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4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좀비님
이번 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 스레드에서도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
강의를 보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이렇게 질문을 남깁니다.
2023년 11월부터 개발자 계정 관련 제약이 생기면서,
신규 앱 출시가 예전보다 어려워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좀비님이 남기신 여러 답변들을 살펴보니
사업자 등록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하셨는데요,
혹시 법인 사업자 → 개인 사업자 순으로 등록하는 것이 더 유리한 이유가 있을까요? 법인 사업자는 1인 기업이라고 하더라도 회사돈을 함부로 쓰지 못해서 불편한 점이 많다고 들었거든요.
안드로이드 진영은 개인 사업자는 조직 계정으로 못 만든다는 얘기와 비공개 테스트를 받아야 된다는 얘기가 있던데 이것도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유튜브 링크)
또한 개인 사업자로 인앱 결제나 구독 결제를 구현할 때 제한이나 제약사항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본 질의응답 목록]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wahan woo님.
사업자 등록과 관련하여 궁금하신 점들이 있으신 것 같아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법인 사업자 vs 개인 사업자
- 법인 사업자: 법인 사업자는 개인과 법인을 명확히 구분하며, 법적 책임이 분산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재무 및 세무 관리가 복잡하고, 사업 운영에 있어서 엄격한 기준이 적용됩니다. 즉, 회사의 돈을 개인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개인 사업자: 개인 사업자는 이러한 불편이 덜하지만, 책임 범위가 넓어 개인 자산까지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초기 사업 운영 및 관리 측면에서는 단순함과 유연함을 제공하니, 많은 초보 창업자들에게 적합할 수 있습니다.
추천 사항
- 일반적으로 앱 개발 초기 단계에서는 개인 사업자로 시작해 운영의 유연성을 살리는 것이 유리하며, 사업이 확장되어 자산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될 경우 법인 전환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앱 결제 및 구독 결제
- 제약사항: 개인 사업자로도 인앱 결제 및 구독 모델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각 플랫폼(예: 구글 플레이, 애플 앱스토어)에서 요구하는 정책과 기준, 세금 관련 사항을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 사업자 등록 시 장점: 사업자를 등록하면 계정의 신뢰도가 높아지고 수익 발생 시 세금 문제 처리에 유리합니다. 또한 수익이 일정 규모를 넘을 시 세금을 관리하고 신고하는 과정에서 고용세 등의 처리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시려면 기존 유사 질문과 답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wahan woo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