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71
·
수정됨
0
아직까지는 커넥션과 소유권에 대해서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며, 궁금한게 있습니다.
13:07 에서
'NetMulticast RPC는 커넥션을 소유하지 않아도 동작한다' 라는 내용이 있는데, 추가적인 정보를 얻어보고자 gpt에 물어보면 자꾸만 '클라이언트와의 커넥션은 필요하지만 소유권이 없어도 된다' 라고 말을 합니다. 그렇다면 gpt가 틀렸다고 보는게 맞을까요?
예를들어 gpt가
이 함수는 서버가 호출해야 하고,
해당 Actor가 클라이언트에 리플리케이션되어야 하며,
해당 클라이언트와 NetConnection이 살아 있어야 전파됩니다.
하지만 소유자(Owner)는 없어도 됩니다.
또는
Multicast RPC는 소유권과 무관하게, 그 Actor를 리플리케이션 중인 모든 커넥션에게 전송된다.
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여기서 gpt는 마치 커넥션이 필수인것처럼 이야기하길래, 현재 제가 뭘 놓치고 있는지 궁금하여 여쭤봅니다.
혹시, 강의의 13:07 에서 설명한 '커넥션' 이라는 개념이 'NetConnection 객체 자체' 가 아니라 '소유자 커넥션' 과 밀접한, 예를 들어 '커넥션을 소유하지 읺아도 된다' 라는 설명이 분수대 Actor의 Owner가 특정 클라이언트(PlayerController)가 아니어도 된다는 말로 해석되는 것인가요?
답변 2
1
안녕하세요. 마지막에 질문하신 내용이 맞습니다.
서버-클라이언트 사이에 소통이 되려면 NetConnection 객체는 필수입니다.
강의에서 설명한 "커넥션을 소유하지 않아도 동작한다"의 문장에서 "커넥션"은 커넥션 객체가 아니라 커넥션을 소유하는 객체인 플레이어 컨트롤러를 Owner로 지정하지 않아도 동작한다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hush park님.
님께서 NetMulticast RPC와 관련하여 질문 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관련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NetMulticast RPC 개념:
NetMulticast RPC는 서버가 호출하면 해당 액터를 복제 중인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전파되는 메커니즘입니다. 이는 서버 측에서 실행한 함수가 클라이언트 측에서 동기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서버에서 호출해야 합니다: NetMulticast RPC는 서버의 권한으로 호출할 수 있으며, 서버만이 클라이언트들로 데이터 전파를 담당합니다.
리플리케이션 중이어야 합니다: 해당 액터가 리플리케이션 중이라는 것은, 클라이언트들이 그 액터를 업데이트하면서 감시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리플리케이션되지 않는 액터는 NetMulticast RPC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전파되지 않습니다.
소유권이 없어도 동작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NetMulticast RPC는 특정 클라이언트의 소유권 여부와 무관합니다. 이는 해당 액터를 리플리케이션 중인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전파되기 때문에 소유권까지 고려할 필요는 없습니다.
따라서 GPT의 답변 중 “NetConnection이 살아 있어야 전파된다”라는 부분은 서술상의 오해로 인한 혼동일 수 있습니다. Multicast 자체는 클라이언트와의 특정 소유권 조건 없이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되는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관련하여 추가적인 설명을 이해하실 수 있는 기존 질문과 답변을 추천드리니, 참고하시어 이해를 더욱 명료하게 다듬으시기 바랍니다:
위 링크들은 Multicast RPC의 동작 방식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돕는 데 유용할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그렇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