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나눠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사이드프로젝트 완성하고 홍보는 어떻게 하시요들 보통?
오래 걸려서 힘들게 사이드프로젝트로 서비스 완성을 했는데홍보를 어떻게 할지 막막하네요.다들 어떻게 마케팅이나 홍보하시나요?
-
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임베디드 세부전공(랩실관련) 고민이 있습니다.
저는 현재 전자공학 2학년 학부생이고 지금까지 펌웨어 개발 공부를 주로 하였고 시스템프로그래밍으로 공부를 이어나갈지 , 회로설계를공부하여 HW엔지니어가 될지 고민을하다 최근 HW엔지니어가 되기로 결정하였습니다.임베디드 HW를 보다보니 전력전자가 제일 많은거같고 또 실제로 눈에 보이는 보드를 설계하는것이 꽤나 매력적인거같아 (강의를 수강하면서 흥미가 특히 많이 생겼습니다) 전력전자쪽으로 공부를 하려고 합니다.그런데 전력전자쪽 분야를 보다 보니 크게 충전회로(OBC)와 모터제어를 하는 분야가 있는것같습니다. 전 제어쟁이님처럼 모터제어분야를 공부하고싶은데 저희학교 랩실은 OBC설계 연구실밖에 없는거같습니다. 그래도 OBC공부하면 인버터와 컨버터에대한 이해도가 오를거같아 이쪽 랩실에서 공부를 진행해보려 하는데 이게 좋은선택이 될지 모르겠습니다. 예를들어 제어쟁이님이올려주신 에어로스페이스 채용공고와 비슷한 공고가 많던데 이쪽분야에 지원할때 OBC공부가 도움이 될지 알고싶습니다.아래사진은 제가 고민하고있는 연구실의 OBC 연구 소개입니다.
-
[경기/무료] 스타트업 혁신 전략 공개 📢 생성형 AI로 여는 비즈니스의 미래
🌟 스타트업 혁신의 핵심 전략, 단 하루 세미나로 완성👉🏻 글로벌 AI 트렌드부터 스타트업 실행 전략까지, 실무 인사이트와 성장 전략을 한눈에!👩🏫 강사: 박은비 (現 모비니티 CEO / 現 소프트웨어팩토리 CEO / 前 현대오토에버 전략기획 / 前 베를린 태양광 스타트업 기술개발)📍 Session. 생성형 AI와 스타트업 혁신 전략- AI 교육과정과 연계한 생성형 AI 최신 트렌드 소개-글로벌 & 국내 스타트업 적용 사례- 서비스 혁신 및 효율화를 위한 AI 도입 전략📍 교육 안내- 일정: 2025.10.22.(수) 10:00~13:00- 장소: 경기 스타트업 브릿지 4층 대강의실 (성남 수정구 금토로 52 E동)- 대상: 기술 분야에 관심 있는 경기도민 누구나- 모집 인원: 70명 (선착순 마감)- 신청 마감: ~ 10.20.(월) *상황에 따라 모집기간 연장 가능- 참가비: 전액 무료📌 30초만에 신청하기https://tinyurl.com/ytfzctp7📞 문의: gbsa-dptech@ablearn.kr / 02-589-2029
-
Spring WebFlux + LLM 실전 구현
WebFlux를 실무에 적용하기 전에 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우선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저는 회사에서 백오피스 서비스의 백엔드 개발을 담당하고 있으며, 현재 유지보수 중인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WebFlux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저희 백오피스의 주요 패턴은 다음과 같습니다.사내 사용자가 특정 데이터를 일괄 선택하여 API 호출백엔드에서 해당 데이터를 조회조회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외부 API를 순차 호출성공/실패 결과를 집계하여 응답 반환즉, “여러 건 조회 후 순차적으로 외부 API를 호출하는” 동기적 패턴이 많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MQ 도입 (SQS, Kafka),Spring @Async,기존 코드를 WebFlux 라이브러리로 마이그레이션위 3가지 사항을 후보로 고민해보았습니다.여기서 제가 가장 궁금한 점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WebFlux를 이런 백오피스 일괄 작업 처리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 선택일까요?만약 적용한다면, 최대한의 성능을 낼 수 있는 활용 방식은 어떤 방향일까요?예를 들어, 외부 API를 병렬로 호출한 뒤 완료되는 대로 text/stream 형태로 프론트엔드에 전달하는 구조를 시도해보고 싶습니다.이런 접근이 합리적인지, 혹은 더 나은 패턴이 있을지 선생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
[전국/무료] PM 실무+UI·UX 경험, 취업 직행 열차 탑승하세요!🚂
