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단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단비

작성한 질문수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 모의문제2

평가지표 사용

해결된 질문

작성

·

36

·

수정됨

0

선생님 안녕하세요.

 

여러 모델을 외우기 힘들면 랜덤포레스트 하나로 가도 된다고 말씀해주셨는데,

그렇게하면 평가(RMSE, ...)를 하는게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데요.

평가자체를 하지 않고 랜덤포레스트 모델로 학습시켜 바로 예측하여 제출해도 문제가 없는걸까요?

 

그리고, 연습문제 저 혼자 풀어보고 선생님 파일이랑 대략 비교해보고싶은데, 어떻게 비교 또는 확인해볼 수 있을까요?

답변 2

1

퇴근후딴짓님의 프로필 이미지
퇴근후딴짓
지식공유자

다른 모델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전처리 - 인코딩을 달리하는 방법, 결측치를 달리 가져 가능 방법을 비교하려면 평가지표의 숫자가 필요합니다.

 

만약 한가지 방법 한가지 모델로만 사용한다면 바로 예측해서 제출하면 됩니다.

곧 그와 관련된 영상 "새소식"으로 공유드릴게요!! 편집중이에요!

 

비교를 하려면 평가지표가 나와야 비교가 가능해요!

제 점수에서 +- 5% 내외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 주세요:)

화이팅입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단비님, 질문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평가 지표를 사용하지 않고 랜덤포레스트 모델로 바로 예측하여 제출하는 것에 대해 궁금하셨군요.

랜덤포레스트는 여러 데이터셋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하며, 특히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처리하는데 강점을 가진 모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머신러닝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랜덤포레스트 하나로도 충분히 의미 있는 예측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평가지표(RMSE 등)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랜덤포레스트 모델로 예측 후 제출하는 것이 가능한지도 알아보도록 할게요. 일반적으로 시험 상황에서는 모델의 예측 결과를 제출하여 채점 프로그램을 통해 평가가 이루어지므로 직접적인 평가 지표 사용은 필수가 아닙니다. 다만, 평가지표를 통해 모델의 성능을 사전에 검증하고 개선점을 찾는 과정이 준비단계에서 소홀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들에서는 평가지표 활용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유사한 질문과 답변을 참고하여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1. 랜덤포레스트와 xgb - 모델 선택과 성능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평가지표 관련 질문 - 평가지표의 중요성과 사용법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단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단비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