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42
·
수정됨
0
ec2에서 깃을 그대로 풀받아서 ec2 안에서 jar를 생성 하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 소스코드를 내려받게 되는데 필요하지 않은 용량을 사용하고 소스파일이 서버에서 관리되는 느낌이라서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limhunmuk님! 예리하게 잘 질문해주셨네요:)
말씀해주신 대로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ec2에 내려받아 작업함으로써
EC2 서버의 리소스를 쓴다는 점이 단점이기도 합니다.
편의성을 가져가느냐, 리소스 효율성을 가져가느냐에서 상황에 맞게
관리 방법을 결정하시면 좋습니다!
만약 limhunmuk님이 말씀해주신 대로 서버의 리소스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 싶으시다면
ec2 안에서 jar를 생성하는 것이 아닌 로컬에서 spring boot 프로젝트를 도커 이미지로 만들어
ec2 안에서는 도커 이미지만 pull 받는 식으로 구성하는 게 더 좋습니다~!!
이와 같이 내가 처한 상황에서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셔서 구현하시는 게 중요합니다:D
이 외로 또 궁금한 점 있으시면 질문 남겨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limhunmuk님.
EC2 인스턴스에서 직접 git pull을 통해 소스 코드를 가져와서 JAR 파일을 생성하는 방식에 대한 질문을 주셨습니다. 이를 직접 EC2에서 실행하는 이유와 그에 따른 장단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자동화 및 편의성:
최신 코드 유지:
단순한 환경:
보안 문제:
용량 및 성능:
관리 복잡성:
대부분의 경우, 소스 코드 자체를 서버에 저장하는 방법보다는 코드를 로컬에서 빌드하여 JAR 파일 등을 생성한 후, CI/CD 파이프라인을 통해 빌드된 아티팩트만을 서버에 배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이 방법은 보안성을 높이고 서버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자료로,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 효율적인 배포 전략을 위한 CI/CD 활용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아네네 🙂 답변 감사합니다 레디스 책좀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여러책 정보가 나오는데 고민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