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단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단비

작성한 질문수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3] 1~3 가설검정

독립표본과 대응표본 구분

작성

·

16

0

선생님 안녕하세요.

 

대응표본과 독립표본을 구분하는 꿀팁이 있을까요?

연습문제 > 가설검정 > 2번은 대응표본인것 같은데 독립표본이라고 적혀있어서요.

신약효과검정이 대응인데, 이것도 어떻게보면 기존충전기와 개발충전기라면 대응으로 볼 수 있지 않나요?

 

시험문제엔 '독립/대응표본으로 검정하라' 와 같이 알려주진 않죠?ㅜㅠ

답변 2

0

퇴근후딴짓님의 프로필 이미지
퇴근후딴짓
지식공유자

독립과 대응(쌍체)표본 검정은 아마도 알려줄거에요! 작업형3이 "분석하시오"가 아니라 정답을 똑같이 작성하는 문제여서 정확하게 알려줘야 풀 수 있어요!

독립은 그룹 자체가 다름

대응(쌍체)는 같은 그룹입니다. 시간 차이를 두고 비교 등 (전과 후)

단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단비
질문자

그러면 카이제곱인지, 또는 로지스틱회귀인지 어떤 방법을 써야하는지 작업형3에서는 명시해주는건가요??

퇴근후딴짓님의 프로필 이미지
퇴근후딴짓
지식공유자

작업형3이 정답이 있는 시험이기 때문에, 어떤 방법을 써야 하는지는 보통 문제에서 표현해줍니다.
다만 표현 방식이 항상 “로지스틱 회귀를 하시오”처럼 직접적이지는 않을 수 있어요.

  • 로지스틱 회귀(분류)나 선형회귀처럼 모델을 적합해야 하는 문제는 대부분 명시적으로 지시합니다.
    예: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적합하시오”, “회귀모형을 통해 예측하시오”

  • 반면에 카이제곱 검정은 ‘두 범주형 변수의 독립성 검정’과 같이 간접적으로 표현될 가능성도 높습니다.
    예: “범주형 변수 간 관계를 검정하시오”, “교차표 기반으로 유의성을 판단하시오”


저도 단정적으로 말하고 싶지만, 출제자가 의도적으로 직접 용어를 숨길 가능성도 항상 있습니다.

단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단비
질문자

네 감사합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단비님께서 독립표본과 대응표본의 구분에 대해 궁금해하셔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독립표본:

    • 서로 다른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남성과 여성의 평균 키 차이를 비교할 때가 독립표본 검정에 해당합니다. 두 집단은 독립적이며, 어떤 참가자가 두 집단에 동시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 예시로 시험문제에서 독립표본으로 검정하라고 명시되지 않으면, 두 별개의 집단에서 동일한 변수(예: 점수, 키 등)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는 경우 독립표본 검정을 고려하시면 됩니다.
  2. 대응표본:

    • 같은 집단 내에서 두 시점이나 조건의 차이를 검정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신약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같은 그룹의 환자들에게 신약 투여 전후의 효과를 비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신약 효과 검정과 같이 ‘같은 대상’이 두 번 측정된 경우 대응표본 검정으로 봅니다. 즉, 같은 개인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측정된 데이터입니다.

시험 문제에서는 일반적으로 독립 또는 대응 표본으로 검정하라고 명확히 지시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의 맥락을 잘 파악하고, 대상이 동일한지 아니면 서로 다른 그룹인지에 따라 분석 방법을 결정하셔야 합니다.

아래 관련 질문과 답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단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단비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