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선한영향력주는개발자되기님의 프로필 이미지
선한영향력주는개발자되기

작성한 질문수

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게시글 목록 API - 페이지 번호 구현

강의에서 count의 개념

해결된 질문

작성

·

42

0

  •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

  • 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강의에서 만든 count 함수의 count 개념은

전체 게시글 수인 total count의 개념이 아니라 페이지의 번호를 위한 count인거죠?

답변 2

0

쿠케님의 프로필 이미지
쿠케
지식공유자

선한영향력주는개발자되기님, 안녕하세요!

 

말씀하신대로 페이징을 위한 카운트가 맞습니다. 그래서 전체 카운트가 필요치 않은 것이고요.

안전하게 전체 카운트를 관리할 방법은 "좋아요 수" 챕터에서 살펴보게 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선한영향력주는개발자되기님.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강의에서 사용된 count 함수의 개념은 페이지네이션을 위한 것입니다. 즉, total count는 모든 게시글의 총 개수를 의미하며, 특정 페이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되는 것입니다.

count 함수의 역할

  1. Total Count vs. Page-specific Count:

    • Total Count: 시스템 전체에 저장된 레코드 수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전체 게시글의 수를 파악하여 페이지네이션의 최대 페이지 수를 계산할 때 사용됩니다.
    • Page-specific Count: 특정 페이지에 표시될 레코드의 수를 계산하여 그 페이지의 데이터 처리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2. 페이지네이션 관련:

    • 페이지네이션에서 주로 사용되는 count는 페이지 번호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페이지의 시작과 끝, 그리고 다음 페이지로의 이동 등을 계산하기 위해 페이지의 레코드 수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질문하신 count 함수는 페이지 번호를 계산하기 위한 용도로 쓰인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를 통해 프론트엔드에서 페이지네이션에 대한 적절한 동작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나 유사한 주제의 논의가 필요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 페이지네이션에서의 count 쿼리 사용법과 최적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선한영향력주는개발자되기님의 프로필 이미지
선한영향력주는개발자되기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