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13
답변 5
1
제가 조회 했을땐 결측치가 없었긴 합니다.
걱정안하셔도 될거 같은데요.^^
전 하이퍼튜닝을 해서 495였나..그정도까지 만들었습니다.
test_size를 0.26하니 많이 낮아 지더군요.
1
비율이 크진 않고 도메인을 알 수 없어
저라도 처리 안하고 제출했을 것 같아요
틀리진 않았습니다
다만 의도는 출제자만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실제 데이터인지 아님 임의로 제거한건지…
1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mrudsla님!
기출 문제에서 타겟 변수에 결측치가 있는 경우, 결측치를 처리하지 않고 제출하면, 일반적으로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반드시 틀린 것은 아닙니다. 점수가 잘 나온 경우라면 데이터의 특성상 결측치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거나 모델이 해당 결측치를 잘 처리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결측치 제거:
결측치 대체(imputation):
모델 기반 대체:
결론적으로, 결측치를 처리하지 않고도 점수가 잘 나왔다면, 그 데이터셋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결측치 제거나 대체가 방법론적으로 추천됩니다.
아래는 유사한 주제로 논의한 게시물입니다.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0
강사님 그리고 선생님들 답변 감사드립니다!
완전 틀린건 아니라 한시름 덜었네요
이제 사전답변을 손꼽아 기다려야겠습니다..
모두들 원하시는 결과 이루시길 바랍니다!!
고생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