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오개발님의 프로필 이미지
오개발

작성한 질문수

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좋아요 수 구현

디비 오류

해결된 질문

작성

·

143

0

  •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

  • 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mysql 말고 마리아 디비로 진행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납니다...

 

 

java.sql.SQLException: (conn=47) Record has changed since last read in table 'article_like_count'

 

그래서 인지 count가 일정하지 않네요.. 이유가 있을까요

답변 3

0

쿠케님의 프로필 이미지
쿠케
지식공유자

최강개발자님, 안녕하세요!

 

문의주신 내용이 likePerformanceTest에 대한 결과를 말씀하시는게 맞을까요?

낙관적 락은 병렬 처리 시에 충돌이 발생하면, version 값에 의해 변경을 감지하고 실패 및 롤백되는 게 맞습니다.

이러한 동작은 비관적 락처럼 명시적으로 락을 잡진 않지만, 락으로 인한 병목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충돌이 발생하면 레코드 변경 감지로 인해 트랜잭션 실패에 대한 에러 로그가 남을 수 있습니다.

 

멀티스레드에서 동시 요청을 보냈다면, 비관적 락1, 2 방식은 실패 없이 모두 처리되는게 맞지만(락 타임아웃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낙관적 락은 데이터 충돌이 발생한 경우 일부 요청은 실패해서 더욱 적게 집계될 수 있습니다.

다만, 좋아요 데이터 생성과 좋아요 수 데이터 증가를 트랜잭션으로 묶어서 처리하다보니, 데이터 정합성이 깨지지는 않는 것이고요!

 

낙관적 락 방식으로 API 요청을 멀티스레드에서 병렬로 보냈다면,

실패된 트랜잭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카운트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와야할텐데, 모두 성공한 것도 이상하긴 하네요!?

강의 영상에서도 낙관적 락 방식은 실패한 트랜잭션으로 인해 카운트가 적게 집계됩니다.

단일 스레드로 요청을 보냈거나 또는 mysql에 격리 레벨을 임의로 제어하신걸까요?

 

그리고 개발 환경은 웬만하면 강의와 동일하게 맞춰서 진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InnoDB 기반이라 큰 차이는 없을 것 같긴한데, 제가 모든 타플랫폼과 버전을 사용해본건 아니다보니, 달라지는 부분을 명쾌하게 잡아내서 답변 드리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죄송스럽네요 ㅠ)

 

감사합니다.

0

오개발님의 프로필 이미지
오개발
질문자

자문자답입니다.

 

마리아 디비로 했던것을 mysql로 변경하니 오류가 사라졌습니다.

 

더 깊게 파려고 하였지만,,, 추후 한번 다시 보도록 하겠습니다.

 

신기한건 mysql 최신버전이라 그런지 3개 전부 동일하게 나왔습니다.

 

pessimistic-lock-1end

count =3001

pessimistic-lock-2start

lockType =pessimistic-lock-212060ms

pessimistic-lock-2end

count =3001

optimistic-lockstart

lockType =optimistic-lock11851ms

optimistic-lockend

count =300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최강개발자님.

현재 마주하신 오류는 MariaDB에서 데이터의 동시성 제어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입니다. 이는 트랜잭션 간에 충돌이 발생했을 때 주로 발생하는데, 특히 article_like_count 테이블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유 및 해결 방법:

  1. 비관적/낙관적 락 설정:

    • 낙관적 락(Optimistic Locking): 트랜잭션이 끝날 때 데이터가 수정된 경우에만 충돌을 감지하는 방식입니다. EJB나 JPA에서 @Version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낙관적 락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주로 충돌이 드문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 비관적 락(Pessimistic Locking): 레코드의 잠금을 통해 다른 트랜잭션에서 변경하지 못하도록 보장해 줍니다. JPA에서는 @Lock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비관적 락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2. 트랜잭션 격리 수준 (Isolation Level) 변경:

    •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을 조정해보세요. 기본값을 READ COMMITTED로 설정하면 필요한 경우 격리 수준을 SERIALIZABLE 또는 REPEATABLE READ로 조정하여 레코드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3. MariaDB 특성 반영:

    • MariaDB와 MySQL은 유사하지만 특정 동작에서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MariaDB의 설정이나 트랜잭션 동작을 재확인하시고 그에 맞춰 코드를 조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추가 자료 및 유사 글:

비슷한 문제를 마주한 다른 개발자들의 사례를 참고하시길 권해드립니다:
- MariaDB의 트랜잭션 문제해결 실습 예제.

저는 질문자님의 문제 해결을 돕기 위해 유사한 기존의 질문 링크를 포함하여 답변을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추가적인 답변을 제공해 드릴 것입니다.

오개발님의 프로필 이미지
오개발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