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49
답변 3
0
alternative='less'
는
"중앙값이 120보다 작다"는 대립가설 방향을 정해주는 거예요.
하지만 검정은 항상 "중앙값이 120이다"는 귀무가설이 맞다고 가정하고 시작해요.
그다음에 계산된 p-value(확률)는 "중앙값이 정말 120일 때, 지금처럼 작은 값들이 나올 가능성"을 뜻해요.
마지막으로 우리는
이 p-value가 충분히 작으면, "중앙값이 120이 아니다"라고 보고
귀무가설을 버리고, 대립가설을 받아들이는 거예요!
0
# Wilcoxon(윌콕슨)의 부호 순위 검정 수행
from scipy import stats
stats.wilcoxon(df['무게']-120,alternative='less')
이건 대립가설을 기준으로 코드를 짠게 아닌가요...?ㅠ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지수님!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은 통계적 가설 검정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코드를 작성할 때는 귀무가설을 기준으로 합니다. 즉, 귀무가설을 설정한 뒤, 데이터를 통해 검정 통계량이나 p-value를 계산하여 이를 바탕으로 귀무가설을 기각할지 아니면 그대로 둘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p-value가 유의수준보다 작으면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하게 됩니다. 반대로 p-value가 유의수준보다 크면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코드를 작성할 때는 귀무가설을 기준으로 하여 검정을 수행하며, 결과적인 판단은 p-value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이런 내용과 관련된 질문과 답변을 추가적으로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들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