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m1ssme2244님의 프로필 이미지
m1ssme2244

작성한 질문수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 모의문제2

작업형2 회귀 평가 기준

해결된 질문

작성

·

39

0

모의2-회귀.PNG.webp

평가지표가 이렇게 나왔는데 제출해도 괜찮은 정도일까요?

아니면 수정해서 더 좋게 보완하는 게 좋을까요?

평가지표들의 기준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회귀모델은 시험에서 몇 개 정도 돌려보는게 좋고, 해볼만한 모델이 있을까요?

답변 2

0

퇴근후딴짓님의 프로필 이미지
퇴근후딴짓
지식공유자

아쉽지만 그 기준은 공개하지 않고 있어요!

40점 구간을 알 수가 없습니다.

다른 모델과 비교해서 제출하는 방법을 사용해 주세요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m1ssme2244님, 회귀 평가 지표와 관련하여 질문을 주셨네요.

회귀 모델의 평가 지표는 모델의 성능을 가늠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여기서 각 지표가 의미하는 바를 간략히 설명하고, 결과에 대한 평가를 도와드리겠습니다:

  1. R² Score: 이 값은 1에 가까울수록 좋습니다. 현재 값은 0.15887로, 데이터의 변동성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Mean Absolute Error (MAE): 값이 낮을수록 모델의 예측이 실제 값에 가까운 것입니다. 하지만 67.02801이라는 수치만으로는 절대적인 평가가 어렵습니다. 각 사례에 따라 평가 기준이 다르므로 데이터의 스케일을 고려해야 합니다.

  3. Mean Squared Error (MSE)Root Mean Squared Error (RMSE): 두 지표 모두 값이 낮을수록 좋은데, RMSE는 일반적으로 MSE보다 해석이 용이하며, 238.99935라는 값이 나왔습니다.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예측의 오차가 크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4. Root Mean Squared Logarithmic Error (RMSLE): 0.49030으로, 로그 스케일에서의 RMSE를 나타내며, 예측의 정확성을 강화할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5.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예측이 실제 값 대비 얼마나 정확한지를 퍼센트로 나타냅니다. 45.32892%는 상대적으로 높은 오차율로 보입니다.

각 지표는 특정 상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RMSE는 일반적으로 100 미만이면 괜찮다고 보지만,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회귀 모델 추천 및 확인 사항:

  • 모델 선택: 일반적으로 Linear Regression, Ridge, Lasso, Random Forest, Gradient Boosting, XGBoost 같은 모델을 사용해 보시면 다양한 시각에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마다 최선의 모델이 다르므로 여러 모델을 사용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각 모델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GridSearchCV나 RandomSearchCV를 통해 하이퍼파라미터를 최적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데이터 전처리: 스케일링이나 이상치 제거 등의 전처리 과정을 통해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평가기준에 따라 현재의 모델 성능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세요. 아래 유사한 질문을 통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m1ssme2244님의 프로필 이미지
m1ssme2244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