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58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로그를 분석해서 글로 작성해보았습니다.
혹시 가능하시다면 한번 보시고 개선하면 좋을 점을 알려주시면 공부를 이어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노션 페이지 링크 남깁니다.
https://www.notion.so/inflearn-app_logs-24eceb39ae70805f81abfee9aa86ebc2?source=copy_link
고민되었던 부분
장황하게 이것저것 설명은 했지만, 결국 도출한 결론은 '결제 경험이 있는 사용자의 재방문을 발생시켜서 결제 건수를 높여보자 ' 입니다. 재방문 사용자가 유입되도록 하고 행동을 지켜보자는 것인데,, 이러한 액션이 특별히 효과적일 것이라는 것을 로그로부터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구체적으로 어떤 집단에 액션을 수행하자는 결론을 도출하고 싶었는데 잘 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답변 3
1
은지님 안녕하세요! 과제 푸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현황 파악 부분
전체적인 트렌드를 파악해주셨는데, 이거를 다르게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별로는 성장했는가? 주별 User를 파악해보는 것도 추천드려요. 서비스의 사용 빈도에 따라 하루 단위가 아니라 주별로 보는 것이 유의미한 경우가 있어요
일자별로 볼 때도, 1일 방문 유저를 더 세분화해서 볼 수 있는지 생각해보시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과제에서도 드렸던 신규 유저 / 기존 유저 / 복귀 유저 이렇게 나눠서 데이터를 보면 신규 유저는 늘어나고 있는데 기존 유저가 이탈한 것인지 혹은 신규는 계속 비슷했는지 등 나눠서 볼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하나의 데이터를 조금 더 쪼개보면 Action Item을 더 잘 생각할 수 있게 됩니다
액션 아이템 도출이 어렵다고 하면 데이터를 한번 더 쪼개보셔요!
또 다른 관점으로는 데이터를 파악할 때 그냥 단순히 올라가는구나 멈추는구나 하는 것에서 하나 더 나아가서, 평일과 주말의 패턴이 다를까? 공휴일이 있을 때 패턴이 다를까? 이런 가설을 생각해보고 데이터를 확인해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데이터 하나를 보고 디테일하게 한번 더 생각해보는게 핵심이라 데이터를 보고 어떤 관점으로 또 볼까? 생각해보셔요
일별 결제 전환 사용자 수에서 감소 원인 분석 필요라고 해주셨는데, 이렇게 하면 분석 필요만 쓰는 것이 아니라 가설을 생각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왜 떨어졌을까? 어떤 일이 있었을까? 이런 관점으로요
퍼널에서 이상치를 제외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상치가 아니라 그 안에서도 유의미한 의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공휴일의 패턴이 다를 수도 있는 것이지요
공휴일과 아닌 시기의 퍼널 비율을 비교해보고, 공휴일엔 조금 더 많은 사람들이 퍼널에 전환되는구나 이런 것들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아래 표에 있는 0 to 50, 50 to 100, 100 to now는 무엇일까요? 컬럼에 나와있는 부분에 대한 정의가 나와있지 않아서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알기 어렵네요
가설 수립 부분
가설에서 리텐션 사용자 비중 증가로 전환율이 개선되었다라고 해주셨는데 이건 어떤 의미인가요?
리텐션이라는 지표가 전환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유사한 표현을 반복한 것처럼 보입니다(두개가 상관관계가 정의에 따라 이미 높을 것이라는 의미)
가설의 한계에서 과거 원인 분석과 미래 액션 계획을 직접 연결하고자 함은 어떤 의미일까요? 문장만 봐서는 이해가 되지 않아 질문드려요
가설 검증 부분
리텐션 사용자를 결제 기록이 있는 사용자라고 해주셨는데, 리텐션이라는 지표를 정확하게 정의를 해야 리텐션 사용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최초 결제 후에 해당 기간에 결제 기록이 있는 사용자라고 해서 지표의 의미가 헷갈리네요
만약 과거 2025-01-01에 가입해서 그 시기에 결제하고, 2025-02-03에 결제하면 리텐션 사용자인가요? 이 리텐션 사용자는 언제의 리텐션 사용자인걸까요?
