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단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단비

작성한 질문수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3] 1~3 가설검정

독립표본과 대응표본 구분

작성

·

11

0

선생님 안녕하세요.

 

대응표본과 독립표본을 구분하는 꿀팁이 있을까요?

연습문제 > 가설검정 > 2번은 대응표본인것 같은데 독립표본이라고 적혀있어서요.

신약효과검정이 대응인데, 이것도 어떻게보면 기존충전기와 개발충전기라면 대응으로 볼 수 있지 않나요?

 

시험문제엔 '독립/대응표본으로 검정하라' 와 같이 알려주진 않죠?ㅜㅠ

답변 2

0

퇴근후딴짓님의 프로필 이미지
퇴근후딴짓
지식공유자

독립과 대응(쌍체)표본 검정은 아마도 알려줄거에요! 작업형3이 "분석하시오"가 아니라 정답을 똑같이 작성하는 문제여서 정확하게 알려줘야 풀 수 있어요!

독립은 그룹 자체가 다름

대응(쌍체)는 같은 그룹입니다. 시간 차이를 두고 비교 등 (전과 후)

단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단비
질문자

그러면 카이제곱인지, 또는 로지스틱회귀인지 어떤 방법을 써야하는지 작업형3에서는 명시해주는건가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단비님께서 독립표본과 대응표본의 구분에 대해 궁금해하셔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독립표본:

    • 서로 다른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남성과 여성의 평균 키 차이를 비교할 때가 독립표본 검정에 해당합니다. 두 집단은 독립적이며, 어떤 참가자가 두 집단에 동시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 예시로 시험문제에서 독립표본으로 검정하라고 명시되지 않으면, 두 별개의 집단에서 동일한 변수(예: 점수, 키 등)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는 경우 독립표본 검정을 고려하시면 됩니다.
  2. 대응표본:

    • 같은 집단 내에서 두 시점이나 조건의 차이를 검정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신약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같은 그룹의 환자들에게 신약 투여 전후의 효과를 비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신약 효과 검정과 같이 ‘같은 대상’이 두 번 측정된 경우 대응표본 검정으로 봅니다. 즉, 같은 개인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측정된 데이터입니다.

시험 문제에서는 일반적으로 독립 또는 대응 표본으로 검정하라고 명확히 지시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의 맥락을 잘 파악하고, 대상이 동일한지 아니면 서로 다른 그룹인지에 따라 분석 방법을 결정하셔야 합니다.

아래 관련 질문과 답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단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단비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