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자국 ] 렌더링 방식, Cursor AI 경험 (25.05.26~25.06.01)
본 게시글은 Next.js 완벽 마스터 (v15): Notion 기반 개발자 블로그 만들기 (with Cursor AI)를 수강하면서 작성한 내용입니다. 학습 내용여러 가지 렌더링 방식(CSR, SSR, SSG, ISR, SPA)의 차이점에 대해 학습하였다.여러 가지 렌더링 방식에 대해 확실하게 알아가는 과정을 거칠 수 있어서 좋았다.웹페이지의 목적에 따라서 적합한 렌더링 방식을 적용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보완하고 싶은 점 ]실제 프로젝트를 통해 각 렌더링 방식 직접 구현해보기하이브리드 렌더링 전략에 대한 추가 학습하기Cursor AI를 이용하는 기본적인 방법에 대해 실습하는 시간을 가졌다.Cursor AI의 기본 사용법을 알아볼 수 있었다.Project Rule 설정을 통해 명확한 fit에 따른 AI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보완하고 싶은 점 ]복잡한 프로젝트에 대해 Cursor AI를 효율적으로 사용해보는 경험 쌓기Project Rule에 대해 세밀한 조정 경험해보기Cursor AI 고급 사용법 탐구하기Next.js 프로젝트 세팅법에 대해 학습하였다.Next.js의 기본 세팅법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다.코드 작성을 도와주는 여러 가지 추가 패키지를 알아볼 수 있었다.[ 보완하고 싶은 점 ]고급 설정 옵션 학습해보기다양한 환경 설정 시나리오 경험 해보기 미션 과정[ 링크 ] 웹 렌더링의 다양한 방식 (CSR, SSR, SSG, ISR, SPA) 각 렌더링 방식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미션을 수행하였다.CSR, SSR, SSG, ISR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시간을 가졌고, 각 렌더링 방식에 따라 가지는 장점과 한계점을 통해 어떤 목적의 사용 예시가 있을 수 있을지 생각해보았다.다만, 여러 렌더링 방식에 대한 실제 구현 경험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링크 ] 모스 부호 번역기 with Cursor AICursor AI를 이용하는 과정을 실습해 보고자 모스 부호 번역기 웹페이지를 간단하게 만들어 보았고, 그 과정을 글로 작성해보았다.Cursor AI를 더 잘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고, 더 복잡한 프로젝트에서 AI를 이용하는 경험을 해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링크 ] Next.js 프로젝트 세팅해보기실전 사용을 위해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Next.js 프로젝트를 세팅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정리해보았다. 다양한 설정 옵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그에 대해서 더 다양하게 알아보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