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박재은님의 프로필 이미지
박재은

작성한 질문수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9회 기출유형(작업형2)

작업형 2 풀 때 검증데이터 분할 vs. 교차검증

해결된 질문

작성

·

41

0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작업형2 풀 때 대부분은 검증데이터 분리하는 것 (홀드아웃) 으로 풀이를 해주셨는데,

한 번은 교차검증으로 알려주셨는데요

 

챗지피티한테 제 작업형2 코드를 평가해달라고 하면 항상 교차검증을 하는 게 더 낫다고 답변을 줘서요

 

실제로 평가기준 점수를 비교했을 때 교차검증일 때가 평가지표가 더 높은 경우가 많았습니다.

혹시 둘 중에서 아무거나 사용해도 되는지, 교차검증을 사용하는 게 나은지, 안전하게 홀드아웃 - 검증데이터 분할을 추천하시는지 여쭙습니다.

답변 2

0

퇴근후딴짓님의 프로필 이미지
퇴근후딴짓
지식공유자

네 GPT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이 맞아요 💪💪

실무에서는 일반적으로 교차검증(Cross-Validation)을 더 선호하지만,
우리는 시험 환경에 맞춰 준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시험에서는 제한된 시간 안에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그동안 홀드아웃 방식을 사용해서 40점에 문제가 있었던 적은 없었습니다.

따라서 지금은 정확성보다는 시간 안에 안정적인 결과를 내는 전략이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어요.

 

화이팅입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박재은님.

작업형 2 문제를 풀 때 검증데이터 분할(홀드아웃)과 교차검증 중 어떤 방법을 사용할지 고민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각 방법의 장단점을 이해하면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법이 더 적합한지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검증데이터 분할(홀드아웃)

  • 장점: 구현이 간단하며 빠르게 결과확인이 가능합니다. 데이터가 충분히 크고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면 충분한 성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단점: 데이터가 편향되어 있는 경우 평가 결과가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의 양이 적을 때는 오버피팅이나 언더피팅의 위험이 있습니다.

교차검증

  • 장점: 데이터의 모든 부분을 훈련 및 검증에 활용하여 보다 안정적인 모델 성능 평가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보통 더 신뢰할 수 있는 평가 결과를 제공합니다.
  • 단점: 여러 번의 훈련 및 검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데이터가 적절히 나눠지지 않은 경우에도 보다 정확한 평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결론

  • 데이터 크기 및 시간적 제한: 데이터가 크고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교차검증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에, 빠른 모델 평가가 필요할 때는 검증데이터 분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모델 안정성: 초기 모델 실험 단계에서는 검증데이터 분할, 최종 모델 평가 단계에서는 교차검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기존 답변에서는 2유형 질문입니다라는 유사한 질문에서 “데이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구체적인 데이터 분석 상황에 맞춰 결정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박재은님의 프로필 이미지
박재은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