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s]
Youtube 바로가기 (클릭!)
LinkedIn 바로가기 (클릭!)
[Career]
現) JSCODE - 대표 멘토, CEO
前) (주)트라이포드랩 - CTO
前) (주)온리원유니버스 - CTO
前) 달리(DALY) - CTO
前) 팀메이트(Teammate) - CEO
[Books]
『Do it! JSCODE의 AWS 입문』, 이지스퍼블리싱 (2025.05)
[ETC]
- 기업 대상 개발 컨설팅 및 코딩 교육 활동
강의
로드맵
전체 5수강평
-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Redis 입문/실전 (조회 성능 최적화편)
-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MySQL 성능 최적화 입문/실전 (SQL 튜닝편)
-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MySQL 성능 최적화 입문/실전 (SQL 튜닝편)
게시글
질문&답변
Rds부분 이해가 잘안되서요 ㅠ
안녕하세요 다정님! 질문 잘 주셨습니다:)혹시 말씀하신 '마지막'이 어떤 강의인지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
- 0
- 2
- 13
질문&답변
마지막 관문에 대한 궁금증
안녕하세요 Cola님 ! 질문 너무 잘해 주셨구 완강 하신 것 축하드려요 ~~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하나씩 답변드려 볼게요 ~ "ec2,rds,https,s3,cloudFront등 서비스의 요금이 어떻게 부과될까요?? 각 서비스 생성 후 사용을해야 부과가 되는건지 아니면 그냥 시간만 지나도 부과가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좋습니다! 정말 실무에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할 현실적인 질문이에요 !!AWS의 과금 기준은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생성된 자원'이 있는 시간" 기준이에요 ~즉, "안 써도 살아있기만 하면 요금 발생" 해요!EC2와 RDS의 경우, 인스턴스가 실행 중(running) 상태일 때 시간당 과금 발생이 발생하며, 중지(stopped)일 때 역시 소규모의 과금이 발생해요 !ELB의 경우에는 생성되어 있기만해도 시간당 과금이 발생해요 !! S3와 CloudFront의 경우 저장된 파일 용량 및 데이터 전송량에 따라 과금이 발생합니다 ! 해당 실습의 S3와 CloudFront의 경우 큰 문제가 없다면 500원 이하의 과금이 나올거라 예상되네요 :)아래 링크는 과금 관련 AWS 공식문서 링크인데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아 같이 첨부드려요 ~~https://aws.amazon.com/ko/ec2/pricing/on-demand/https://docs.aws.amazon.com/ko_kr/whitepapers/latest/how-aws-pricing-works/amazon-rds.html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CloudFront/latest/DeveloperGuide/billing-and-usage-interpreting.htmlhttps://aws.amazon.com/ko/s3/pricing/https://aws.amazon.com/ko/elasticloadbalancing/pricing/ " cloudFront를 사용하면 ELB를 안써도 된다는 답변을 보았는데 이유가 무엇일까요?"-> 우선 해당 강의에서 ELB는 SSL(TLS) 처리 즉 https를 위해 사용했었어요 ~그래서 https를 적용을 위해 ELB를 사용해서 "클라이언트 -> ELB -> EC2 " 구조를 만들었죠 !하지만 cloudFront 역시 https를 적용할수 있으며, ELB대신 cloudFront를 사용해서 "클라이언트 -> cloudFront -> EC2"구조를 만들수 있어서 cloudFront를 사용하면 ELB를 안써도 되는 거에요 :) "cloudFront는 cdn의 기능을 하는 서비스이고 ELB는 로드밸런서의 기능을 하는 서비스인데 단순 정적 웹사이트만 배포하는게 아닌 백엔드까지 배포하게되면 ELB도 연결을 해야되는게 아닌가요? "-> 네 맞습니다 !! 단순 정적 웹사이트만 배포하는게 아닌 백엔드까지 배포하기 위해서는 ELB도 연결을 해야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말씀드리자면, html 혹은 리액트와 같은 프론트엔드 서버의 경우 CloudFront가 사용되고, 백엔드 API 서버의 경우 ELB가 사용된다고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혹시라도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
- 0
- 2
- 18
질문&답변
검증 대기중
