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손지니님의 프로필 이미지
손지니

작성한 질문수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예시문제 작업형3(ver. 2025) 🆕

예시문제 작업형3(2025)

해결된 질문

작성

·

124

·

수정됨

1

안녕하세요! 빠른 반영 감사합니다 ㅠㅠ!

대체로 질문해석이 좀 어려운데요..이번꺼 보면서 궁금한게 들어서 질문 드립니다!

*시험용 공부만 해서, 이론개념이 거의없는 점 참고바랍니다..!

 

1) ① - 분산을 구해서 조건에 맞는(단, ~) 계산을 한게 검정통계량인걸까요..?

아니면 결국 핵심이 '분산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기 때문에 분산을 통해 계산을 하면 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2)③ - '정규성,등분산 검정 후' 라는 언급이 없으면 무조건 등분산 true로 두고 진행하면 될까요?

*cond1 샤피로검정해보니 0.03으로 귀무가설 기각이여서 문의드립니다..!

답변 2

2

퇴근후딴짓님의 프로필 이미지
퇴근후딴짓
지식공유자

  1. 분산을 구한 다음, 큰 분산 / 작은 분산으로 나눈 값이 바로 F-검정의 검정통계량입니다.

  2. 등분산 여부에 대해 명확한 언급이 없을 경우, 등분산을 가정하고 계산하는 흐름으로 보입니다. 다만 실제 시험에서는 좀 더 명확해 지지 않을까 싶어요!

     

    (완벽하게 가이드 하기 보다 항상 보완을 하더라고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손지니님 반갑습니다!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고민이 느껴져서 함께 의견을 나누게 되어 기쁩니다. 아래에 질문하신 두 가지 사항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분산을 이용한 검정통계량:

    • 일반적으로 검정통계량은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보려는 목적에서 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분산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문제라면, 검정통계량이 무엇을 비교하려는 것인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분산의 차이를 검정하는 경우, 보통 F-검정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이론적으로는 분산의 차이를 통하여 그룹 간의 변동성이 어느 정도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정규성과 등분산의 가정:

    • 문제에서 정규성과 등분산에 대한 명시가 없는 경우, 데이터가 정규성을 따르고 등분산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보다 정확한 분석을 원하신다면, 직접 정규성 검정(Shapiro-Wilk 검정 등)을 해보시고, p-value가 유의수준보다 작다면(예, 0.05) 정규성이 부족하여 비모수 검정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등분산 검정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명시가 없는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 점을 참고하셔서 문제에 접근해 보시고, 실전에서 다양한 검정 방법을 적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유사한 주제에 대한 기존 논의가 있는 게시글들을 소개해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손지니님의 프로필 이미지
손지니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