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실기 강의 계획
작성
·
33
답변 2
1
앗!! ㅠㅠ
만약에 지금 시작한다면 작업형2 -> 작업형3 -> 기출 -> 예시 -> 꿀팁 -> 정주행
무조건 시험은 봐야하니 아래 순서로 추천 드립니다.
1. 작업형2 – 가장 출제비중 높고, 점수 확보도 쉬움
→ 기출(작업형2) 한 가지 방법으로 풀기 / 꿀팁 섹션
→ 인코딩 할 때 에러가 난다면?/ 꿀팁 섹션
2. 작업형3 – 모델링 위주 (로지스틱 회귀, 회귀, 상관관계 등)
→ 로지스틱 회귀 - 예시문제 작업형3(ver. 2023-2)/ [작업형3] 로지스틱 회귀 분석 섹션
→ 회귀분석/ [작업형3] 회귀 분석 섹션
→ 상관관계/ [작업형3] 회귀 분석 섹션
→ 단순선형회귀/ [작업형3] 회귀 분석 섹션
→ 다중선형회귀1/ [작업형3] 회귀 분석 섹션
3. 기출 풀이 – 3회 ~ 10회
4. 예시문제 복습 – 2025버전 작업형 1, 2, 3
5. 꿀팁 영상 – 나머지
6. 전체 영상 정주행 – 시간 여유 있다면 빠르게 정리하며 마무리
영상 정주행과 함께 연습문제 풀어보기 / 마지막 섹션
아쉽게도 작업형1은 정주행이 필요한 영역입니다.
작업형1을 포기한다기 보다
10점을 목표로 준비해 보시죠!
작업형3에 작업형1 스러운 조건이 붙을 수 있어서 데이터를 자르거나 필터링 이런건 할 줄 알아야 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dkqehs님.
시험 준비가 늦어지셨군요. 하지만 약 10일의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전략을 추천드립니다:
강의 전체 수강: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강의는 모든 강의를 빠르게 한 번 수강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의 내용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개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출 문제 풀이: 적어도 두 번 이상 기출 문제를 풀어보세요. 유형을 파악하고 문제 해결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시간 제한을 두고 실전처럼 연습해보세요.
코드 타이핑 연습: 특히 시간을 줄이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코드, 예를 들어 pandas와 같은 라이브러리의 사용법을 반복 연습하세요. 이로 인해 시험장에서 실제로 코드를 작성할 때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노트 정리 및 복습: 이미 학습한 내용을 노트에 정리하고 시간이 나는 대로 복습하세요. 특히 어려운 부분이나 자주 실수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복습하면 좋습니다.
관련된 유사한 질문에서 추가적인 팁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 “앞으로 공부방향”: 시험 준비 기간 동안 강의를 어떻게 정리하고 복습할지에 관한 조언입니다.
- “실기 시험 삼수(12월 응시예정)인데, 첨으로 유료강의를 신청하여 듣게되었습니다ㅠ”: 기초부터 차근차근 따라가면서 학습하는 방법을 권장하는 답변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그럼 작업형 1은 버리는게 맞을까요??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