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24
·
수정됨
1
안녕하세요! 빠른 반영 감사합니다 ㅠㅠ!
대체로 질문해석이 좀 어려운데요..이번꺼 보면서 궁금한게 들어서 질문 드립니다!
*시험용 공부만 해서, 이론개념이 거의없는 점 참고바랍니다..!
1) ① - 분산을 구해서 조건에 맞는(단, ~) 계산을 한게 검정통계량인걸까요..?
아니면 결국 핵심이 '분산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기 때문에 분산을 통해 계산을 하면 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2)③ - '정규성,등분산 검정 후' 라는 언급이 없으면 무조건 등분산 true로 두고 진행하면 될까요?
*cond1 샤피로검정해보니 0.03으로 귀무가설 기각이여서 문의드립니다..!
답변 2
2
분산을 구한 다음, 큰 분산 / 작은 분산으로 나눈 값이 바로 F-검정의 검정통계량입니다.
등분산 여부에 대해 명확한 언급이 없을 경우, 등분산을 가정하고 계산하는 흐름으로 보입니다. 다만 실제 시험에서는 좀 더 명확해 지지 않을까 싶어요!
(완벽하게 가이드 하기 보다 항상 보완을 하더라고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손지니님 반갑습니다!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고민이 느껴져서 함께 의견을 나누게 되어 기쁩니다. 아래에 질문하신 두 가지 사항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분산을 이용한 검정통계량:
정규성과 등분산의 가정:
이 점을 참고하셔서 문제에 접근해 보시고, 실전에서 다양한 검정 방법을 적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유사한 주제에 대한 기존 논의가 있는 게시글들을 소개해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