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58
0
안녕하세요 강의를 들으며 동기부여가되 도전을 해봅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마케팅을 해보려고 하는데 질문이 있습니다.
강의중에 키워드를 찾은후 최저입찰가의 평균치? 금액 구한후 캠페인 생성시 금액을 어디에다가 넣는것인가요?
타겟설치비용에다가 넣는것인가요?
일일 예산 설정은 적용을 해놓는것이 맞을까요?
찾은 키워드를 가지고 광고제목 및 광고 내용에 적용(녹여내는것) 맞나요?
답변 1
1
안녕하세요! 동기부여에 도움이 되셨다니 기분이 좋네요 🙂
질문에 답변 드리자면,
키워드 플래너에서 찾으신 금액대를 타겟 설치당 비용 항목에 넣으시면 됩니다.
해당 항목은 내가 광고를 할 건데 사용자가 앱을 설치할 때마다 얼마를 지불하겠다라고 명시하는 개념입니다. 보통의 경우 높은 금액을 넣으면 넣을수록 설치될 확률은 높아지겠죠.
하지만 무작정 높은 금액을 사용하게되면 돈만 많이 쓰고 수익은 별로 벌지못하는 상황이 펼쳐지기에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편이 좋습니다.
보통의 경우는 최저 입찰가 보다는 높은 금액을 입력하는게 좋습니다. 최저는 말그대로 수 많은 사람들중 같은 키워드로 광고를 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그중 가장 낮은 금액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저 수치로 맞추게 되면 광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물론 이것 또한 테스트 해보긴 해야합니다.)
일일 예산 설정의 경우 하루에 내가 최대 얼마나 광고비를 지출 하겠다라고 지정하는 부분입니다.
예를들어 스크린샷에서 처럼 2000원을 설정하셨다면 광고비가 아무리 많이 나가도 하루 2000원 언저리까지 사용되면 더이상 초과 지출 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2000원을 설정했다고해서 무조건 2000원에 맞춰서 광고비가 지출되는 것은 아니며(효율이 좋지 않은 광고 캠페인 생성시 - 단가가 안맞거나, 광고 내용이 사용자에게 매력적이지 않거나 하는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광고비가 지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예산을 2000원을 잡았더라도 2500원~3500원 처럼 약간의 초과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찾은 키워드를 광고 제목과 설명에 적절히 포함시켜서 녹여내는 것이 맞습니다. 직접 해보셔도 좋고 Claude, Gemini, ChatGPT에게 해당 키워드들과 + 앱에 대한 설명을 함께 전달하고 적절한 광고 제목과 설명을 만들어달라고 하는것도 추천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 추가적으로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질문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