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50
·
수정됨
답변 2
0
1
model.conf_int(alpha=0.05)
→ 회귀 계수(coefficient)에 대한 신뢰구간을 구하는 코드입니다.
즉,기울기, 절편이 실제로 어떤 값을 가질지를 추정하는 신뢰구간
2
pred = model.get_prediction(newdata)
pred.summary_frame(alpha=0.05)
→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예측값의 신뢰구간을 구하는 코드입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라의님.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모델을 통해 신뢰구간을 계산할 때 두 가지 메서드를 사용하는 이유는 각각의 목적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model.conf_int(alpha=0.05)
: 이 메서드는 회귀 분석의 결과에서 추정된 계수에 대한 신뢰구간을 제공합니다. 즉, 회귀 계수 자체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보통 회귀 분석 결과의 요약 정보와 함께 사용됩니다.
model.get_prediction(newdata)
와 pred.summary_frame(alpha=0.05)
: 이 코드 조합은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예측값과 그 예측값의 신뢰구간 및 관찰 구간을 제공합니다. 즉, 모델이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값을 추정할 때 그 추정치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를 보는 것입니다.
즉, conf_int()
는 모델 계수에 대한 신뢰구간을, get_prediction()
과 summary_frame()
은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예측값과 그에 대한 신뢰구간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런 차이점을 이해하시면, 필요한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질문과 유사한 주제로 다른 학생들이 참고했던 답변들을 아래에 공유드리니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