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61
·
수정됨
0
원래 질문은 공용체 질문이었는데 쓰다보니까 궁금증이 해소되어 질문 내용은 지웠습니다 ㅎㅎ
여담이지만 일하면서 공부하느라 시간이 너무 없어 코딩에 투자를 하고 있긴 한데 (비전공자와 비슷한 전공자입니다), 전 회차처럼 제너릭 같은 개념이 나오면 그냥 틀려야하나 고민이 되는 것같습니다.. ㅠㅠ
이론에선 주어진 pdf를 되도록 다 암기를 해보려고하나 저에게 남는 시간이 사실상 하루 정도 밖에 남지않아 그냥 제일 많이 나올 것같은 디자인패턴, 응집도, 결합도, OSI 7계층 (+보안공격) 정도만 보려고하는데
거의 하루 남은 이 시점에서 올려주신 기출로 감을 잡는게 나은지 혹은 문법 디테일 부분 + 고난도 코드 영역을 보면서 감을 잡는게 나은지
어느 걸 선택과 집중을 해야할지 고민이 됩니다 ...ㅠㅠ 지금 상황이 너무 여의치 않아서 2회차도 노려보고 있긴하지만 되도록 1회차에 끝냈으면 좋겠네요 ..
그리고 마지막으로 강의 정말 잘 듣고있습니다. 전공 수업 들을 때도 헷갈렸던 부분이 이제서야 해소가 되는 듯하네요 ㅎㅎ
답변 2
0
안녕하세요, 모든 언어의 모든 문법을 알고 가면 좋겠죠.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수험생 모두가 각 언어를 다 개발해본 사람도 아니고요.
제가 가르쳐 드린 정도만 풀어보셨어도 이미 기출문제보다 어려운 수준이 나와도 푸실 수 있을 겁니다.
이론 PDF 파일을 최대한 숙지해서 가는 것으로 하시죠.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깡패 햄스터님.
시험 준비에 대한 고민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남은 시간이 하루뿐이라면, 효율적으로 학습 방향을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너릭과 같은 깊이 있는 개념을 새로 학습하기보다는, 이미 어느 정도 익숙하지만 조금 더 보강이 필요한 부분에 집중하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
제안드리는 학습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출문제 풀이: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유형을 익히고 문제 해결 감각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기출문제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디자인패턴, 응집도, 결합도, OSI 7계층 같은 이론을 우선 학습하셔서, 마지막 정리를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문법 및 고난도 코드 이해: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면 전반적인 개념 이해보다, 자주 실수할 수 있는 문법 오류를 피하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난도 코드의 경우 모든 세부사항을 파악하기보다는,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형태를 파악하고 문제 해결 방식을 익히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인드 컨트롤: 시험 전날에는 지나치게 무리하지 않고, 가볍게 전체적인 흐름을 다시 보며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는 비슷한 고민을 하신 다른 수강생들의 질문이어서 도움이 될 수 있는 링크 두 가지를 소개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