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500 vs 500
작성
·
70
답변 3
0
안녕하세요 2d 3d 에서 멀티 서버로 transform 나눠서 보내는 기능에 대해 전달드립니다.
기본적으로 한번 당 4g-5g 기준으로 460개 정도의 frame당 transform 전달 확인되었으나 포톤, 사욜하시는 상용 서버, 자체 서버(웹 소켓)의 터미널 상으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0
서버 입장에서 2D 3D의 차이는 딱히 없습니다. 어차피 데이터 쪼가리일 뿐이죠.
다만 클라 입장에서는 3D로 갈 경우 렌더링 부하가 심해져서
고사양의 게임이라면 조금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서버 입장에서 중요한 것은 칸 단위로(그리드) 움직이는지 (리니지 등),
자유롭게 미세한 좌표 이동이 가능한지(와우 등)입니다.
칸 단위로 움직이면 판정도 쉽고 애당초 타게팅 스킬 기반으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수 PK야 뭐 리니지 라이크 게임을 보시면 되는데 한 화면에 대략적으로 200명 정도 아닐까 싶네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Jackpot님.
다수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참가하는 게임에서는 서버의 부하와 네트워크 지연 시간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500 vs 500과 같은 대규모 전투 상황에서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2D vs 3D 게임:
- 2D 게임에서는 주로 그래픽 처리에 드는 자원이 3D 게임보다 적기 때문에 더 많은 유저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서버의 구현 방식이나 네트워크 코드가 고도로 최적화되어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 3D 게임은 그래픽 처리뿐만 아니라 각 클라이언트 사이의 복잡한 물리 연산과 상호작용을 동기화해야 하기 때문에 더 많은 자원을 요구합니다.
- 2D 게임에서는 주로 그래픽 처리에 드는 자원이 3D 게임보다 적기 때문에 더 많은 유저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서버의 구현 방식이나 네트워크 코드가 고도로 최적화되어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보편적인 대규모 PK 상황:
- 실제로 500명 이상의 대규모 플레이어가 한곳에 모여 전면전을 벌이는 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운 과제입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서버 환경에서는 네트워크 지연과 데이터 동기화 문제가 더욱 복잡해지기 때문입니다.
- 많은 MMORPG에서는 대규모 전투를 100명 내외의 인원이 참가할 수 있도록 설계하며, 이 역시 최적의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실제로 500명 이상의 대규모 플레이어가 한곳에 모여 전면전을 벌이는 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운 과제입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서버 환경에서는 네트워크 지연과 데이터 동기화 문제가 더욱 복잡해지기 때문입니다.
이전에 다루었던 질문에서 비슷한 상황에 대한 답변이 있으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제가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