⚠ 실무 경험 없이는 취업행 열차 힘들어요 ⚠ ⭐ 기획 감각만으론 부족합니다!⭐ 데이터·서비스 기획 역량은 물론, Figma·Notion 같은 UI/UX 툴까지 다루는 실무형 PM 되기 🚂 💎 11,616,000원 + 월 최대 816,000원 💎 혜택 실화냐?1⃣ 신청만 해도 ChatGPT 이러닝 + 포트폴리오 템플릿 400장 🎁2⃣ 기업 연계 실무 프로젝트 3회3⃣ 포트폴리오·이력서 현업 멘토 피드백4⃣ 전담 코치의 1:1 맞춤 취업 컨설팅 📌모집안내- 모집인원: 30명- 모집대상: PM/UIUX/서비스 기획에 관심 있는 누구나- 모집기간: ~25.11.02(일)까지 📌교육안내- 교육 일정 : 25.11.10(월) ~ 26.03.06(금) / (법정 공휴일 휴강)- 교육시간: 평일 09:00 ~ 18:00 (8H, 점심시간 1시간 포함)- 교육비용: 11,616,000원 *내일배움카드 소지 or 발급 시 전액 지원- 교육방식: 온/오프라인 병행월~수 오프라인 교육(서울시 영등포구 양산로 53 한경닷컴 IT교육센터) / 목~금 온라인 교육(Zoom + 슬랙) 🙏늦기전에 신청하기🙏https://tinyurl.com/3wke8zt5 📞 문의: 010-7173-3647
-
[나 혼자 레벨업] UE5 멀티플레이 게임 제작 Lv. 1 (Listen 서버 입문)
c++코드 구현 후 리슨서버의 Lobby에서 닉네임이 안바뀔 경우
c++로 Server_HandleChangeNickname_Implementation 함수를 구현한 후 테스트를 해보면 Client 쪽에서 닉네임을 변경하더라도 리슨서버의 로비에서는 닉네임이 변경되지 않는 버그가 있었는데요. 더 좋은 솔루션이 있을거라 생각하지만, 제가 찾은 방법 중 하나는 Server_HandleChangeNickname_Implementation 함수 내부에서 LobbyPlayerState 클래스의 RefreshLobbyUI 함수를 호출하면 해결되었습니다. 혹시나 더 나은 방법이 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
SW 역량테스트 합격하기 A형 with C++ (Advanced Algorithm)
[질문] 삼성 SW 역량테스트 D-5, 효과적인 학습 커리큘럼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이번 주 일요일(9월 28일)에 삼성 SW 역량테스트를 앞두고 있는 수강생입니다.남은 기간이 5일 정도라 어떻게 공부해야 가장 효과적일지 커리큘럼을 조언받고 싶습니다.현재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파이썬으로 구현하고 있으며, BFS/시뮬레이션 패턴은 어느 정도 이해했으나 아직 손에 잘 익지 않았습니다.남은 기간 동안 하루 10시간 이상 학습이 가능합니다.제가 여쭙고 싶은 것은:남은 5일 동안 어떤 문제들을 어떤 순서로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일까요?예: 하루 2~3문제 이상 풀이 vs 기출 집중 반복개념 학습(예: BFS, 배열 회전, 시뮬레이션 구조)과 문제 풀이 비중을 어떻게 가져가야 할까요?시험 직전 하루(토요일)에는 어떤 방식으로 복습/모의고사를 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까요?제가 실전에서 “최소 1문제 완성 + 부분 점수 확보” 전략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 목표에 맞는 훈련법이 있을까요?남은 기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싶습니다.강사님께서 추천해주시는 커리큘럼이나 학습 루틴이 있으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1:1 대화 요청
안녕하세요, 전체 공개로 문의를 남기기 어려워 그런데 멘토링(유료) 말고는 방법이 없나요?
-
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안녕하세요 큰돌님,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큰돌님, 저는 현재 컴퓨터 공학 4학년에 재학중인 대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저는 곧 대학원 입시에 필요한 기술 면접을 대비하기 위해 이번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CS 지식을 공부하는 것은 어차피 컴퓨터 분야를 공부하는 모두가 공통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이지만, 아무래도 체크리스트의 별표 표시 같은 부분들은 개발자 면접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고민인 부분은, 그렇다면 대학원 기술 면접에서는 주로 어떤 내용들을, 어느정도 수준으로 물어볼지에 대해서 감이 잘 안 옵니다. 우선 생각중인 계획은 대략 한 2개월 정도 안 남은 시점이기에 강의를 전체 다 훑은 후, 가기 직전에 다시 한번 중요한 부분들을 또 훑어볼 생각입니다. 이때, 어느 분야를 중점적으로 보는게 좋을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학원은 정보보안 쪽으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부 하다가 머리 열오르면 빙수 땡기지 않아..?
