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semistone6239님의 프로필 이미지
semistone6239

작성한 질문수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3] 4~5 분산 분석

[작업형3] 5. 이원분산분석

작성

·

12

0

데이터를 보면 비료유형만 범주형변수인데

물주기까지 C(물주기) 처리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기준이뭔가요?

C(비료유형) * 물주기 하면 둘다 C처리 안한거랑 결과같은데

둘다 C처리해주면 결과가 바뀌네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emistone6239님께서 질문하신 “C” 함수 사용에 대한 부분은 모델의 범주형 데이터 처리 방법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원분산분석에서 특정 변수들이 범주형 데이터로 취급되어야 하는 경우, C() 함수로 명시적으로 지정합니다. 이 함수는 범주형 변수를 처리할 때 데이터가 문자가 아니더라도 범주형으로 인식하도록 도와줍니다.

질문에서 물주기도 C()로 처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범주형 변수로의 인식: 만약 물주기 변수가 수치형 데이터로만 입력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범주형(예: 물주기가 가질 수 있는 정해진 수의 그룹으로 처리 되어야 함)이라면 C()를 사용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일, 2일, 3일 간격의 물주기와 같은 일정한 단계가 있는 경우, 이를 범주형으로 인식하게 설정합니다.

  2. 상호작용 효과 고려: 이원분산분석(ANOVA)에서 주요 목표는 두 개 이상의 독립 변수가 종속 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C(비료유형):C(물주기) 형태로 상호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분석하면 두 변수의 조합이 종속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더 명확히 볼 수 있습니다. 완벽한 범주형 설정 없이 상호작용을 분석하면 잘못된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3. 결과 차이: 범주형 처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특정 변수가 카테고리로 작용하지 않고 단순 수치값으로 취급될 수 있으며, 이는 분산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상과 다르게 변수를 설정하면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이와 관련한 유사 질문과 답변이 포스팅된 링크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답변이 semistone6239님의 이해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semistone6239님의 프로필 이미지
semistone6239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