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46
0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
controller를 구현하실때 중복되는 부분을
전부 다 쓰신 이유가 따로 있으신가요 ?
예를 들어 ArticleController에서
@RequestMapping("/v1/articles")
public class ArticleController{
...
}
이런식으로 RequestMapping 애노테이션을 붙여 중복을 줄일 수도 있는데 선생님은 전부 다 그냥 쓰셔서 어떤 의도가 있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답변 2
1
태우님, 안녕하세요!
강의 잘 수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서비스가 커질수록 API가 아주 많아질 수 있는데요,
그럴 때 API path가 하나로 합쳐져있으면 어떠한 외부 도구의 도움 없이도 해당 API 코드 찾기가 아주 편합니다.
이 정도는 딱히 문제될 만한 중복이라고 볼 수 없기도 하고, 이러한 이점으로 인해 full path를 다 적게 되더라고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태우님.
강의를 즐기고 계신다니 기쁩니다! 작성해주신 질문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RequestMapping
을 사용하신 이유가독성 및 명시성: 모든 엔드포인트에 대해 @RequestMapping
을 명시적으로 작성하는 것은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명시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프로젝트의 규모가 크고 복잡할수록 명확하게 경로를 드러내는 것이 유지보수에 유리합니다.
개별 엔드포인트 관리 용이성: 각 엔드포인트의 특성을 명확히 표현하고 싶을 때, 중복되는 부분을 줄이기보다는 각 엔드포인트마다 경로를 명확히 기술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엔드포인트의 변경이나 수정이 필요할 때 개별적으로 수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프로젝트 팀의 코딩 스타일: 모든 개발자들이 동일한 스타일을 따르기보다는, 팀 내 합의된 스타일 또는 개인 선호에 따라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중복된 부분을 작성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흥미로운 실제 사례들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