1(self join)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 join 문제와 풀이2에서 문제 1번에 대한 질문입니다.풀이는 아래 쿼리 중 1번의 형태로 해주셨는데 저는 풀이 보기 전 혼자 풀었을 때 2번의 형태로 작성을 했는데...일단 동작은 둘 다 같은데 유지보수적인 면이라던지 의미적인 면이라던지 더 좋은 형태가 있는 지, 둘의 차이가 있는 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1번 쿼리SELECT m.employee_id, mname, m.manager_id, enameFROM employees eJOIN employees m ON e.employee_id = m.manager_idWHERE m.manager_id = 42번 쿼리SELECT e.employee_id, ename, e.manager_id, mnameFROM employees eJOIN employees m ON e.manager_id = m.employee_idWHERE e.manager_id = 4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실무에서의 복수 항목에 대한 관리 방법이 궁금합니다.
실무에서도 복수 항목에 대해서 원자성을 고려해 테이블을 분리하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카드 정보라는 테이블이 있을 때, 혜택이라는 컬럼에는 '캐시백', '쿠폰 할인' 이런 식으로 복수의 데이터가 들어가게 되는데, 그럼 따로 카드 혜택이라는 하위 테이블을 만들어서 관리하나요? 이런 복수 항목이 늘어날 때마다 테이블을 하나씩 만들어야 하는지... 테이블 구조가 복잡해지는 느낌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9. 인덱스2.pdf 중에서
[4페이지 - 예시 2]하나는 "~", 다른 하나는 "AND"인 부분 뭔가 어색?한 거 같습니다.
-
미해결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API 별 실행 쿼리 모니터링 구현 질문 있습니다.
1. 현재 학습 진도몇 챕터/몇 강을 수강 중이신가요? 여기까지 이해하신 내용은 무엇인가요? 2. 어려움을 겪는 부분어느 부분에서 막히셨나요?코드의 어떤 로직이 이해가 안 되시나요?어떤 개념이 헷갈리시나요? 3. 시도해보신 내용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시도를 해보셨나요?에러가 발생했다면 어떤 에러인가요?현재 작성하신 코드를 공유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저는 강의를 보고 아래와 같이 이해를 했습니다.1.API 별 실행 쿼리 모니터링 구현2.그러면, 모든 api 엔드포인트에 대한 쿼리 min , max값을 알 수 있음. 질문1근데, 그렇게 되면 실제로 서비스에 필요한 코드와 모니터링 코드가 불필요하게 섞이는 거 아닌가요? 왜냐하면, 실제 모니터링이라고 하면 서버를 유지보수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와서 시각화한다는 것으로 이해를 했습니다. 그런데 "API 별 실행 쿼리 모니터링 구현"은 서버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모니터링 기능이 아니라, 1번만 딱 실행되면 되는데 이 부분이 왜 모니터링 구현으로 분류가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질문2API 별 실행 쿼리 모니터링 구현 부분에서, 실무에서도 "API 별 실행 쿼리 모니터링을 구현"해서 사용하는게 맞나요? 잘은 모르겠지만, 쿼리 분석이나 다른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 왜 이 부분이 서비스 코드 내에 포함을 시키면서까지 모니터링의 영역으로 분류가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질문3 만약에 실무에서는 해당 방법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면 API 별 실행 쿼리 횟수를 보통 어떤 식으로 측정을 하는건가요??? 감사합니다 ! 이렇게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더 정확하고 도움이 되는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역할 및 발생 시점에 따른 엔티티 분류
역할 및 발생 시점에 따른 엔티티 분류를 설명하는 파트에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지난 강의까지 주문 엔티티는 사건 발생의 결과물(즉, 주문 이력)이 기록되는 엔티티라고 이해했었는데요."엔티티 분류1" 강의에서는 기본, 중심, 행위 엔티티로 나눠서 생각해볼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때 중심 엔티티에서도 예시가 주문으로 나와있고, 행위 엔티티에서도 주문 이력으로 나와 있는데, 이 두 개가 다른 경우인가요? 중심 엔티티의 주문과 행위 엔티티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입문 - 모든 IT인을 위한 SQL 첫걸음(SQL부터 차근차근)
NOT NULL과 DEFAULT 조건의 사용법
강의에서 stock_quantity 칼럼의 제약 조건으로 다음과 같은 구문을 작성하였는데,stock_quantity INT NOT NULL DEFAULT 0해당 구문에서 NOT NULL 제약조건을 두지 않더라도 DEFAULT 0만 작성하여도 충분히 해당 칼럼이 NULL값이 되는 걸 방지할 수 있으리라 생각이 되어서요. NOT NULL 제약조건을 반드시 작성해야하는 걸까요? 아니면 개발자의 코드 작성 의도를 더 명확히 하고자 작성하는 걸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강의자료중 github 자료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혹시 github 자료도 받아볼 수 있나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대리키의 외부 노출에 대한 질문을 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사이드 프로젝트를 설계하다 보면 테이블의 키를 어떻게 가져갈지 고민을 많이 하게됩니다. 영한님의 말씀대로 대부분 대체키로 만들지만 숫자 대체키의 경우 1부터 순차적으로 올라가게 대부분 구조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게 혹여나 보안에 우려가 있을까 염려됩니다. 안전하게 UUID로 대체키를 주면 강의에서 말씀해 주신것 처럼 성능 부분에서 trade off가 있어서 이 방법도 고민됩니다. 예를 들어서 회원이라면 회원 정보를 조회하는 GET API에 회원ID(숫자 대리키, pk) 를 보내면 해당 유저 정보를 조회하게 되는데 숫자를 임의로 바꿔서 다른 유저 정보를 조회하는 이런 부분에서 혹여나 보안 관점에서 우려가 있지 않을까? 생각을 갖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두 가지 방안이 떠오르는데 실무에서 추천해주실 방안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대체키(숫자)를 사용하되 애플리케이션에서 validation을 확실하게 설정pk는 대체키(숫자, pk)를 하되 db에서 join, 외래키로만 사용하고 외부로 나갈 때는 다른 대체키(UUID, unique)로만 보내는 방식영한님을 기다리며...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