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220
1
안녕하세요, 가입인사와 함께 개발환경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윈도우 환경이 아닌 리눅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오로지 개발 속도? 때문인가요.?
( 학부 프로젝트 경험 상, 윈도우에서 개발하는 것도 충분하다 느껴졌고 더군다나 설치과정에서도 GUI 상에서 설치하면 간단한반면에,리눅스에서 커맨드 라인으로 하는 이유가 궁금하네요.. )
[2]. 개인적으로 질문드리고 싶은 내용이 있는데, 비공개로 연락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우진님. 반갑습니다.
[A1] 회사마다 개발환경은 다르겠으나, 최소한 제가 다녔던 모든 회사는 Linux 에서 개발을 하였습니다. 이유는 크게 두가지로 생각하는데요.
1. Tool 최적화관점.
대부분의 Major 설계 Tool (Synopsis, Cadence, mentor) 들을 보면, ASIC Flow 를 진행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이 때 사용하는 Tool 들이 Linux 기반에 최적화가 되어있습니다. 현업가시면 자연스럽게 Linux 환경을 사용하실 겁니다. (Windows 만으로 전문적으로 설계하는 회사는 제 경험상 본적이 없습니다.)
Xilinx 의 Vivado 는 Windows 최적화가 잘되어 있어서 사용하셔도 되요. 제가 다니는 회사는 linux version 을 쓰지만, 다른 업체에서는 Windows 에서도 하신다고 하더라구요. 설계독학의 FPGA 강좌는 Windows 에서 진행하구요.
하지만 Veirlog HDL 은 아닙니다. 최소한 linux 를 경험해드리게 하고 싶은 저의 고집..? 같은 겁니다. 이 부분은 이해 부탁드립니다.
2. 개발 편의성
이 부분은 케바케 인데, 질문자님께서 Windows 가 편하다고 하시면 사용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리눅스를 써보시면.. 아실텐데.... 참 좋은데... 저는 Windows 에서 개발은.... 안하고 싶어요. 버벅임도 없고, shell script 같은거도 적용하기 쉬워서 자동화도 쉽고, 써보시면 알 것 같아요.
참고로 저는 현업에서 개발할때 Mac 노트북 + Linux 머신
조합으로 합니다. :)
[2] 개인적인 질문이라면.. 어떤건지..? 인프런은 저도 아직 익숙치않아서 비공개가 없나보네요.
다음 링크의 방명록에 비공개로 작성해주시면 확인해볼께요.
인프런수강생 우진 이라고 적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에 차등은 둬야겠죠 :)
다음 부분을 참고해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