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19
·
수정됨
0
그래도 눈치가 제법 빠른편인데 notebook 이나 파이썬...이거 모르겠는데 어떻하나 걱정되는데요?
일단 임베디드와 기존의 LLM의 차이는 뭔가요
답변 3
1
0
안녕하세요! 수강생 분께서 작성해주신 수강평 중에 파이썬을 모르는데도 강의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었다는 피드백이 있었습니다.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으시면 훨씬 더 수월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아무도_모를_아이디님.
Java나 Kotlin 개발자 관점에서 Python과 노트북 환경이 처음이라면 익숙하지 않아 고민되실 것 같습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Python은 배우기 쉬운 언어로, AI와 관련된 많은 개발 도구와 라이브러리들이 잘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입니다. 몇 가지 기초적인 Python 문법과 개발 환경 설정만 익히면 강의 내용을 따라가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입니다.
이제 임베딩(embeddings)과 기존 LLM(Large Language Model)의 차이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임베딩(Embeddings): 임베딩은 단어나 문장을 벡터 형태로 변환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컴퓨터가 자연어를 수치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임베딩은 문장의 유사도를 비교하거나 의미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며, 머신 러닝 모델의 입력으로 제공됩니다. 흔히 사용되는 임베딩에는 Word2Vec, GloVe, BERT 등이 있습니다.
LLM(대형 언어 모델): LLM은 대규모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된 언어 모델로, 복잡한 자연어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은 자연어 생성, 질의 응답, 번역과 같은 다양한 언어 관련 작업에 사용되며, 대규모의 파라미터를 통해 컨텍스트의 이해도를 높입니다.
결론적으로, 임베딩은 데이터를 모델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방법이고, LLM은 변환된 데이터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고 생성 행동을 수행하는 모델입니다.
관련 질문을 다룬 게시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 “LLM 마다 QA 과정에서 큰 차이가 있을까요?”
이 링크에서 LLM의 성능 차이와 관련된 논의 내용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