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8
0
안녕하세요. 실무에서 Mysql을 많이 사용하는데 Mysql 사용자 테이블을 기준으로 사용자와 비슷한 취미 이런것들을 추천 시스템을 만든다고한다면 mysql에 저장된 데이터를 벡터 DB에 계속 업데이트를 해야하는데 가능한건지 의문이듭니다. 사용자 테이블에는 탈퇴를 했다거나 취미가 바뀌었다거나 등 데이터가 업데이트가 되는데 벡터 DB에서도 해당 데이터를 찾아서 업데이트 되는게 가능한건지 아니면 배치성으로 데이터를 한번에 업데이트를 헤야하는것인지 고민이 드는데 강사님 같은 경우에 어떻게 해결하셨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사용자와 비슷한 취미
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다면 굳이 벡터DB를 쓰지 않고 SQL 쿼리를 통해 가져온 결과를 LLM에 바로 던져줘도 됩니다. MySQL을 활용해서 ALS와 같은 방식으로 추천 시스템을 구축하신다고 하면, 굳이 벡터DB를 쓰지 않고 쿼리 결과를 잘 조합하셔서 LLM을 호출하셔도 원하는 답변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내향적인 개발자 IDev님.
질문해 주신 내용은 벡터 데이터베이스와 전통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간의 데이터 동기화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주요하게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두 시스템 간의 데이터 일관성을 어떻게 유지하느냐 하는 것입니다.
벡터 DB와 MySQL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1. 실시간 동기화: 사용자 활동이 있을 때마다 MySQL의 데이터 변경을 감지하고, 벡터 DB에 이를 즉시 반영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이벤트 기반 시스템을 사용하거나 변화 감지 트리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벡터 DB의 경우, 사용 중인 벡터 DB의 종류에 따라 API 또는 적절한 SDK를 통해 데이터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강사님의 기존 해결 방법: 강사님은 일반적으로 강의에서 배치 작업으로 벡터 DB의 데이터를 구성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주기적으로 데이터 소스에서 변경된 부분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벡터 DB를 업데이트합니다.
특히, 크로마와 같은 벡터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경우, 문서의 삽입 및 삭제 기능을 API를 통해 지원하므로 데이터의 변경사항을 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유사한 토론이 이루어진 질문들을 참조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그럼 LLM한테 API Query예시 쿼리문을 던져주고 그거에 대한 쿼리 응답으로 API 요청해서 하라는 말씀 맞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