안녕하세요 Cola님 ! 질문 너무 잘 해주셨습니다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 볼게요 ~~ "Route53에서 레코드 생성 버튼을 누르고 레코드를 생성하면 그 절차가 내부적으로 이루어지는건가요?"-> 네 맞습니다!! 아주 정확하게 이해하셨어요 ~ AWS에서 인증서를 요청하면, AWS Certificate Manager(ACM) 인증서 관리자은 "이 도메인 진짜 네 거 맞아?" 하고 확인 절차를 시작해요 ! 그리고 ACM은 도메인 소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CNAME 레코드 생성 정보를 제공해요 ~(사진)수업 자료의 해당 이미지에 있는 CNAME 이름과 CNAME값이 바로 CNAME 레코드 생성 정보에요 !그리고 사용자(Cola님과 같은 개발자)가 Route 53에서 레코드 생성 버튼을 누르면 Route 53 호스팅 영역에 필요한 CNAME 레코드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AWS가 이 CNAME 값을 확인해서 "아, 이 Route 53이 관리하는 도메인이구나!" 하고 소유권 인증을 완료 합니다 :) 혹시라도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편하게 질문 주세요 ~~😊
- 0
- 2
- 18
질문&답변
58 강에서 동의어처리가 안 됩니다
안녕하세요 Stevens님 ~ 디버깅 도와드려볼게요 :) "자동완성 기능은 잘 적용되나 동의어처리가 안 됩니다"-> 세팅 파일 수정없이 그대로 사용하셔서 실습과 다른 입력값의 요청에서 응답이 잘못 나온것 같네요 ~ synonyms 설정에 "lg, 엘지" 항목이 없기 때문에 "엘지"를 검색해도 "LG"로 저장된 문서는 검색되지 않았어요 !자동완성 필드인 name.auto_complete, 2gram, 3gram은 analyzer: "nori"만 적용되었고, roduct_synonyms 필터가 전혀 적용되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 한거죠 :) "혹시 중간에 있었는데 제가 놓친 건가요?…"-> 네 맞습니다 ! 52강에 새로운 Spring Boot 프로젝트를 클론 받아 진행하는 내용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D 혹시라도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편하게 질문 주세요 ~~😊
- 0
- 4
- 40
질문&답변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다정님 ! 질문 너무 잘 해주셨습니다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하나씩 답변드려 볼게요 ~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에 이런식으로 추가하려고합니다. 이렇게 진행해도 똑같은건가요?"-> 네 맞습니다 !! 완벽하게 잘 작성하셨습니다 ~~ JavaScript든 Spring Boot든, 중요한 건 "ELB가 요청을 보냈을 때 200 OK 응답이 오는가?"입니다 :) "인스턴스가 2개있어야 로드벨런싱을 할수있는거아닌가요?""ec2 인스턴스가 하나만있으면 로드밸런싱을 못하고 그 하나의 인스턴스에만 트래픽이가는건가요?"-> 네 맞습니다 !! EC2 인스턴스가 1개라면 '로드밸런싱'은 일어나지 않고, 하나의 인스턴스에만 트래픽이 갑니다 🙂 강의 실습 중 언급을 했었는데, 해당 실습에서는 헬스체크, 고정 도메인 제공, SSL(TLS) 처리를 하기 위해 ELB를 사용했어요 !! 혹시라도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편하게 질문 주세요 ~~😊
- 1
- 2
- 21
질문&답변
58 강에서 동의어처리가 안 됩니다
안녕하세요 Stevens님! 제가 질문해주신 내용을 답변 드리기 위해환경을 셋팅하고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그런데 중간중간에 외부 일정이 끼어있다보니아직까지 확실한 답변이 준비되지 않았네요..!! 조금만 더 기다려주시면 제가 오늘이나 내일 중으로 꼭 답변 남겨놓겠습니다:D
- 0
- 4
- 40
질문&답변
aws eks --region ap-northeast-2 update-kubeconfig --name kube-practice 권한 거부
안녕하세요 restick님! 실습 꼼꼼하게 따라와주셔서 감사합니다 !!디버깅 도와드려볼게요 :) "aws eks —region ap-northeast-2 update-kubeconfig —name kube-practice 명령어 실행 시 클러스터 전환이 안되는데 왜 이럴까요?"-> 현재 my-computer IAM 사용자가 EKS클러스터에 대해 eks:DescribeCluster 권한이 없어서 에러가 발생했네요 !커스텀 인라인 정책에서 AllowEKSDescribeCluster 정책이 잘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보길 추천드려요 !eks:DescribeCluster가 명시되지 않았는지, Resource ARN이 잘못 지정되어있는지 위주로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 위 과정을 디버깅 해보시고도 어떤 게 문제인지 파악이 안 될 경우 또 질문 남겨주세요~~ 😊