여름은 끝나가지만 여름에만 빙수 먹는건 하수지...!!"누구나 시선을 빼앗겨버리는 너는 최고의 빙수"최애의 아이보다 매력적인 🤍최애의 빙수 2기🤍신입부원을 모집합니다!! 🍓최애의 빙수 그 발자취를 따라 걷다 1.월 1회 정기모임빙수와 함께 먹기 좋은 메뉴가 있다면? 맛집도 정복설빙 신메뉴가 있다면? 같이 먹기빙수의 동종업계 아이스크림과 샤베트 젤라또도 정복 2.소규모 번개 모임한달에 한번 모이는게 아쉽다면?빙수 땡기는 날에는 언제든지 모이기 ♡ 단톡방에서 자유롭게 번개 가능 !! 3.야외 피크닉빙수를 카페 안에서만 먹는다고 누가 그래?날씨 좋은 날에는 동자리 깔고 빙수와 함께 피크닉 즐기기!! 🍓모집대상빙수 좋아하는 사람빙수 2행시 가능한 사람빙수 혼그릇 가능한 사람 우대및 서울 소재의 대학생 및 휴학생00년생~ 06년생 🍓모집기간- 2025.09.01~09.30모집기간은 단 한달!!! 많은 지원 바랍니다:) 🍓 지원방법https://naver.me/5h1oL9qb 🍓인스타https://www.instagram.com/drunddr_fuj?igsh=MTdtYWk5eHQycGFnNA%3D%3D&utm_source=qr
-
독하게 C를 배운 사람을 위한 선형 자료구조
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완강 후, 자료구조·알고리즘 학습 방향과 언어 선택에 대한 고민
안녕하세요, 널널한 개발자님. 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강좌를 완강하고 나서, 다음 학습 방향에 대해 고민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다음 스텝에 대한 고민강의 중에 자료구조를 공부하는 것이 좋다고 추천해주셔서, 독하게 C를 배운 사람을 위한 선형 자료구조 강의를 들으려고 합니다. 그런데 강의 제목을 보면 선형 자료구조만 다루는 것 같아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비선형 자료구조(트리, 그래프 등)는 따로 공부하는 것이 좋을까요?혹시 이후에 비선형 자료구조를 다루는 강의도 계획되어 있으신지 여쭤보고 싶습니다.알고리즘도 C로 공부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C로도 하고, C++도 공부하는게 좋을까요?💻 제 목표와 방향저는 C/C++ 계열의 전문 개발자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야는 임베디드 시스템, 공장 자동화, AI 응용 개발 등입니다. 이런 분야를 고려할 때, 자료구조 학습의 범위나 우선순위를 어떻게 잡는 것이 좋을지도 조언 부탁드립니다.혹시 관련된 영상이나 콘텐츠가 있다면 함께 추천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항상 좋은 강의와 조언 감사합니다! 😊
-
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LLM의 도움으로 C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지만, 이 방식이 올바른 학습인지 고민
안녕하세요, 널널한 개발자님. 인프런의 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강좌를 수강하며 생긴 고민을 공유드리고,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글 솜씨가 부족하여 LLM의 도움을 받았습니다.ㅎㅎ🔍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요구사항이 담긴 PDF를 기반으로 C 프로그램을 개발하려고 할 때,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요즘은 LLM(예: ChatGPT 등)의 도움을 받아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작업을 진행하곤 합니다:요구사항 분석 및 계획 수립계획을 단위로 나누어 구현각 단위별 테스트다음 단위 구현 반복이런 방식은 LLM이 알려준 "현업 개발자의 워크플로우"라고 하더군요. 실제로 이 과정을 따라가면 과제를 완수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정말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건지 의문이 듭니다. 각 단위의 로직을 짤 때마다 모르는 부분은 LLM에게 질문해서 해결하긴 하지만, 결국 처음부터 제가 스스로 만든 게 아니라는 점이 마음에 걸립니다. 이런 방식으로 프로그래밍을 해도 괜찮은 걸까요?🤔 제 자신에 대한 의문혹시 제가 C언어에 대한 기초가 부족한 걸까요? 그렇다면 널널한 개발자님의 기초 강의를 다시 복습해야 할까요? 아니면 다른 C언어 책을 읽는 게 좋을까요? 이런 고민이 반복되다 보니 점점 더 어렵게 느껴집니다.💡 해결 방법에 대한 고민LLM에게 이 고민을 물어보니,일정 시간은 LLM 없이 개발해보라LLM의 도움을 받아 구현한 뒤, 스스로 다시 코드를 작성해보는 복습 방식을 추천하더군요. 실제로 주변 개발자들도 그렇게 연습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널널한 개발자님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이런 상황에서 제가 어떤 방향으로 학습을 이어가면 좋을지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혹시 이와 관련된 답변을 주신 영상이 있다면 공유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사이드 플젝] 개인의 10배 성장 목표의 AI 요약 서비스
