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hahahl님의 프로필 이미지
hahahl

작성한 질문수

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Distributed Relational Database

샤딩에 대해서 궁금점있습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18

0

저의 짧은 지식으로는 샤딩은 수평분할에 기반한 방식이라 수직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이부분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답변 2

0

쿠케님의 프로필 이미지
쿠케
지식공유자

hahahl님,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샤딩이라 함은 수평 분할에 대한 용어로 사용되지만, 개념적으로 수직 분할이란게 없는건 아닙니다. (공식적인 용어에 대해서 묻는 것이라면, it 분야가 용어와 그에 대한 해석이 다양할 수 있고 비공식적인 용어도 흔히 사용되다보니, 그 부분에 대해선 저도 모르겠습니다.)

수평(테이블로 치면 레코드 단위)으로 분산하는게 아닌, 수직(테이블로 치면 컬럼 단위)으로 분산하면 그것이 수직 분할인 것이고요.

사실 1:1 테이블 관계로 정규화한다라는 개념과 딱히 다를 것 없다고 생각되기도 하네요. (물론 엄밀히 따지면 다르지만요)

특별히 설명 드릴만한게 있는 부분도 아니고 용어에 대해서 깊게 짚고 넘어가야할 부분은 아니라, 크게 신경 안쓰시고 넘어가셔도 괜찮을 것 같네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hahahl님.

샤딩은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기법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수평 분할(Horizontal Partitioning)을 통해 데이터를 여러 개의 작은 데이터베이스로 나누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한 번에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이고, 여러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병렬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수평 분할 (Horizontal Sharding)

  • 개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동일한 테이블 구조를 가진 여러 데이터베이스에 서로 다른 행(Row)을 분산하여 저장하는 것입니다.
  • 장점: 데이터를 분산함으로써 읽기 및 쓰기 부하를 여러 서버에 분산할 수 있어 확장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수직 분할 (Vertical Partitioning)

  • 개념: 테이블의 열(Column)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가 담긴 테이블에서 ‘개인 정보’와 ‘부가 정보’를 각각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수직 분할의 예입니다.
  • 특징: 수직 분할은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파트의 크기를 줄이거나, 민감한 데이터를 분리해 보안을 강화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 한계: 높은 확장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보다는 특정 컬럼에 대한 액세스를 최적화할 때 효과적입니다.

샤딩과 관련된 많은 질문들이 있으며, 수평 분할과 수직 분할의 장단점을 다룬 게시물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hahahl님의 프로필 이미지
hahahl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