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choeun8219님의 프로필 이미지
choeun8219

작성한 질문수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데이터 분석을 위한 파이썬 기초2

내장함수 관련 질문

해결된 질문

작성

·

75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강의 中 내장 함수 관련한 내용을 보고서 아래와 같이 실습해보니

listbox = [2,4,6,8,10]을 기준으로 sum을 하면 정상적으로 30이 실행되지만,

물리적으로 모든 원소를 더해준 값을 프린트 한 값과의 비교는 다르다 뜹니다.

파이썬 비교 연산자(혹은 모든 연산자)들은 자료형을 기준으로 출력이 되나요?

 

[실습]

image.png

 

답변 2

1

퇴근후딴짓님의 프로필 이미지
퇴근후딴짓
지식공유자

listbox = [2, 4, 6, 8, 10]
sum(listbox) == 2 + 4 + 6 + 8 + 10  # True

의 결과는 True입니다.

 

print()와의 비교는 왜 False인가?

print()함수는 반환값(return)이 없고 출력하는 함수에요

반환값이라 함은 예를들어 sum()함수의 반환값은 모든 요소의 합입니다.

하지만 print()는 단순 출력 함수이고 반환값은 없어요.

조금 어려운 개념인데 이해가 어렵다면 일단은 print()은 출력함수로 조건이나 비교할 때 사용하지 않는다고 기억해 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choeun8219님.

파이썬의 내장 함수 sum()을 사용하여 리스트 listbox = [2, 4, 6, 8, 10]의 요소를 합산하면 30이 출력됩니다. 하지만, “물리적으로 모든 원소를 더해준 값과의 비교”라는 표현이 조금 모호하여,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일반적인 파이썬 연산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비교 연산자는 자료형에 관계없이 비교할 수 있지만, 비교하려는 값들이 서로 다른 자료형이면 의도치 않은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um(listbox)print(sum(listbox))의 경우, sum() 함수의 결과는 숫자 30인 반면, print() 함수는 None을 반환하기 때문에 두 결과값을 비교하면 False가 나오게 됩니다. 이는 두 값의 자료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유사한 질문을 확인해보았습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choeun8219님의 프로필 이미지
choeun8219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