- 0
- 2
- 33
질문&답변
CI/CD 자동화 배포 문제
안녕하세요 한준님 ! 실습 꼼꼼하게 따라와주셔서 감사합니다 ~디버깅 도와드려볼게요 :) GitHub Actions를 통해 EC2에 SSH로 접속한 후 git pull origin main을 실행하는 단계에서 에러가 발생을 한 상황이네요 !대부분 주로 EC2_HOST, EC2_USERNAME, EC2_PRIVATE_KEY들을 인식하는 과정에 문제가 생겼을 때 해당 에러가 발생해요 ~ 이미 오타를 확인하셨다고 하셨는데 생각지도 못한 지점에서 오타가 있거나 복사붙여넣기 과정에 실수가 발생하셨을 수도 있어요 !다시 한번 Github에 Secret값, deploy.yml, application.yml를 입력해보시고 복사 붙여넣기 후 혹은 타이핑 후 다시 한번 오타를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려요 !또한 EC2의 보안그룹를 다시 한번 확인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려요 ~!! 위 과정을 디버깅 해보시고도 어떤 게 문제인지 파악이 안 될 경우 아래 톡방으로 연락 남겨주세요~~https://open.kakao.com/o/sHdY8yrg
- 0
- 2
- 26
질문&답변
docker AWS EC2 Redis,Mysql를 통한 배포
안녕하세요 한준님 ! 질문 너무 잘 해주셨습니다 !궁금증을 해소해드리기 위해 핵심 포인트를 기준으로 차근차근 설명드려볼게요 ~ "Redis는 RDS를 이용하는 게 나을까요?"-> 우선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는 관계형 DB 전용 서비스로서, Redis는 RDS로 제공이 되지 않아요 ! Redis는 사용 및 운영 방법이 다양해요 !크게 EC2 내부 Redis 혹은 AWS ElasticCache 와 같은 클라우스 서비스로 Redis를 사용해볼수 있어요 ~도커 강의를 완주한 현 시점에서 로그인과 회원가입 및 채팅 서비스 프로젝트의 구조를 아래 처럼 가져가보시길 추천드려요 ~Spring Boot 서버 (EC2)└──로그인/회원가입 → MySQL (Amazon RDS) : 유저 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등 영구적인 데이터 저장.└── 채팅 메시지 송수신 → Redis (EC2 내부 Docker) : 실시간 채팅 메시지 저장, 채팅방 목록 관리. "만약 협업 프로젝트를 한다고 가정하면 EC2에 직접 들어가서 compose.yml을 작성하는 거 외에는 답이 없을까요?"-> EC2에 직접 들어가서 작성하는 방식은 장기적으로 비효율적이에요 ~현업에서는 코드 기반으로 모든 인프라와 배포 과정을 자동화해요 !!채팅을 담당하는 백엔드 개발자일 경우 크게 아래와 같은 플로우를 가지게 됩니다 :)1.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2. application.yml에서 Redis 연결 주소 지정 → redis.host = redis (← docker-compose 기준)3. docker-compose.yml 작성 후 Git에 포함 → Spring Boot + Redis 컨테이너 구성4. CI/CD 파이프라인 구성 (ex. GitHub Actions + CodeDeploy 등등)5. EC2 인스턴스에서 docker compose up으로 Redis 포함 배포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자면 EC2로 직접 접속하지 않고, compose.yml은 보통 Git에 포함시켜두고, CI/CD 실행 중에 compose.yml을 사용해요 ~~ 혹시라도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편하게 질문 주세요 ~~😊아래 링크는 전체적인 큰 그림을 그리시는데 도움이 되실것 같아 같이 첨부드려요 ~다양한 사례의 프로젝트 구조들을 참고하시면, 한준님의 프로젝트에 맞는 구조에 대한 감을 찾으시는데 도움이 될거요 :)https://develop-706.tistory.com/40https://catalina.tistory.com/entry/CICD-%EC%84%B1%EA%B3%B5%EA%B8%B0-SpringBoot-AWS-EC2-RDS-ALB-S3-Github-Actionshttps://blossom6729.tistory.com/16
- 0
- 2
- 29
질문&답변
섹션1 실습7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다정님! 질문 잘 해주셨습니다~~ 질문해주신 내용에 하나씩 답변 드려볼게요~!! Express 서버란 Node.js로 만든 프로젝트를 얘기하는 게 맞습니다!해당 프로젝트를 만든 EC2 인스턴스에 배포하는 과정이 실습 7이 맞습니다! Express가 아닌 Spring Boot를 사용하신다면 실습 7은 건너띄시고 7-2 스프링 부트로 ec2에 배포하기만 보셔도 됩니다~!! 이 외로 또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질문 남겨주세요:D
- 0
- 2
-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