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조윤진님의 프로필 이미지
조윤진

작성한 질문수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 모의문제3

작업형2 모의문제3

작성

·

12

0

강의에서 xgb로 test데이터를 predict하셨는데 성능평가가 더 우세해서 선정하신건지 궁금합니다!

수업 자료 노트북에선 랜덤 포레스트가 지표가 더 높더라구요 ㅠㅠ

 

랜덤 포레스트:

roc-auc: 0.9409937888198757

accuracy: 0.8108108108108109

f1: 0.8444444444444444

xgb

roc-auc: 0.9161490683229814

accuracy: 0.8108108108108109

f1: 0.8372093023255814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조윤진님.

수업에서 사용한 XGBoost와 비교하여 랜덤 포레스트의 성능이 더 좋다고 느끼셨군요. 두 모델의 성능 평가를 비교할 때, 각각의 지표는 문제 특성, 데이터 샘플링,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결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성능 비교의 이유

  • 랜덤 포레스트와 XGBoost의 비교:

    • 랜덤 포레스트는 여러 결정 트리를 앙상블하여 평균적인 결과를 도출하며, 보통 데이터의 불규칙성을 잘 처리하고, 중요한 피처를 자동으로 강조합니다. 이는 다소 일반적인 상황에서 강력한 성능을 나타내곤 합니다.
    • XGBoost는 결정 트리를 기반으로 하는 부스팅 기법으로, 각 트리는 이전 트리의 오류를 개선하는 방식으로 구축됩니다. 이는 복잡한 데이터셋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지만, 데이터나 모형의 특성에 따라 과적합 우려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성능 평가 지표:

    • “roc-auc”는 이진 분류 문제에서 분류기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유리한 지표입니다.
    • “accuracy”와 “f1”은 균형 잡힌 데이터셋에서 더 유용한 평가 기준이지만, 불균형한 데이터에서는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수업에서는 특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며, 실제 업무에서는 여러 모델을 비교하여 가장 적절한 성능을 발휘하는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XGBoost와 랜덤 포레스트 중 어느 것이 더 유리한지는 문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수업 자료에서 XGBoost를 다루었다면, 이것이 특정 데이터나 하이퍼파라미터 설정에서 더 유리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유사한 토픽을 다룬 기존 질문과 답변을 참고해 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음 게시물에서 관련된 내용을 다룹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조윤진님의 프로필 이미지
조윤진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