한국인의 하루 평균 유튜브 시청 시간은 약 2시간, 이것만 아껴도 크게 성장 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10배 시간 아끼고 10배 성장하도록 AI 요약 서비스 체험 해보세요.! AI 관련 주제로 Youtube 40개 영상 추려봤습니다. > Link https://www.notion.so/IT-26a95df38f6180209f6cd6719832edcf?utm_source=rhals&utm_medium=inflearn&utm_campaign=level-up-1
-
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언어관련
안녕하세요. 코딩테스트가 처음이라 그런데 그나마 빠르게 익힐 수 있는 파이썬으로 딩코딩코님 강의 들으며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제 직무에 우대 역량에 C/C++ 이라고 적혀있는데, 이러면 그 언어로만 코딩테스트를 본다는 뜻인건가요? 코딩테스트를 한번도 응시해본 적이 없어서 궁금합니다. 제가 코딩에 대한 지식도 별로 없어서 파이썬으로 코딩테스트 준비하는 것도 막막한데... 다른 언어로 쳐야하는 건지ㅜㅜ 궁금합니다.
-
[리뉴얼] 처음하는 MongoDB(몽고DB) 와 NoSQL(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부트캠프 [입문부터 활용까지] (업데이트)
진로 관련해서 질문 남깁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항상 좋은 강의 덕분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어 감사하다는 말씀 먼저 드리고 싶습니다.다름이 아니라, 진로와 관련해서 강사님의 의견이 궁금하여 이렇게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현재는 스프링과 자바를 중심으로 백엔드 개발자 취업을 준비 중인데요, 앞으로 어떤 기술을 더 공부해 나가야 할지 고민이 생겨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물론 상황에 따라 성향에 따라 다르게 선택할 수도 있겠지만, 스프링 이후 어떤 기술 스택을 확장해 나가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두 가지 방향을 놓고 고민하고 있습니다.파이썬 기반의 AI 기술 – 머신러닝, 딥러닝, LangChain 등의 기술과 함께, FastAPI나 Django 같은 프레임워크를 익혀 스프링 서버와 연동하며 AI 기능을 접목하는 방향Node.js 기반의 서버 기술 – NestJS 등과 같은 프레임워크를 익혀 스프링과 병행하여 백엔드 서버에 좀 더 깊이 집중하는 방향둘 중 하나에 집중해서 커리어를 쌓는다고 가정했을 때, 현재 업계 상황이나 전망을 고려했을 때 어떤 방향이 더 유망하다고 생각하시는지 강사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지금 당장 공부할 계획은 아니지만 앞으로 기준으로 삼고자 질문 남깁니다!!)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좋은 하루 되세요!
-
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Kafka 입문
진로 방향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항상 좋은 강의 덕분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어 감사하다는 말씀 먼저 드리고 싶습니다.다름이 아니라, 진로와 관련해서 강사님의 의견이 궁금하여 이렇게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현재는 스프링과 자바를 중심으로 백엔드 개발자 취업을 준비 중인데요, 앞으로 어떤 기술을 더 공부해 나가야 할지 고민이 생겨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물론 상황에 따라 성향에 따라 다르게 선택할 수도 있겠지만, 스프링 이후 어떤 기술 스택을 확장해 나가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두 가지 방향을 놓고 고민하고 있습니다.파이썬 기반의 AI 기술 – 머신러닝, 딥러닝, LangChain 등의 기술과 함께, FastAPI나 Django 같은 프레임워크를 익혀 스프링 서버와 연동하며 AI 기능을 접목하는 방향Node.js 기반의 서버 기술 – NestJS 등과 같은 프레임워크를 익혀 스프링과 병행하여 백엔드 서버에 좀 더 깊이 집중하는 방향둘 중 하나에 집중해서 커리어를 쌓는다고 가정했을 때, 현재 업계 상황이나 전망을 고려했을 때 어떤 방향이 더 유망하다고 생각하시는지 강사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지금 당장 공부할 계획은 아니지만 앞으로 기준으로 삼고자 질문 남깁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좋은 하루 되세요!
-
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공부 방법 관련.