리텐션의 정의를 주문이라고 했다면, 리텐션이 홈 화면에서 결제 전환을 한 사람의 비율과 유사한데 지금 써주신 부분의 인과가 반대인 것 같아요. 유저들의 페이지 전환율이 높아져서 그 결과 주문까지 이어지고, 그게 리텐션 유저를 증가시킨 것이지요. 리텐션 유저가 늘어나서 페이지 전환율이 높아졌다고 말하는 것은 X->Y를 반대로 해석한 것 같아요
리텐션 액션 순위에서 유저 세그먼트를 그리고 Action Item이 구체적이지 않은 것은 가설이 구체적이지 않아서 그렇게 느끼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저도 처음에 분석할 땐 이게 어려웠어요. 그래도 이렇게 고민을 작성하시고 제가 말씀드린 것을 보시면, 이제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떠오르실 것 같아요! 한번 위에 말씀드린 내용을 토대로 다시 한번 시도해보시면 어떨까요?
정리드리면
데이터를 더 디테일하게 뜯어서 확인해보기
가설을 만들어서, 생각해보기
지금도 가설을 생각하는 것을 잘 시도해주셨는데, 지표 정의상 X, Y를 반대로 이해하신 것 같아요. 이 부분을 다시 생각해보시고 무엇이 Input 메트릭일까? 무엇이 Output 메트릭일까? 을 같이 생각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과제 하시느라 너무 고생하셨고 계속 또 질문 해주셔요!!!
1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정은지님.
로그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을 검토하고 개선점을 찾고자 하시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다음 몇 가지를 고려해 보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결제 경험자 분석: 결제 경험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데이터 세분화(예: 마지막 결제 날짜, 평균 재방문 주기 등)를 통해 어떤 특정 행동 패턴이 있는지 분석해 보세요.
재방문 유도: 특정 이벤트나 프로모션(예: 할인, 신규 기능 알림 등)을 통해 재방문을 유도한 후, 해당 이벤트가 사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세요. 이를 통해 더 구체적인 행동 유도 방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A/B 테스트 실행: 여러 전략을 수립하여 소수의 사용자 그룹을 대상으로 A/B 테스트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인 접근을 판단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세분화된 분석 실시: ‘어떤 집단’에 집중할지를 정하기 위해, 로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능한 많은 변수(나이, 지역, 사용 디바이스 등)에 따라 데이터를 세분화하고 분석해 보세요.
위 방법들을 통해 좀 더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액션 플랜을 도출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강의 관련 질문이라면, 인프런의 수강 전 문의 게시판에서 지식공유자님에게 직접 문의해 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계속해서 좋은 성과 있기를 기원합니다!
원하는 답변을 찾지 못하셨나요? 그럼 우측 하단의 ‘문의하기’ 에서 직접 문의해 주세요. 최대한 빠르게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피드백 감사합니다!! 질문 주신 부분에 대한 답변입니다.
---
현황 파악 부분
1. 퍼널에서 이상치를 제외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 분석 기간의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이벤트로 발생한것으로 보이는 유저 수 증가는 제외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말씀해주신대로 공휴일과 평일의 사용 패턴이 다르다면 트렌드를 파악할 때도 쪼개어서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 0 to 50, 50 to 100, 100 to now는 무엇일까요?
→ 일별 결제 전환 사용자 수가 50, 100을 처음 달성한 날짜를 기준으로 구간을 나누었을 때 퍼널별 전환율의 차이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나누어보았습니다.
가설 수립 부분
1. 가설에서 리텐션 사용자 비중 증가로 전환율이 개선되었다는 어떤 의미인가요?
→ 앞에 현황 파악부분이랑 연결되는 내용입니다. 리텐션 사용자라는 표현을 최초 결제 이후 다시 결제 기록이 있는 사용자로 정의하였습니다.
제가 생각한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용자가 적은 서비스 초기에 비해서 전체적인 결제 전환 사용자 수는 크게 늘지 않았지만, 퍼널별로 전환되는 비율은 전반적으로 좋아졌다.
2) 그 원인은 재방문 사용자의 비율이 서비스 초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늘어난 것이 원인일 것이다.
3) 그렇다면, 앞으로도 재방문 사용자의 비율 또는 수를 늘리면 결제 전환 수도 증가할 것이다.
이런 생각의 흐름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가설 검증" 단계를 거쳤습니다.
가설 검증 부분
1. "리텐션"의 정의
→ 이 부분은 리텐션에 대한 정의부터 다시 고민해보겠습니다. 말씀해주신대로, 인풋과 아웃풋이 바뀐 것 같네요. 이탈과 유지의 정의를 점검하고 가설을 구체적으로 세워보겠습니다.
혼자 고민하면서 막혀있었는데, 말씀해주신 부분 적용하여 다시 분석해보겠습니다. 그리고 다시 읽어보면서 전반적인 문서 전달력도 연습이 많이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바쁘실텐데 자세한 조언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