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dnrwls9115님의 프로필 이미지
dnrwls9115

작성한 질문수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7회 기출유형(작업형1)

기출7 작업형1 문제2 질문

해결된 질문

작성

·

29

0

image.png
  1. corr을 사용할때는 꼭 절댓값을 같이 사용해주어야하나요?(abs)

  2. 현재 제 풀이처럼 상관관계를 close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한 후에 시리즈를 눈으로 확인해서, DE중에 가장 높이 있는 컬럼을 평균내어 풀이하는 방식은 너무 야매인가요..??ㅋㅋㅋ...

답변 2

0

퇴근후딴짓님의 프로필 이미지
퇴근후딴짓
지식공유자

1

abs()를 써서 "강도의 크기"만 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1 양의 상관관계

-1 음의 상관관계

 

2

시험에서 그런게 어디있나요! 눈으로 보더라도 답만 맞추면 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dnrwls9115님.

질문 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몇 가지 핵심 개념을 정리하겠습니다.

  1. 상관계수의 절댓값 사용 여부:

    • df.corr()는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계산합니다. 상관계수는 -1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값의 크기가 클수록 더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냅니다.
    • abs()를 사용하여 상관계수의 절댓값을 고려하는 이유는 양의 상관관계와 음의 상관관계(예: -0.9 vs 0.9)를 동일하게 취급하기 위해서입니다. 즉, 변수 간 관계의 강도만 관심이 있을 때 절댓값을 사용합니다.
  2. 상관계수 정렬 후 시각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 close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한 후, 상관계수를 눈으로 확인하고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DE 컬럼의 평균을 구하는 방식은 문제 해결에는 유효한 접근입니다.
    • 이는 통계적으로나 프로그램밍적으로 문제가 없으며, 실무 혹은 문제 해결 과정에서 전처리나 표본 이해에 활용 가능합니다. 다만, 실무에서는 반복적인 작업을 위한 코드 구현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관련 질문들과 답변 링크를 첨부합니다:

이 정보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로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dnrwls9115님의 프로필 이미지
dnrwls9115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