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worrb1님의 프로필 이미지
worrb1

작성한 질문수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캐글(kaggle) 필사 전략

캐글 문제 질문..

작성

·

14

0

image.png

 

안녕하세요 캐글에 있는 타이타닉 문제풀이를 보면

훈련데이터를 훈련/검증으로 나누지 않고
훈련데이터 전부를 가지고 랜덤포레스트 학습을 시킨후에,

또 훈련데이터를 가지고 model.score를 평가하는데

 

훈련/검증안나누고 이렇게 해도되나요?

 

어떤풀이는 나누고 어떤풀이는 안나누니까 조금 혼동이 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worrb1님.

타이타닉 캐글 문제에 대한 질문을 주셨네요. 머신러닝 문제를 풀 때, 특히 학습과 평가 관련해서 훈련 데이터를 훈련/검증 데이터로 나누는 방식과 나누지 않고 전체 데이터를 사용하는 두 가지의 접근 방식이 존재합니다.

훈련/검증 데이터 나누기:

  1. 교차 검증(Cross-Validation):

    • 보통 모델의 일반화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데이터가 많이 부족하거나 모델의 외부 데이터에 대한 예측 성능을 믿을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 일반적으로 train_test_split 과 같은 함수를 사용하여 훈련 세트를 여러 감소 데이터 세트로 나누어 교차 검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훈련/검증 분리:

    • 단순히 훈련 데이터의 일부를 검증 데이터로 사용하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합니다.
    • 이는 데이터가 충분하거나 비교적 간단한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전체 데이터 사용:

  1. 모델 구축 및 평가 간소화:
    • 데이터 전부를 사용하여 모델 학습 및 검증 시, 데이터 규모가 크고, 문제의 복잡도가 낮을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 이 경우, 주로 캐글 대회 시나리오에서 실행되며, 이는 최종 결과 제출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최종적 평가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좋은 실무에서는 모델을 훈련하고 평가할 때 훈련/검증 데이터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제출을 위한 최종 모델에서는 전체 데이터를 사용하는 접근도 가능합니다.

질문 내의 이미지와 관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유사한 토론이 있습니다:
- Model validation and improving generalization,
- Train vs Test Data – when and how to split?.

이 정보들이 도움이 되길 바라며, 데이터의 성격과 프로젝트의 목표에 따라 유연하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worrb1님의 프로필 이미지
worrb1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