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minjun님의 프로필 이미지
minjun

작성한 질문수

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Event 클래스에 제네릭을 쓰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82

·

수정됨

0

  • EventPayload 를 제네릭으로 하셨는데 단순히 다형성 이용해서 하는 거랑 차이가 뭘까요?

package kuke.board.common.event;

import kuke.board.common.dataserializer.DataSerializer;
import lombok.Getter;

@Getter
public class Event<T extends EventPayload> {
    private Long eventId;
    private EventType type;
    private T payload;

    public static Event<EventPayload> of(Long eventId, EventType type, EventPayload payload) {
        Event<EventPayload> event = new Event<>();
        event.eventId = eventId;
        event.type = type;
        event.payload = payload;
        return event;
    }

    public String toJson() {
        return DataSerializer.serialize(this);
    }

    public static Event<EventPayload> fromJson(String json) {
        EventRaw eventRaw = DataSerializer.deserialize(json, EventRaw.class);
        if (eventRaw == null) {
            return null;
        }
        Event<EventPayload> event = new Event<>();
        event.eventId = eventRaw.getEventId();
        event.type = EventType.from(eventRaw.getType());
        event.payload = DataSerializer.deserialize(eventRaw.getPayload(), event.type.getPayloadClass());
        return event;
    }

    @Getter
    private static class EventRaw {
        private Long eventId;
        private String type;
        private Object payload;
    }
}

 

답변 2

1

쿠케님의 프로필 이미지
쿠케
지식공유자

minjun님, 안녕하세요!

 

사실 구현하기 나름이라 뭐가 정답이라고 말하긴 애매할 것 같은데요,

이벤트를 처리하는 EventHandler 인터페이스를 보시면,

public interface EventHandler<T extends EventPayload> {
    void handle(Event<T> event);
    boolean supports(Event<T> event);
}

위와 같이 선언이 되어있습니다.

handle과 supports 메소드 파라미터를 보시면 EventPayload 인터페이스를 상속한 T 제너릭 타입으로 받을 수 것을 알 수 있고요.

또, EventHandler의 구현체를 하나 살펴보면,

@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ArticleCreatedEventHandler implements EventHandler<ArticleCreatedEventPayload> {
    ...
    @Override
    public void handle(Event<ArticleCreatedEventPayload> event) {
        ArticleCreatedEventPayload payload = event.getPayload();
        ...
    }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Event<ArticleCreatedEventPayload> event) {
        return EventType.ARTICLE_CREATED == event.getType();
    }
}

각 이벤트 타입별 페이로드를 구체 타입으로 T에 정의해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Event.payload가 제너릭이기 때문에 T에다가 각 페이로드의 구체 타입을 바로 넣을 수 있었고요.

Event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코드에서 payload를 별도 캐스팅하는 과정 없이,

그냥 event.getPayload()를 하면 하위 구체 타입을 즉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직접 캐스팅해줘도 되는데, 그냥 코드 깔끔하게 만드려다보니 이렇게 됐던 것 같네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minjun님.

제네릭을 이용한 클래스 설계와 그에 따른 장점에 대해 질문하셨군요. 제네릭은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형 안전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다음은 이번 강의에서 Event 클래스에 제네릭 타입 T를 도입한 이유와 그 장점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제네릭의 장점:

  1. 형 안전성 강화: 제네릭은 동일한 코드를 다수의 자료형에 대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Event<T extends EventPayload>는 각 이벤트의 payload가 정확한 타입의 EventPayload를 상속함으로써 타입 안전을 보장합니다.

  2. 유연한 설계: 제네릭을 사용하면 여러 유형의 EventPayload를 가진 이벤트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형태의 이벤트를 처리해야 하는 시스템에서 필수적입니다.

  3. 코드 일관성 유지: of 메서드와 같은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통해 Event 객체를 생성할 때 타입 캐스팅을 명시적으로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코드의 일관성과 가독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Event 클래스의 제네릭 활용:

  • static Event<EventPayload> of(Long eventId, EventType type, EventPayload payload): 여기서는 반환 형식을 일반적인 Event<EventPayload>로 사용하고 있지만, 호출 메서드에 따라 더 자유롭게 제네릭 타입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이벤트 타입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결과적으로 유리한 옵션입니다.

  • 다형성을 이용한 단순한 클래스 설계와 달리, 제네릭을 사용하면 이벤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범위를 넓히고 타입 안전성을 추가로 제공합니다.

결국, 제네릭은 이벤트 시스템의 확장성과 안전성을 증가시키며, 다양한 이벤트 타입을 쉽게 관리 가능하게 해줍니다. 자바 제네릭 타입 시스템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하시려면 관련 자료를 참고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유사한 주제를 다루는 다른 질문/답변이 있다면 다음 URL을 참고해 주세요:
- 제네릭과 이벤트 클래스 설계에 대한 경우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minjun님의 프로필 이미지
minjun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