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마지막 유의수준 0.05하에서 검정의 결과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23
답변 2
0
네 문자 그대로 해석해 주세요
보통은 귀무가설을 기준으로 하지 않을까 싶어요! 대립가설 기준으로는 반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p-value < 유의수준(α) → 귀무가설 기각
p-value ≥ 유의수준(α) → 귀무가설 채택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LJM님.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기준으로 가설 검정의 결과를 해석할 때 자주 헷갈릴 수 있습니다. 주어진 문장 “검정의 결과를 (채택/기각)중 선택하여 입력하시오”는 가설 검정의 결과를 명확히 구체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일반적인 해석
귀무가설 기준으로:
- 귀무가설 채택: 데이터가 귀무가설을 기각할 만큼 유의미하지 않다는 뜻이며, 검정 결과 p-value가 유의수준(예: 0.05)보다 큰 경우 주로 귀무가설을 채택합니다.
- 귀무가설 기각: 데이터가 귀무가설을 기각할 만큼 유의미하다는 뜻이며, 검정 결과 p-value가 유의수준(예: 0.05)보다 작은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수용합니다.
- 귀무가설 채택: 데이터가 귀무가설을 기각할 만큼 유의미하지 않다는 뜻이며, 검정 결과 p-value가 유의수준(예: 0.05)보다 큰 경우 주로 귀무가설을 채택합니다.
대립가설 기준으로는 보통 “채택”이라는 용어보다는 “수용”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대립가설을 명시적으로 수용하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귀무가설의 기각으로 대립가설의 체택을 의미합니다.
활용 예시
만약 문제에서 “귀무가설을 기준으로 검정의 결과를 (채택/기각) 중 선택하여 입력하시오”라는 지시가 있다면, 앞서 설명한 기준에 따라 귀무가설의 채택 혹은 기각 여부를 결정하시면 됩니다.
귀무가설의 기각이 대립가설의 수용을 의미하기 때문에 대립가설 기준으로 결과를 묻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관련 질문으로는 아래 답변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 “유형 3 제출 포멧 질문”: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기준으로 결과를 해석하는 법을 더 익힐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