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95
0
비쥬얼 스튜디오에서 디버그로 게임 에디터를 킨 다음 실행하면 반영이 잘 되어서 실행이 되는데요
한 번 오류가 나오더니 에디터에서 이전버전?으로 적용이 되는 것같아요 만들어 놨던 npc도 표시가 안되서 라이브코딩을 해보려는데 계속 저렇게 오류가 나옵니다.. Generate VS Project File도 다시 해보고 했는데도 이러네요.. 해결방법이 뭔지 좀 알 수 있을까요?
답변 2
0
라이브코딩 중에 Binaries에 폴더에 해결안된 dll들이 존재하는 것 같네요.
이 경우 기존 프로젝트는 백업해두고 새로운 폴더를 생성한 후 기존 폴더에서 Config, Content, Source 폴더 및 루트에 있는 uproject 파일만 다른 곳으로 복사해서 새롭게 시도해보시겠어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Unreal Engine에서 발생하는 EXCEPTION_ACCESS_VIOLATION 오류는 메모리 접근 문제로 종종 발생하며, 주로 코드가 잘못된 포인터를 참조하거나 비어 있는 메모리 공간에 접근할 때 발생합니다. 아래는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일반적인 조언입니다.
코드 검토: UMG(UserWidget)와 관련된 코드를 한 번 검토해보세요. 특히, 포인터 초기화 여부와 사용할 때 null 체크가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디버깅: 디버깅 모드를 통해 해당 에러가 발생하는 코드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디버깅 방법으로는 Visual Studio에서 예외가 발생할 때 중단점을 설정해 에러의 원인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 코딩 비활성화: 라이브 코딩이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 코딩을 비활성화하고, 에디터를 완전히 종료한 뒤 Visual Studio에서 수동으로 컴파일 후 다시 시도해보세요.
UE4 및 프로젝트 설정 초기화: Unreal Engine의 설정 파일 및 현재 프로젝트 설정을 초기 상태로 되돌려 볼 것을 제안 드립니다. 설정 파일이나 프로젝트 파일이 손상되었을 수 있습니다.
에디터 로그 확인: 에디터 종료 시 나오는 Crash Report 및 에디터 로그 파일을 통해 추가적인 에러 정보를 확인하세요. 로그 파일은 Saved/Logs 폴더 내에 있습니다.
비슷한 문제를 겪으셨던 다른 분들의 토론과 해결 방법이 담긴 게시글을 아래에 링크합니다. 이러한 답변을 참고하셔서 문제 해결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