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bonanza9312님의 프로필 이미지
bonanza9312

작성한 질문수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독립성 검정

귀무가설/대립가설 설정이 헷갈립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27

0

[문제]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언어 선택에 따라 합격 여부를 조사한 결과이다. 언어와 합격 여부는 독립적인가? 가설검정을 실시하시오. (유의수준 0.05)

  • 귀무가설(H0): 언어와 합격 여부는 독립이다.

  • 대립가설(H1): 언어과 합격 여부는 독립이지 않다.

 

여기서, 이 문제는 독립성 검정이기 때문에 귀무가설은 독립이다! 라고 설정하는건가요?

보통 귀무가설이 알려진 사실, 대립가설이 내가 증명하고자 하는 사실인데, 독립성 검정이기에...내가 증명하고자 하는 사실이 "두 데이터는 독립이다."라서 이게 대립가설인것같이 느껴집니다..

답변 2

0

퇴근후딴짓님의 프로필 이미지
퇴근후딴짓
지식공유자

독립이다. -> 아무런 관계가 없다 의미 입니다.
독립이라는 것은 특별한 관계나 연관성이 없는 상태로 이해해 주세요

"독립이다" = "관계가 없다" = "아무 효과가 없다" → 귀무가설

"독립이 아니다" = "관계가 있다" = "효과가 있다" → 대립가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bonanza9312님!

가설 검정에서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독립성 검정에서는, 헷갈릴 수 있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독립성 검정에서의 가설 설정

  • 귀무가설(H0): “언어와 합격 여부는 독립이다.“라는 설명처럼, 독립성을 주장하는 것이 귀무가설입니다. 이는 ‘변수 간에 관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대립가설(H1): 귀무가설의 반대이며, “언어와 합격 여부는 독립이지 않다.“입니다. 이는 두 변수 간에 어떤 유형의 관계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왜 귀무가설이 독립성을 주장하는가?

귀무가설은 보통 어떤 변화나 차이가 없는 상태, 즉 현재의 상태에 관한 가정을 의미합니다. 즉, 언어와 합격 여부가 독립적이라는 상태가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 귀무가설의 주장이며, 이를 바탕으로 검정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실제로 p-value를 계산하여 유의수준(0.05)보다 작으면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독립적이지 않다”는 대립가설을 수용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귀무가설은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기본 상태, 즉 기준점으로 역할을 합니다.

관련 질문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bonanza9312님의 프로필 이미지
bonanza9312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