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Ctrl + F5 키를 눌러 빌드하면 오류가 생깁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167
0
안녕하세요. Ctrl + F5 키를 이용하여 빌드를 하면 언리얼 엔진 에디터가 열리지 않고 cmd 창에 아래와 같이 적혀있습니다.
하지만 Ctrl + Shift + B를 하면 빌드는 잘됩니다. 왜 아래와 같이 오류가 나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Global options:
-Help : Display this help.
-Verbose : Increase output verbosity
-VeryVerbose : Increase output verbosity more
-Log : Specify a log file location instead of the default Engine/Programs/UnrealBuildTool/Log.txt
-TraceWrites : Trace writes requested to the specified file
-Timestamps : Include timestamps in the log
-FromMsBuild : Format messages for msbuild
-SuppressSDKWarnings : Missing SDKs error verbosity level will be reduced from warning to log
-Progress : Write progress messages in a format that can be parsed by other programs
-NoMutex : Allow more than one instance of the program to run at once
-WaitMutex : Wait for another instance to finish and then start, rather than aborting immediately
-RemoteIni : Remote tool ini directory
-Mode= : Select tool mode. One of the following (default tool mode is "Build"):
AggregateClangTimingInfo, AggregateParsedTimingInfo, Analyze, ApplePostBuildSync, Build,
ClRepro, Clean, Deploy, Execute, FixIncludePaths, GenerateClangDatabase, GenerateProjectFiles,
IOSPostBuildSync, IWYU, InlineGeneratedCpps, JsonExport, PVSGather, ParseMsvcTimingInfo,
PrintBuildGraphInfo, ProfileUnitySizes, Query, QueryTargets, Server, SetupPlatforms,
Test, UnrealHeaderTool, ValidatePlatforms, WriteDocumentation, WriteMetadata
-Clean : Clean build products. Equivalent to -Mode=Clean
-ProjectFiles : Generate project files based on IDE preference. Equivalent to -Mode=GenerateProjectFiles
-ProjectFileFormat= : Generate project files in specified format. May be used multiple times.
-Makefile : Generate Linux Makefile
-CMakefile : Generate project files for CMake
-QMakefile : Generate project files for QMake
-KDevelopfile : Generate project files for KDevelop
-CodeliteFiles : Generate project files for Codelite
-XCodeProjectFiles : Generate project files for XCode
-EddieProjectFiles : Generate project files for Eddie
-VSCode : Generate project files for Visual Studio Code
-VSMac : Generate project files for Visual Studio Mac
-CLion : Generate project files for CLion
-Rider : Generate project files for Rider
D:\UE_5.3\Engine\Binaries\DotNET\UnrealBuildTool\UnrealBuildTool.exe (process 28468) exited with code 1 (0x1).
Press any key to close this window . . .
답변 2
0
빌드 명령은 Ctrl+Shift+B이고 Ctrl+F5 명령은 정확히는 디버깅하지 않고 시작입니다.
다만 시작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빌드를 하기 때문에 두 가지를 한 번에 잡으려고 영상에서는 Ctrl+F5로 안내드리고 있습니다.
빌드가 성공적이라고 하니, 결국 프로젝트 실행(시작)이 안되는 것으로 보여지는데요, 솔루션에서 시작 프로젝트가 굵은 글씨로 올바로 설정되어 있는지 한번 확인해보심이 어떨까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ajkdfj님께서 언급하신 문제는 Ctrl + F5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빌드할 때, 언리얼 엔진 에디터가 열리지 않고 CMD 창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반면에 Ctrl + Shift + B를 이용한 빌드는 정상적으로 작동한다고 하셨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보통 몇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한 일반적인 점검 사항:
프로젝트 설정 확인:
Ctrl + F5는 프로젝트를 디버그 없이 실행하도록 설정된 키입니다. 프로젝트 설정에서 디버그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 빌드가 가능한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실행 경로가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라이브러리 및 SDK 버전 불일치: 종종 플랫폼 SDK 또는 엔진의 특정 버전과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모든 SDK 및 도구가 최신 상태이며 호환되는지 확인하세요.
이전 빌드 파일 삭제:
Intermediate나Binaries폴더에 있는 이전 빌드 파일이 충돌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폴더에서 이러한 폴더를 삭제한 후, 다시 빌드를 시도하세요.운영체제 권한 및 방화벽: CMD 창을 통해 실행 중에 필요한 시스템 권한이 부족하거나 방화벽에서 차단되었을 수 있습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거나 방화벽 설정을 점검해보세요.
빌드 로그 확인: CMD 창의 로그 메시지를 참고하여 어떤 오류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그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오류 메시지를 검색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추가 팁:
언리얼 엔진 프로젝트에서 특정 문제가 발생할 경우, 유사한 문제가 언리얼 엔진 커뮤니티나 포럼에 보고된 사례가 있는지 찾아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Unreal Engine Forums 같은 곳에서 관련 정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시작 프로젝트가 굵은 글씨로 설정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빌드를 하고 나서 프로젝트를 직접 열면 열리는데 Ctrl+F5로 하면 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