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93
0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
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해당 강의 마지막 부분의 handleEventIfScoreUpdatedEventTest()에서
given(event.getType()).willReturn(mock(EventType.class));
위의 코드로 test하신 이유가 단순히 게시글 생성과 게시글 삭제만 아니면 되어서,
그냥 아무 class로 테스트하신게 맞으실까요??
아래 코드로도 가능하긴 하지만 그냥 게시글 생성과 게시글 삭제만 아니면, test 가능하니로 이해하면 될까요?
given(event.getType()).willReturn(EventType.ARTICLE_UPDATED);
답변 2
0
parkhs님, 안녕하세요!
말씀하신게 맞습니다.
EventType.ARTICLE_UPDATED도 가능하지만,
특정 타입에 종속되지 않도록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함이었다고 봐주시면 될 것 같네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parkhs님.
질문하신 내용은 테스트 코드에서 given(event.getType()).willReturn(mock(EventType.class));
코드가 EventType
객체를 모의(mock)하여 사용한 이유에 관한 것입니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서 의도된 객체 타입과 조건을 검증하는 것은 중요한 부분입니다.
mock(EventType.class)
의 사용 이유:테스트의 유연성: mock(EventType.class)
를 사용하면, EventType
객체의 실제 상태나 동작을 구체적으로 정의하지 않고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테스트 코드가 지정한 조건에서만 정확히 동작하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즉, 실제 EventType
이 무엇이든 상관없이 테스트 조건을 만족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결합도 낮추기: 특정 EventType
값을 하드코딩하면, 그에 의존적인 테스트가 될 수 있습니다. mock
객체를 통해 특정 타입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테스트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명확한 의도 전달: 이러한 방법은 테스트가 특정 EventType
의 구체적 값보다는 EventType
의 구체적 동작이나 존재 유무만을 검증하고자 한다는 의도를 드러냅니다.
EventType.ARTICLE_UPDATED
사용):EventType.ARTICLE_UPDATED
를 사용해도 문제 없이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지만, 특정 이벤트 타입에 대한 의존성이 생길 수 있으며, 의도치 않게 테스트 환경이나 코드가 변경될 경우의 유연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결국 이 코드의 목적은 ‘어떤 특정 이벤트가 아닌, 일반적인 이벤트 처리 시나리오’를 검증하는 데 있습니다. 따라서, 질문하신 이해가 맞으며, 특정 이벤트 타입이 아니더라도 처리 로직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보는 것이 목표입니다.
만약 이 주제에 대해 더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가 필요하시다면, 비슷한 내용을 다루는 기존 질문과 답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