안녕하세요 선생님 학습에 질문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저는 코딩을 처음 접한 일반인 입니다. 선생님 파이썬 1시간 강의를 듣고 초보도 가능하다고 하셔서 강의를 구매하고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1주차를 다 듣고 선생님이 내주신 숙제나 먼저 풀어보라고 하셨을때 방법은 생각이 나나 코딩으로 막상 풀어보려고 하니 엄두가 안나네요...이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인건지 아님 아직 기본기가 덜 잡혀서 그런건지 모르겠네요. 우선 해설강의를 듣고 다시 코드를 리뷰 해보는 방법으로 공부를 해야할지 고민이 됩니다.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다들 공부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
[팀 프로젝트 홍보] 일정 조율을 빠르고 간편하게!
안녕하세요! 저희는 일정 조율 서비스를 만든 아인슈타임 팀입니다 🚀"혹시 시간 괜찮으세요?" 이 한마디, 이제 그만! 팀플, 회의, 동아리 모임까지... 매번 총대 메고 시간 취합하느라 지치셨나요? 단톡방에 흩어진 답변들, 끝없는 스크롤, 갑작스러운 변동에 머리 아팠던 경험은 이제 아인슈타임에 맡겨주세요!🔗 지금 바로 경험해보기: https://estime.today 아인슈타임은 책임질 사람 없이도, 모두가 쉽고 공평하며 빠르게 약속을 확정해 주는 일정 조율 서비스입니다.✅ 링크 하나로 끝내는 간편함더 이상 번거로운 회원가입이나 앱 설치는 필요 없습니다. 방을 만들고 링크를 공유하기만 하면, 누구나 즉시 자신의 가능 시간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한눈에 보이는 실시간 현황누가 언제 가능한지 직관적인 히트맵으로 바로 확인하세요. 여러 명의 스케줄을 머릿속으로 정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참여자 목록도 바로 확인할 수 있어 누가 아직 투표하지 않았는지 쉽게 알 수 있죠.⏰ 디스코드 연동으로 알림까지!이제 디스코드 채널에서 바로 일정을 조율하고, 자동으로 알림을 받아보세요!간편 설치 및 시작 디스코드 봇 설치 링크로 내 채널에 아인슈타임을 추가하고, /시작하기 커맨드를 입력만 하면 됩니다.자동 알림 전송 방이 생성되면 해당 채널에 알림이 전송되어 팀원들이 바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똑똑한 자동 리마인더 마감 1시간 전과 마감 시간에 투표 독려 및 마감 알림이 채널에 자동으로 전송됩니다. 이제 "투표 아직 안 하신 분~" 하고 직접 챙길 필요가 없어요!🎯 이런 분들께 강력 추천합니다!늘 약속을 주최하는 리더를 위해반복적인 약속 시간 취합 업무에서 해방되고 싶을 때참여 독려 메시지를 직접 보내는 불편함과 스트레스를 덜고 싶을 때바쁜 일정 속 간편함을 찾는 팀원을 위해복잡한 과정 없이 링크나 디스코드 알림을 통해 가능한 시간만 빠르게 체크하고 싶을 때더 이상 약속 정보를 찾기 위해 단톡방을 스크롤하고 싶지 않을 때 🔗 아인슈타임 바로가기:https://estime.today🔗 디스코드 봇 설치하기:디스코드 봇 설치 링크
-
Vue2와 vue3
안녕하세요 vue2를 어느정도 공부한 사람입니다.고민이 있는게 요즘은 다 vue3를 쓰고 있다고 하니 그다음 커리큘럼을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둘은 많이 다른가요? 아님 뷰2를 계속 공부하는 것도 나쁘지않을까요? 뷰3를 공부한다면 처음부터 공부해야할 수준일까요?
-
일에 있어서 너무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취업을 위해 공부중에 있다가 취업기간이 오래 걸리고 또 부모님의 심한 압박으로 인해서 어쩔 수 없이 일을 하면서 공부를 해야되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처음에 한 회사에 물류분야로 입사를 했지만 야근이 너무 많아 3일만에 퇴사를 했고 최근 또 다른 회사에 입사를 했지만 여기도 야근이 너무 심하고 또 사수도 없어서 혼자 일을 하며 더군다나 자주 이용하는 화물엘리베이터에 열리는 문이 없어 정말 잘못하면 떨어지거나 발이 끼는 사고도 발생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 상황에서도 공부를 할 수 없는 상황이고 또 그만두기엔 부모님도 압박도 있고 또 저도 너무 자주 그만두는거 같아 현재는 정말 스트레스를 받으며 버티고 있는 상황인데 그래도 너무 그만두고 싶은 생각이 많이 들어서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 이럴 때 어떻게 해야되는지 방법이 없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