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ejrwls10님의 프로필 이미지
ejrwls10

작성한 질문수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7회 기출유형(작업형3)

7회 기출, 작업형3 문제 1-2 와 2-2 비교

해결된 질문

작성

·

33

0

문제 1-2 에서는 소수 둘째짜리까지 구하라고 하여

함수 llf 를 구해서 소주 셋째짜리까지 구한 후, 반올림했는데

 

문제 2-2에서는 셋째짜리까지 구하라고 했으니, 넷째짜리까지 보고서 답을 적어야 하는데

선생님은 summary() 표에서 나오는 결정계수(소수 셋째짜리) 로 우선 답을 적으셨는데요.

(이후에 rsquared 함수로 더 많이 소수자리를 보긴했지만)

 

문제 2-2에서 결정계수 값이 0.226 인데, 만약 0.2253 이였으면 반올했을때 0.225 가 되잖아요..? 그럼 틀린건가요?

 

선생님 풀이를 보면 1-2와 2-2의 차이가 분명히 있는데, 1-2 문제에서는 구하라고 하는 소수자리보다 더 많이 구한후 답을 적엇고, 문제 2-2에서는 그냥 표에있는 값으로 답을 적었는데요..

 

한가지 방법으로 정리가 필요할듯 합니다.

 

답변 2

0

퇴근후딴짓님의 프로필 이미지
퇴근후딴짓
지식공유자

summary()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값들은 소수 셋째 자리까지 읽어도 무리가 없습니다.
문제 또한 이 출력값을 기준으로 출제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추가 연산이 필요한 경우에는 summary()의 반올림된 값을 그대로 사용하는 대신,
정확한 원본 값을 찾아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ejrwls10님께서 질문하신 소수점 자리수와 관련된 내용은 기출 문제 풀이에서 자주 등장하는 부분입니다. 소수점 자리수는 실제 문제 상황에 따라 그 표현 방식이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통해 관련 정보를 요약해드리겠습니다.

  1. 소수점 처리 기준: 일반적으로 문제에서 소수점 몇 자리까지 구하라고 명시한 경우, 해당 자리수까지 보고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요구한 자리수보다 한 자리 더 구한 후, 반올림 하여 요구한 자리수까지 표현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2. 결정계수(rsquared) 또는 통계량: summary() 함수의 결과나 rsquared 등의 통계량을 표에서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보통의 경우 신뢰할 수 있는 소수점까지 자동 반영되기 때문입니다.

  3. 일관성 있는 접근: 가능하다면 문제의 지시에 맞춰서 소수점 처리 기준을 일관되게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특히 시험이나 평가에서 실수를 방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관련하여 유사한 질문과 답변을 참고하실 수 있는 게시물을 안내드립니다:

이 게시글들은 모델의 예측값이 소수점 몇 자리까지 출력되는 것이 실질적인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례를 보여줍니다. 다만 정확성을 위해 정해진 기준에 따라 처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ejrwls10님의 프로필 이미지
ejrwls10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